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나폴레옹, 그는 누구인가?
나폴레옹 전쟁의 발발원인
나폴레옹 전쟁의 진행과정
나폴레옹 전쟁의 패전요인 및 영향
나폴레옹 전쟁의 발발원인
나폴레옹 전쟁의 진행과정
나폴레옹 전쟁의 패전요인 및 영향
본문내용
나폴레옹, 그는 누구인가?
<<그림>>
나폴레옹 전쟁 당시의 유럽정세 및 나폴레옹 전쟁의 발발원인
구제도의 모순
<<그림>>
왕실의 제정위기
왕실과 귀족들의 과도한 소비
제 3신분에 대한 과도한 착취
계몽사상
국가에 대한 충성심
국민 방위군
나폴레옹 전쟁의 진행과정
이탈리아원정-로디 전투 [1796년]
정의1796년 5월10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탈리아의 밀라노 남동쪽
31km 지점에 있는 아다 강의 로디 다리에서
오스트라아군 일부와 싸운 전투
주요내용
나폴레옹이 5월 10일 포강의 지류(支流)인
아다 강 근처에 있던 도시 로디(Lodi)에서
오스트리아군 후위군 K.P 세보텐도르프가
이끄는 10,000명의 군대와 벌인 전투를 벌임.
<<그림>>
로디교 위에서 벌어진 전투
이탈리아원정-로디 전투 [1796년]
결과
• 나폴레옹이 지휘관으로서
인정받기 시작한 전투
• ‘꼬마 하사관’ 이라는 별명을 얻음
<<그림>>
알프스 산맥을 넘는 나폴레옹
이집트 원정-아부키르만 해전 [1798년]
정의
호레이쇼 넬슨의 지휘하의 영국 해군이 이집트
에 주둔하던 나폴레옹의 프랑스 해군을
격침시킨 사건. (나폴레옹선대:350척
3만8천명장병,1천6백명수병 )
주요내용
아부키르만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20km 떨어져 있다. 프랑스 함대가 나폴레옹의
이집트원정에 종군하여 육군 병력 3만을 상륙
시킨 뒤, 약 1.5km의 선열을 만들어 해상에 정
박중인 것을 넬슨의 함대가 공격하였다.
몇 시간의 포격전 뒤에 양쪽 함대는 접근전
으로 들어가 브뤼에 제독 휘하의 프랑스 함대는
파멸적인 패배를 하였다.
<<그림>>
나폴레옹 전쟁 당시의 유럽정세 및 나폴레옹 전쟁의 발발원인
구제도의 모순
<<그림>>
왕실의 제정위기
왕실과 귀족들의 과도한 소비
제 3신분에 대한 과도한 착취
계몽사상
국가에 대한 충성심
국민 방위군
나폴레옹 전쟁의 진행과정
이탈리아원정-로디 전투 [1796년]
정의1796년 5월10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탈리아의 밀라노 남동쪽
31km 지점에 있는 아다 강의 로디 다리에서
오스트라아군 일부와 싸운 전투
주요내용
나폴레옹이 5월 10일 포강의 지류(支流)인
아다 강 근처에 있던 도시 로디(Lodi)에서
오스트리아군 후위군 K.P 세보텐도르프가
이끄는 10,000명의 군대와 벌인 전투를 벌임.
<<그림>>
로디교 위에서 벌어진 전투
이탈리아원정-로디 전투 [1796년]
결과
• 나폴레옹이 지휘관으로서
인정받기 시작한 전투
• ‘꼬마 하사관’ 이라는 별명을 얻음
<<그림>>
알프스 산맥을 넘는 나폴레옹
이집트 원정-아부키르만 해전 [1798년]
정의
호레이쇼 넬슨의 지휘하의 영국 해군이 이집트
에 주둔하던 나폴레옹의 프랑스 해군을
격침시킨 사건. (나폴레옹선대:350척
3만8천명장병,1천6백명수병 )
주요내용
아부키르만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20km 떨어져 있다. 프랑스 함대가 나폴레옹의
이집트원정에 종군하여 육군 병력 3만을 상륙
시킨 뒤, 약 1.5km의 선열을 만들어 해상에 정
박중인 것을 넬슨의 함대가 공격하였다.
몇 시간의 포격전 뒤에 양쪽 함대는 접근전
으로 들어가 브뤼에 제독 휘하의 프랑스 함대는
파멸적인 패배를 하였다.
추천자료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
나폴레옹과 보나파르트주의
전쟁중독,전쟁을팝니다.,전쟁 대행주식회사를잃고 루즈 체인지감상문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 배경,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
[걸프전][걸프전쟁][국제원유시장][원유][유가]걸프전(걸프전쟁)의 배경, 걸프전(걸프전쟁)의...
[농민전쟁][동학]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사상적 배경, 평안도농민전쟁(홍경래의 난, 동학...
[청일전쟁][세계정세][운요호사건][일본 상관관계][역사적 의의]청일전쟁전 세계정세, 청일전...
[한국군, 한국군 정치개입, 한국군 파병, 한국군 석유전쟁, 한국군 베트남전쟁참전, 한국군 ...
[일본근대사, 일본근대사와 에도막부, 메이지유신,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태평양전쟁]일본근...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개념, 일본교과서,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대...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
미국의 대테러 전쟁평가와 국제관계의 변화 - 새로운 전쟁의 도래, 전략적 인식의 변화, 미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