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문제의식 :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이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인기 요소(캐릭터, 관계구도, 몸개그&분장)을 착안함에도 시청률면에서 시청자에게 외면 받는 현실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연구목적 :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이 착안하고 있는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인기요소를 분석하고 이 요소가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에서 실패한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 1박2일, 무한도전, 영웅호걸, 청춘불패 등
Ⅱ.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성공요인 분석
1.망가지기
1)몸 개그
2)과도한 분장
2.캐릭터
3.출연자간의 돈독한 관계
Ⅲ.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을 착안한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1.망가지기
2.캐릭터
3.돈독한 관계구도
Ⅳ. 시청자 입장에서 바라본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실패 요인
Ⅴ. 결론
Ⅰ. 서론
-문제의식 :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이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인기 요소(캐릭터, 관계구도, 몸개그&분장)을 착안함에도 시청률면에서 시청자에게 외면 받는 현실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연구목적 :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이 착안하고 있는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인기요소를 분석하고 이 요소가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에서 실패한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 1박2일, 무한도전, 영웅호걸, 청춘불패 등
Ⅱ.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성공요인 분석
1.망가지기
1)몸 개그
2)과도한 분장
2.캐릭터
3.출연자간의 돈독한 관계
Ⅲ. 남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을 착안한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1.망가지기
2.캐릭터
3.돈독한 관계구도
Ⅳ. 시청자 입장에서 바라본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의 실패 요인
Ⅴ. 결론
본문내용
는 대국민 MC들이 같이 출연하는 예능계 후배들을 이끌어주고 끈끈한 라인을 형성하는데 그것도 하나의 재미 요소가 된다. 한 예로, 1박 2일에서 맺어진 강호동과 이승기의 끈끈한 관계 구도는 현재 SBS 강심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명콤비를 만들어 냈다. 반면,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에서는 출연자들이 모두 개인주의적으로 행동한다. 관계구도를 형성하려 하기보다 개개인이 주목받으려 하고 가끔은 연출인지 모를 ‘다툼’까지 동반하기도 한다. 여성중심예능프로그램은 ‘갈등의 요소’를 만들어 냄으로써 재미를 주려 하는 것이다. 게다가 국민 MC를 자처하는 예능인 또한 여성보다는 남성들인 경우가 많다. 즉, 예능계에서 확고한 입지를 가진 예능인들은 남성들이 대다수이고 이들은 그런 힘을 이용해 방송에서 ‘관계구도’를 이끌어내기도 하는 것이다.
Ⅴ.결론
지금까지 시도되었던 여성 중심의 예능 프로는 여러 측면으로 보았을 때 관심을 끌기에는 미흡하다. 프로그램 안에서의 문제점과 남성 중심 프로그램과의 차이로 보았을 때는 출연자들이 개그맨과 같은 예능인이 아닌 주로 아름다움이 두드러지는 여성 아이돌이라는 것, 남성 중심 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돈독한 관계구도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 그리고 고정적인 이미지를 굳히지 못한다는 것이 장애물로 작용한다. 또 다른 이유로는, 여성 출연진 스스로 망가진다고 해도 시청자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요인인 상대적 우월의식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사회 전반적인 측면에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여성스러움’의 모습은 망가지는 것과 상반된 모습이라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소위 말하면 억지로 웃기려는 여성 출연진들의 노력은 시청자들에겐 ‘애쓴다.’ ‘불쌍하다.’와 같은 동정의 반응뿐 그 이상의 것, 즉 본래 의도하였던 ‘웃음’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이런 반응은 시청자들이 여성 아이돌의 이런 파격적인 변신을 보면서 보는 사람조차 불편하게 만든다는 것도 시사한다. 웃음은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다. 그러니 특정한 상황을 지켜보는 사람을 웃게 하려면 그 상황이 자연스러워야 한다. 따라서 어설프면 정말 즐거워서 웃는 웃음이 아닌, 조소나 헛웃음밖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사람들이 어이없는 웃음을 짓는 이유는 여성 중심 예능 프로에서의 출연진들의 망가지는 모습이 불편하기 때문일 것이다. 예쁜 척, 귀여운 척을 하던 아이돌들이 갑자기 추태를 보인다면 놀라움이 즐거움의 감정보다 앞서 나온다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여러 원인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천편일률적인 여성 중심 예능 프로그램의 전개양상, 그리고 이미 사람들의 인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여성 아이돌’의 이미지가 바뀌기 전까지는 여성 아이돌이 중심이 되어 돌아가는 예능 프로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엔 무리가 있을 듯하다.
