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 선정이유
<서론>
Ⅰ. 기업소개
1. 연혁
2. 발전 과정
3. 핵심이념
4. SPA 브랜드란?
<본론>
Ⅱ. 기업 상황 분석
1. 외부 분석
2. 내부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마케팅 전략(4P)분석
Ⅲ. SPA 경쟁사
1. 베이직 하우스
2. 지오다노
3. 갭(GAP)
<결론>
Ⅳ. 향후 전망 및 과제
Ⅴ. 결론 및 시사점
Ⅵ. 참고문헌
<서론>
Ⅰ. 기업소개
1. 연혁
2. 발전 과정
3. 핵심이념
4. SPA 브랜드란?
<본론>
Ⅱ. 기업 상황 분석
1. 외부 분석
2. 내부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마케팅 전략(4P)분석
Ⅲ. SPA 경쟁사
1. 베이직 하우스
2. 지오다노
3. 갭(GAP)
<결론>
Ⅳ. 향후 전망 및 과제
Ⅴ. 결론 및 시사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코엑스점, 수원역사점, 부산대점 등 매출액이 큰 매장의 경우는 본사가 매점을 임대하고 대리점주가 중간관리 형태로 운영하는 반 직영시스템으로 운영방식을 전환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본 디자인 전략을 수정하여 기본스타일, 유행아이템, 실험정신 아이템으로 상품을 세분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4년 현재 매장 수는 165개 이며 평균 매장 면적은 55평이고 100평 이상 매장은 15개이다.
2. 지오다노
지오다노는 94년 라이센스 형태로 국내에 런칭한 브랜드로 국내에 최초로 SPA 브랜드를 알린 장본인이다. 일신방직의 계열사인 일신창투와 지오다노인터네셔널이 50%씩의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한 합작법인형태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지오다노는 시험 생산한 신제품의 시장반응을 살핀 뒤 팔리는 제품만 판매하는 시장조사 중심의 제품선택과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재고 관리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낮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판매가격을 생산원가의 3배수 미만으로 하되 제조를 포함한 공급사슬(Supply Chain) 관리를 통한 원가절감에 집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생산성이 뛰어난 생산 공장을 발굴하여 생산비용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창고와 매장에 약 6주의 판매분만을 보유하는 재고관리 시스템이 그 예에 해당한다.
그러나 2002년 이후의 불황과 시장 불확실성 증대, 재고 증가, 경쟁업체의 난립, 내부의 자만심 등으로 인해 최근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하고 있으며 2005년 1700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3. 갭(GAP)
갭은 세계 최대의 SPA 브랜드이자 최초의 SPA 브랜드이다 브랜드 명인 ‘갭’은 'generation gap’에서 유래했으며, 현재 갭, 바나나리퍼블릭, 올드네이비, 포스&타운, 파이퍼라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옷은 주로 ‘클린, 올 아메리카, 심플’을 테마로 한 베이직한 아메리칸 스포츠웨어스타일의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으며 심플함과 명확함을 컨셉으로 삼는다. 생산은 아웃소싱 위주로 미국 및 해외 54개국 1200개사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직을 상품기획부와 상품 부(오퍼레이션)로 분리하여 각부서의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리된 전문성은 계획된 생산과 공급을 확실히 이행케 하여 SKU(stock keeping unit)밸런스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국에는 2007년 신세계와의 프랜차이징 방식을 통해 본격적으로 진출하였다.
Ⅳ. 향후 전망 및 과제
유니클로는 한때 상품의 매너리즘에 빠져 일시적으로 매출 하락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이유로서 캐주얼 베이직을 생산함에 있어서 유행을 배제하고 베이직이라는 아이템을 옛날부터 있던 스타일 그냥 그대로 생산했기 때문이다. 베이직이라고 하는 것은 패션의 핵이 되는 부분이고, 시대에 맞는 트렌드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한 번의 실패 이후, 유니클로는 베이직 상품을 만들어냄에 있어서, 유행을 의식해 상품을 만들었고, 보다 트랜드 색을 반영한 우먼즈 부분을 강화 시켜, 매너리즘을 극복하였다. 현재에는 동경. 뉴욕. 파리 .밀라노 등의 패션의 최선단의 지역에 디자이너팀을 설치해. 항상 유행의 흐름을 체크하고 있다. 또한 유명디자이너와 합작하는 DI프로젝트나 티셔츠전문의 UT하라주쿠점을 만드는 등 다방면에 힘쓰고 있다. 유니클로의 성공의 열쇠는 최고를 향한 명확한 비전과 캐주얼 베이직. SPA. 대량생산. 대량발주, SKU, 생산관리. 프로덕트 포커스를 중심으로 한 정확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R&D, MD, 마케팅을 연관시킨 보다 트렌드와 패션성이 강조된 베이직을 개발해 나갈 필요성이 있고, 동시에 기획에서 생산, 생산조절의 리드 타임의 단축화, 정확도 향상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니클로의 하나로 과제인 유럽과 미국에서의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그 나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시장 분석과 유니클로 브랜드의 확립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시사점
2003년 스페인의 망고를 시작으로 갭, 바나나리퍼블릭, 파파야가 국내시장에 진출했으며 이어 스페인의 자라, 영국의 H&M, 미국의 forever21 등의 진출이 잇따르고 있다. 해외 SPA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패션 업계가 초비상 사태를 맞고 있다. 그동안 잘 팔리는 상품 위주로 기획하는 매출 중심의 영업 정책으로 사실상 브랜드 정체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이며 라벨을 떼면 어느 브랜드의 상품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획일화된 상품은 소비자들에게 지적을 받아왔다.
