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명절 (中國的 节日风俗)> 춘절, 원소절, 청명절, 단오절, 노동절, 중추절, 국경절, 중국과 한국의 명절 비교.pptx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명절 (中國的 节日风俗)> 춘절, 원소절, 청명절, 단오절, 노동절, 중추절, 국경절, 중국과 한국의 명절 비교.pptx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국의 명절
 -춘절
 -원소절
 -청명절
 -단오절
 -노동절
 -중추절
 -국경절

중국과 한국의 명절 비교

본문내용

中國的
节日风俗




① 중국의 명절




▩ 춘절(春节)

음력 1월1일

http://v.pptv.com/show/NlT2dNxCsvBT0R8.html

〓〓〓〓〓〓〓〓〓〓〓〓〓〓〓〓〓〓〓〓〓〓〓〓〓〓〓〓〓〓〓〓〓〓〓〓〓〓〓〓〓〓〓〓〓〓〓〓〓〓〓

새옷을 입고
복자를 거꾸로 붙여서 복이 쏟아지게 함
1월2일에는 행복과 일년의 복이 날아가서 청소를 하지 않는다. 1월3일이 되면 청소 할 수 있음.
만두를 빚는 것은 사람들의 행운을 함께 빚어서 복이 들어오길 바람




▩ 춘절(春节)

고대 명칭

위엔단(元旦), 위엔르(元日), 위엔차오(元朝), 정단(正旦), 신정(新正), 구워니엔(過年), 구워신니엔(過新年), 싼위엔(三元)

〓〓〓〓〓〓〓〓〓〓〓〓〓〓〓〓〓〓〓〓〓〓〓〓〓〓〓〓〓〓〓〓〓〓〓〓〓〓〓〓〓〓〓〓〓〓〓〓〓〓〓

춘절은 음력 1월 1일로 위엔단(元旦), 위엔르(元日), 위엔차오(元朝), 정단(正旦), 신정(新正), 으로 불려졌고 민간에서는 구워니엔(過年) 구워신니엔(過新年) 이라 불렀습니다. 정월의 초하루를 1년의 으뜸이고 1월의 첫날이고 시작이라고 하여 싼위엔(三元)이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 춘절(春节)

춘절(春节)의 기원

〔‘봄’을 가리킴〕

〔입춘을 의미〕

☞ 음력 1월 1일과는 관련성이 無




▩ 춘절(春节)

춘절(春节) 사용의 시작

〔동한시대의 문헌〕
 • 봄을 가리키는 뜻, 춘절과는 상관이 없음

〔손중산(孫中山)의 통지문〕
 • “중화민국은 양력을 사용하되 황제기원 4691년 11월 13일을 중화민국 元年 元旦으로 한다”

〔12차 정무회의〕
 • 元旦: 양력 1월 1일 / 춘절: 정월 초하루

〓〓〓〓〓〓〓〓〓〓〓〓〓〓〓〓〓〓〓〓〓〓〓〓〓〓〓〓〓〓〓〓〓〓〓〓〓〓〓〓〓〓〓〓〓〓〓〓〓〓〓

춘절이란 용어는 동한시대에 나타났습니다. 동한시대의 문헌에 따르면 춘절이랑 용어가 사용되긴 했지만 이는 봄을 뜻했지 춘철의 의미는 아니였습니다.
춘절이란 단어가 중국인 사이에 널리 사용된 계기는 1912년 ½일 손중산이 각 성에 보낸 통지서에 중화민국은 양력을 사용하되 황제기원 4691년 11월 13일을 중화민국 元年 元旦으로 한다”라고 선언한 이후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후에 1949년 12월에 개최된 정무회의에서 元旦: 양력 1월 1일 / 춘절: 정월 초하루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 … 중 략 … ≫




원소절(元宵节)

원소절의 기원과 내용

[음력 정월 15일]
[신해혁명- ‘위안스카이를 소멸하자’]
[우리나라의 정월대보름과 과 같은 의미]
[중국 새해 축제의 마지막]

〓〓〓〓〓〓〓〓〓〓〓〓〓〓〓〓〓〓〓〓〓〓〓〓〓〓〓〓〓〓〓〓〓〓〓〓〓〓〓〓〓〓〓〓〓〓〓〓〓〓〓

제여지란을 진압하고 나라를 평정한 한무제의 즉위를 기념하여 원소절이라고 했다. 이후 당나라 때 정착되었으며, 청나라 때에 크게 유행했다
또한, 신해혁명으로 중화민국의 총통이 된 원세개가, 원(元)과 원(袁), 소(宵)와 소(消)가 음이 같아서 원소(袁消), 즉 ‘위안스카이를 소멸하자’는 뜻이라면서1913년 원소절부터 원소를 탕원(湯圓)으로 부르게 했다고도 한다.
  • 가격3,3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24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