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복식과 장신구(귀걸이와 비녀)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복식과 장신구(귀걸이와 비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시대 복식과 장신구

1. 조선시대 복식

2. 조선시대 장신구

1) 귀고리
2) 비녀

본문내용

뿔등의 재료를 깎아 만든 소박한 비녀를 사용했다.
비녀의 쓰임새중 재미있는 한 가지는 바로 그것이 가진 직접적인 환금성에 있다. 귀금속으로서의 값어치 덕분에 돈으로 바꿀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그래서 비녀는, 장식품이자 실용품인 동시에 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비상금이기도 했다. 다른 어떤것들보다도 재화로서의 잠재적 가치를 충분하게 가진 것이었기 때문에 길 떠나는 사람에게 노자로 주기도 하고, 급할 때 팔아 가세를 일으켰다는 이야기 또한 무수히 전해온다.
참고문헌
조효순 저,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전호태 저,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김은정, 임린 저, 역사 속의 우리옷 변천사, 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김정호 저, 우리 옷 역사 2000년, 글누리 2012
  • 가격1,3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4.06.2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