가격 인하, 균일가 행사 등 잦은 세일로 인해 가격의 신뢰성을 잃었으며 급기야 전략적으로 진행하는 기획 상품마저 세일을 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구입 시기를 늦춰 제 가격을 지불하지 않는 소비 패턴이 정착돼 가고 있다. 여기에 온라인 등 각종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트렌디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상품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는 열악한 조건이 더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니클로의 사례는 우리 기업들이 갈수록 험난해지는 경쟁 환경 속에서 국내시장을 유지하고 나아가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취해야할 전략과 나아갈 방향을 알려주는 좋은 본보기라 하겠다. 특히 철저한 고객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한 상품개발은 매출위주의 영업정책에 대한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유통망 다변화의 실행, 스피드한 상품 공급 물류 시스템의 구축은 Low-cost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국내 패션업계가 당면한 과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Ⅵ. 참고문헌
www.uniqlo.co.kr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www.hankyung.com
www.economy.hankooki.com
www.munhwa.com
야나이 다다시 유니클로 이야기-가와시마 고타로, 양영철 역, 비즈니스북스, 2010
사례로 배우는 일본 유통 - 김현철, 최상철, 법문사, 2006
유니크로 방식 - 나기노 준죠, 심재섭 역, 2001
2. 지오다노
지오다노는 94년 라이센스 형태로 국내에 런칭한 브랜드로 국내에 최초로 SPA 브랜드를 알린 장본인이다. 일신방직의 계열사인 일신창투와 지오다노인터네셔널이 50%씩의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한 합작법인형태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지오다노는 시험 생산한 신제품의 시장반응을 살핀 뒤 팔리는 제품만 판매하는 시장조사 중심의 제품선택과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재고 관리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낮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판매가격을 생산원가의 3배수 미만으로 하되 제조를 포함한 공급사슬(Supply Chain) 관리를 통한 원가절감에 집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생산성이 뛰어난 생산 공장을 발굴하여 생산비용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창고와 매장에 약 6주의 판매분만을 보유하는 재고관리 시스템이 그 예에 해당한다.
그러나 2002년 이후의 불황과 시장 불확실성 증대, 재고 증가, 경쟁업체의 난립, 내부의 자만심 등으로 인해 최근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하고 있으며 2005년 1700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3. 갭(GAP)
갭은 세계 최대의 SPA 브랜드이자 최초의 SPA 브랜드이다 브랜드 명인 ‘갭’은 'generation gap’에서 유래했으며, 현재 갭, 바나나리퍼블릭, 올드네이비, 포스&타운, 파이퍼라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옷은 주로 ‘클린, 올 아메리카, 심플’을 테마로 한 베이직한 아메리칸 스포츠웨어스타일의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으며 심플함과 명확함을 컨셉으로 삼는다. 생산은 아웃소싱 위주로 미국 및 해외 54개국 1200개사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직을 상품기획부와 상품 부(오퍼레이션)로 분리하여 각부서의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리된 전문성은 계획된 생산과 공급을 확실히 이행케 하여 SKU(stock keeping unit)밸런스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국에는 2007년 신세계와의 프랜차이징 방식을 통해 본격적으로 진출하였다.
