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 최인훈의 ‘광장’ 작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 최인훈의 ‘광장’ 작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점이 같다. 하지만 이명준은 북한 사회를 보고 북한사회에 환멸을 느끼나 한추민은 소련 유학생활 중에서 사회주의에 대한 회의를 느낀다. 그리고 이명준은 전쟁에 참여하고 포로가 되어 제 3국을 선택하지만 한추민은 유학생 동향회에서 북한 체제를 비판했다가 목숨을 잃을 뻔하다 위기를 넘기고 북한 공민권을 포기하고 정치 망명을 신청한다. 또한 이명준은 제3국으로 가는 도중 자살을 선택하나 한추민은 카자흐스탄에서 나타샤와 결혼한 뒤 딸을 낳는다. 또한 광장과의 다른 점은 인간에 악보에서는 분단에 따른 한 가족의 비극이 드러난다.
<인간의 악보> 줄거리
주인공 한추민은 일제시대 음악을 공부한 지식인. 다른 형제들과 함께 월북한 그는 북한의 국비 유학생으로 소련 유학길에 오른다. 그러나 모스크바 유학생활은 그에게 현실 사회주의에 대한 회의를 품게 한다. 스탈린 사망 후 '모스크바의 봄'이 닥치자 오히려 평양으로부터 사상검토의 피바람이 불어온다.
평양에서 온 노동당 간부의 주재 하에 유학생 동향회가 열리고, 한추민은 그 자리에서 스탈린식 권력집중과 개인숭배를 답습하는 북한 체제를 비판했다가 목숨을 잃을 뻔 한다.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난 그는 이 사건으로 북한 공민권을 포기하고 정치 망명을 신청한다. 그 뿐만 아니라 소련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거부하고 무국적 공민증을 받은 뒤 재소한인들의 한과 설움이 서린 중앙아시아 알마티로 향한다.
카자흐스탄에 정착한 한인들의 구전 가요를 채보하던 그는 도서관에 책을 대여하러 갔다가 사서이던 나타샤로부터 "국적 없는 사람이 어디 있나요"라는 질문을 받은 것이다. 한추민은 이후 나타샤의 도움을 받은 것을 계기로 그녀와 결혼해 딸 올가를 낳는다.
한추민의 망명사건으로 북조선에 남은 두 형제는 교화소와 강제노역 탄광으로 끌려가고, 급기야 동생 경민은 총살을 당하기에 이른다. 작중 화자의 아버지는 형제들의 월북으로 연좌제에 시달리며 가난과 불안 속에서 살아야 했다. 분단에 따른 한 가족의 비극은 이 소설에서도 예외 없이 처절하다.
한추민은 재외동포 고향방문단의 일원으로 50년 만에 남한의 고향 땅을 밟는다. 이후 카자흐스탄으로 돌아갔다가 뇌출혈로 쓰러져 혼수상태로 지내다 세상을 뜬다. 장례식에 갔던 남한의 조카는 큰아버지의 유골을 고향이 아니라 '그 어떤 인과관계도 없는 장소'인 사막에 뿌린다. 평생 무국적자로 살았던 한 인간의 삶을 해방시켜 대지와 자연으로 환원시키고자 한 것이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0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