철근 콘크리트 (배합강도 및 구조물 설계기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근 콘크리트 (배합강도 및 구조물 설계기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콘크리트 배합강도 산정

구조물 설계기준 및 KS 규격 검토


2-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할 재료(철근 및 콘크리트)에 관한 KS 규격을 조사하고 그 내용을 요약 정리하도록 한다.
(2) 콘크리트에 관한 KS 규격


2-2.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할 설계기준의 종류를 조사하고 각 설계기준의 적용 범위 및 차이점 등을 비교한다.(예,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콘크리트표준시방서, 도로교설계기준, 지하구조물설계기준 등)

철근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2007)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9)
도로교설계기준(2005)


2-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방법으로 허용응력설계법, 강도설계법 및 한계상태설계법의 설계개념 및 장단점을 비교한다.

1) 허용응력설계법(Allowable Stress Design, ASD, Working Stress Design, WSD)
2) 강도설계법((Ultimate) Strength Design, USD)
3) 한계상태설계법(LSD, Limit State Design)

본문내용

: 부재의 강도 파악 어렵고, 파괴에 대한 안전도 일정치 않고 성질이 다른 하중의 영향을 설계에 반영하기 힘들다.
2) 강도설계법((Ultimate) Strength Design, USD)
-철근콘크리트의 비탄성, 비선형 성질을 사용한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무시한다.
-사용성(처짐, 균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하여 구한 설계강도가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하여 구한 소요강도()보다 작지 않을 것
즉,
-강도저감계수×공칭부재강도 ≥ 하중계수×사용하중
※ 강도저감계수 및 하중계수를 사용하는 이유
① 재료 및 부재의 강도는 예상 값 보다도 작을 수 있다.
② 과재하가 일어날 수 있다.
③ 파괴의 결과가 심각할 수 있다.
-장점 : 안전도 확보 확실하고 , 하중계수로 하중의 특성반영 가능하다.
-단점 : 다른 재료의 특성을 반영하기 힘들고, 사용성을 따라 생각해 봐야한다.
3) 한계상태설계법(LSD, Limit State Design)
-안정성의 척도를 구조물이 파괴될 확률 또는 신뢰성 이론에 의해 구조물이 파괴되지 않을 확률(신뢰성)로 나타내는 설계법이다.
즉, 구조물이 한계상태로 되는 확률을 구조물의 모든 부재에 대하여 정한 값이 되도락 하려는 설계법이다.
-한계상태 설계법에서는 극한한계상태, 피로한계상태, 사용한계상태로 구분된다.
-장점 : 하중과 재료에 대해 각 부분안전계수 사용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피로한계상태의 검토 및 부분안전계수 등 합리성이 높다.
-단점 : 통계자료가 충분하다. 실무 설계 반영이 불충분하다. 채료의 절감 등 경제적인 면에서 동기유발이 부족하다.
  • 가격9,6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5.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4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