Ⅳ. 향후 전망 및 과제
유니클로는 한때 상품의 매너리즘에 빠져 일시적으로 매출 하락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이유로서 캐주얼 베이직을 생산함에 있어서 유행을 배제하고 베이직이라는 아이템을 옛날부터 있던 스타일 그냥 그대로 생산했기 때문이다. 베이직이라고 하는 것은 패션의 핵이 되는 부분이고, 시대에 맞는 트렌드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한 번의 실패 이후, 유니클로는 베이직 상품을 만들어냄에 있어서, 유행을 의식해 상품을 만들었고, 보다 트랜드 색을 반영한 우먼즈 부분을 강화 시켜, 매너리즘을 극복하였다. 현재에는 동경. 뉴욕. 파리 .밀라노 등의 패션의 최선단의 지역에 디자이너팀을 설치해. 항상 유행의 흐름을 체크하고 있다. 또한 유명디자이너와 합작하는 DI프로젝트나 티셔츠전문의 UT하라주쿠점을 만드는 등 다방면에 힘쓰고 있다. 유니클로의 성공의 열쇠는 최고를 향한 명확한 비전과 캐주얼 베이직. SPA. 대량생산. 대량발주, SKU, 생산관리. 프로덕트 포커스를 중심으로 한 정확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R&D, MD, 마케팅을 연관시킨 보다 트렌드와 패션성이 강조된 베이직을 개발해 나갈 필요성이 있고, 동시에 기획에서 생산, 생산조절의 리드 타임의 단축화, 정확도 향상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니클로의 하나로 과제인 유럽과 미국에서의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그 나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시장 분석과 유니클로 브랜드의 확립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시사점
2003년 스페인의 망고를 시작으로 갭, 바나나리퍼블릭, 파파야가 국내시장에 진출했으며 이어 스페인의 자라, 영국의 H&M, 미국의 forever21 등의 진출이 잇따르고 있다. 해외 SPA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패션 업계가 초비상 사태를 맞고 있다. 그동안 잘 팔리는 상품 위주로 기획하는 매출 중심의 영업 정책으로 사실상 브랜드 정체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이며 라벨을 떼면 어느 브랜드의 상품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획일화된 상품은 소비자들에게 지적을 받아왔다.
가격 인하, 균일가 행사 등 잦은 세일로 인해 가격의 신뢰성을 잃었으며 급기야 전략적으로 진행하는 기획 상품마저 세일을 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구입 시기를 늦춰 제 가격을 지불하지 않는 소비 패턴이 정착돼 가고 있다. 여기에 온라인 등 각종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트렌디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상품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는 열악한 조건이 더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니클로의 사례는 우리 기업들이 갈수록 험난해지는 경쟁 환경 속에서 국내시장을 유지하고 나아가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취해야할 전략과 나아갈 방향을 알려주는 좋은 본보기라 하겠다. 특히 철저한 고객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한 상품개발은 매출위주의 영업정책에 대한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유통망 다변화의 실행, 스피드한 상품 공급 물류 시스템의 구축은 Low-cost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국내 패션업계가 당면한 과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Ⅵ. 참고문헌
www.uniqlo.co.kr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www.hankyung.com
www.economy.hankooki.com
www.munhwa.com
야나이 다다시 유니클로 이야기-가와시마 고타로, 양영철 역, 비즈니스북스, 2010
사례로 배우는 일본 유통 - 김현철, 최상철, 법문사, 2006
유니크로 방식 - 나기노 준죠, 심재섭 역, 2001
추천자료
유로디즈니 상황분석
[마케팅원론] 유니클로의 마케팅 전략 분석['A+레포트']
기업경영분석(경영분석, 재무분석)의 정의, 분류, 기업경영분석(경영분석, 재무분석)의 목적,...
기업재무분석(경영분석, 재무분석) 종류, 기업재무분석(경영분석, 재무분석) 의의, 평가항목,...
SPA란,ZARA, H&M, 유니클로 비교 분석,국내패션시장,패션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우수★) ‘ 옷 리폼 ’ 배우기 교실 (프로그램 필요성 검토, 프로그램 환경 및 상황분석, 요구...
[ 이랜드(ELAND) 기업분석 및 중국진출 전략보고서 ] 이랜드(EㆍLAND) 경영전략과 중국진출 ...
유니클로 글로벌전략과 해외직접투자 전략분석및 유니클로 경쟁사(스파오,H&M)와 비교분...
「유니클로 (Uniqlo)」 유니클로의 한국 진출, 유니클로 산업구조분석, SWOT 분석, 유니클로 ...
★[유니클로(Uniqlo)의 마케팅] 유니클로 마케팅 분석, 유니클로 경쟁, 유니클로 SWOT, 유니클...
네이버라인 LINE 서비스소개와 상황분석, 네이버라인 마케팅 성공전략 사례, 네이버라인 SWOT...
[양성평등 연구] 양성평등 (남녀평등) 개념과 상황분석및 양성불평등 원인과 양성평등 위한 ...
파키스탄의 상황분석과 발전 계획
[중소기업 경영론] BBQ에 대한 분석 및 지속성장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