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 -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군사력강화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 -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군사력강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
-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군사력강화 -




Ⅰ. 들어가며

Ⅱ.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동아시아정책

Ⅲ. 중국의 부상

Ⅳ. 일본의 군사력강화

Ⅴ. 결 론 : 중국과 일본 그리고 동북아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외교적 지렛대가 없는 실정이다. 결국 중국은 현안인 북한 핵문제 등을 평화적으로 해결, 일본의 우경화에 빌미를 주지 않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자체적인 군사현대화를 꾸준히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중국의 국방력 강화 움직임은 대만의 군비확충을 부르고 있다. 신형 프리깃함도입과 전투기(경국호)의 독자 개발, 신형 지대공미사일 배치는 좋은 예다. 남북한도 예외는 아니다. 북한은 일본의 보통국가화에 크게 긴장하고 있다. 북한은 일본이 북핵문제로 인한 국민의 위기감과 미국이 대북압박의 지렛대로 유사법제를 통과시킨 것으로 보고, 일본의 재무장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북한은 일본이 재무장할 경우, 가장 위협받는 국가가 될 것으로 우려한다. 현재 일본에 대해 무력공격을 가할 가상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일본 내에서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결국 일본의 재무장은 미국이 북한을 공격하는 등 일본 주변에서 전쟁에 돌입할 경우, 자위대를 동원해 미국을 후방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북한은 보고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중국 등 주변국과 함께 일본의 보통국가화를 ‘군국주의 부활’, ‘재침 책동 노골화’로 강력히 규탄하는 한편 일본의 재무장을 구실로 핵무기 보유를 역으로 합리화할 가능성이 있다. 연현식, 2009,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신안보질서의 형성’, 동서연구 제21권 제1호 p.130
미국 패권의 동요, 중국의 부상, 미중관계의 변화라는 최근 동북아지역의 안보환경 변화, 그리고 한반도의 분단, 중국-대만의 대치, 지역 주도권을 둘러싼 중일 경쟁 및 갈등, 미중의 지역 패권 장악 경쟁 등, 대치, 경쟁, 갈등의 구도가 존재하는 동북아 안보상황하에서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의 효과적인 안보전략을 모색하는 것에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연현식, 2009,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일 안보관계’, 국방연구 제52권 제3호 pp.101~130
노병렬, 2009, ‘한·중 안보협력의 필요성 :북핵문제해결에 나타난 중국외교정책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제27집 (2009년 6월) pp.309-336
연현식, 2009,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신안보질서의 형성’, 동서연구 제21권 제1호 pp.107-138
박홍배 외, 2009, ‘일본의 강대국 부활(resurgence) 논의와 한계 -자위대 활동영역 확대의 지정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8권 pp. 135~154
김영춘, 2004, ‘중국의 부상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군사력 강화’, 통일정책연구 제13권 제1호 pp.1-22
임현백, 2004,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동북아 지역안보 :현황과 전망’, 국방연구 제47권 제2호 pp.3-27
강태훈 ,2004, ‘일본 군사 대국화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방위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제11집 제3호 pp.213-232
신경식, 2004, ‘탈냉전이후 일본의 자위대 법제정비와 방위정책 전망’, 국제지역연구 제8권 제2호 통권29호 pp.241-276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0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