◎참고자료
-웃음의 발견1(2008)안건수 저,새로운 사람들
-게으름뱅이의 정신분석1(1995), 기시다 슈 저, 깊은샘
-여자 예능 초대박 스타가 없는 이유-인터넷 포스팅(http://hwking.tistory.com/63)
Ⅴ.결론
지금까지 시도되었던 여성 중심의 예능 프로는 여러 측면으로 보았을 때 관심을 끌기에는 미흡하다. 프로그램 안에서의 문제점과 남성 중심 프로그램과의 차이로 보았을 때는 출연자들이 개그맨과 같은 예능인이 아닌 주로 아름다움이 두드러지는 여성 아이돌이라는 것, 남성 중심 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돈독한 관계구도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 그리고 고정적인 이미지를 굳히지 못한다는 것이 장애물로 작용한다. 또 다른 이유로는, 여성 출연진 스스로 망가진다고 해도 시청자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요인인 상대적 우월의식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사회 전반적인 측면에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여성스러움’의 모습은 망가지는 것과 상반된 모습이라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소위 말하면 억지로 웃기려는 여성 출연진들의 노력은 시청자들에겐 ‘애쓴다.’ ‘불쌍하다.’와 같은 동정의 반응뿐 그 이상의 것, 즉 본래 의도하였던 ‘웃음’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이런 반응은 시청자들이 여성 아이돌의 이런 파격적인 변신을 보면서 보는 사람조차 불편하게 만든다는 것도 시사한다. 웃음은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다. 그러니 특정한 상황을 지켜보는 사람을 웃게 하려면 그 상황이 자연스러워야 한다. 따라서 어설프면 정말 즐거워서 웃는 웃음이 아닌, 조소나 헛웃음밖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사람들이 어이없는 웃음을 짓는 이유는 여성 중심 예능 프로에서의 출연진들의 망가지는 모습이 불편하기 때문일 것이다. 예쁜 척, 귀여운 척을 하던 아이돌들이 갑자기 추태를 보인다면 놀라움이 즐거움의 감정보다 앞서 나온다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여러 원인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천편일률적인 여성 중심 예능 프로그램의 전개양상, 그리고 이미 사람들의 인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여성 아이돌’의 이미지가 바뀌기 전까지는 여성 아이돌이 중심이 되어 돌아가는 예능 프로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엔 무리가 있을 듯하다.
◎참고자료
-웃음의 발견1(2008)안건수 저,새로운 사람들
-게으름뱅이의 정신분석1(1995), 기시다 슈 저, 깊은샘
-여자 예능 초대박 스타가 없는 이유-인터넷 포스팅(http://hwking.tistory.com/63)
키워드
추천자료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심층분석과 발전방안
[지역방송][지역방송프로그램][지역방송환경][지역방송정책]지역방송의 시장구조변화, 지역방...
[시청자참여프로그램][시민참여채널]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개념, 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법적 ...
[시청자참여프로그램][시청자참여방송]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개념, 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현...
[상담심리학 2015] 정신분석적상담이론, 인간중심적상담이론, 게슈탈트상담이론 비교설명하고...
주제탐구체험학습프로그램 사례, 집단학습프로그램 사례, 봉사체험학습프로그램 사례, 독서학...
다문화 가정의 여성교육PPT(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국제결혼 문제와 개선방안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오디션프로그램 신드롬분석및 향후발전방향과 나의 의견 (슈퍼스타k,위대한탄생 사례)
우리나라 여성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운영 개선방안
[무용동작치료 원리]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 ; 무용동작치료의 개념과 원리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