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한 선교사들의 배경은 거의 복음주의였기에 박해 가운데서도 한국 교회는 발전을 지속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성경 번역에도 그들의 순수한 복음주의 신학이 반영되어 말씀으로 한국 교회를 세우는데 공헌했다. 안타깝지만 1930년대 이후 교회가 급속도로 흔들리며 일제에 기생한 이유도 잘못된 신학을 가진 이들 때문인 것이다. 그 결과 신사참배운동에 참여하는 자들이 생겼고, 그들 교회는 성장이 멈추고 민족은 등을 돌렸다. 반면 이를 반대한 이들은 성경에 대한 확신과 전천년주의 종말론이란 두 기둥을 가지고 순교를 감내했던 것이다. 따라서 목회자들은 바른 신학을 잘 배우고 또한 전할 수 있는 거룩한 통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주 특수하게 복음이 전파되고 흥왕했던 한국교회사! 주님의 섭리가 너무나 특별히 임했던 그 시간들을 돌아보며 주님의 살아계심을 다시 한 번 찬양하지 않을 수가 없다. 마지막으로 지금 한국교회는 침체되고 암울한 현실 앞에서 절망하지 말고, 한국 교회사에 대한 통전적인 역사의식을 갖고 일어나서 주님 오실 때까지 신앙의 선조들처럼 복음행전을 계속해서 써내려 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용규 저, 한국기독교교회사 1, 2, 생명의말씀사 2004
참고문헌
박용규 저, 한국기독교교회사 1, 2, 생명의말씀사 2004
추천자료
한국기독교 미술의 역사적 변천과 토착화 노력
한국교회 설교사 리딩 리포트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 구분을 통해본 한국교회의 미래상
이슬람과 한국교회
한국교회 찬송가 편집사
한국교회 예배 갱신 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칼빈이 요구하는 한국교회의 경건
한국교회 부흥에 대한 역사적 고찰
다문화시대에 다시보는 한국침례교회
지역사회에 대한 한국교회의 사회봉사 및 실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사회복지정책의 특성
[선교신학]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배경,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
종교개혁에서 찾은 한국교회의 개혁
WCC의 역사, WCC와 복음주의 신학교육의 당면과제, WCC의 이념과 한국교회의 타종교 이해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