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historical consideration)> 고대의 유아교육, 중세의 유아교육, 근세의 유아교육, 19세기의 유아교육, 19세기 이후의 유아교육, 현대 유아프로그램의 경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historical consideration)> 고대의 유아교육, 중세의 유아교육, 근세의 유아교육, 19세기의 유아교육, 19세기 이후의 유아교육, 현대 유아프로그램의 경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유아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

2. 고대의 유아교육
 (1) 플라톤(Platon)
 (2)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 중세의 유아교육

4. 근세의 유아교육
 (1) 루터(Martin Luther)
 (2) 코메니우스(Johann Comenius)
 (3) 로크 (John Locke)
 (4) 루소(Jean Jacques Rousseau)

5. 19세기의 유아교육
 (1)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h Pestalozzi)
 (2) 오웬( Robert Owen)
 (3) 프뢰벨(Friedrich Wilhelm Froebel)

6. 19세기 이후의 유아 교육
 (1) 듀이(John Dewey)
 (2)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3) 피아제(Jean Piaget)
 (4) 비고츠기(Lev Vygotsky)
 (5) 가드너(Howard Gardener)

7. 현대 유아프로그램의 경향
 (1) 헤드스타드 프로그램
 (2)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되고 양적 팽창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유아교육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현대프로그램의 경향을 보면 헤드스타트 프로그램과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으로 행동주의 프로그램, 아동 중심 프로그램과 피아제이론에 입각한 프로그램,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있다.
(1) 헤드스타드 프로그램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은 유아교육을 사회 개혁에 초점을 두어 가난한 아동에게 교육의 균등한 기회를 주어 문화 실조를 극복하고 새로운 복지 사회를 이루려는 움직임을 일어났다. 헤드스타트의 교육목적은 유아들에게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서의 잠재적인 능력을 성취하게 함으로써 사회적 유능감을 촉진 시키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교육, 부모참여, 보건, 사회봉사, 영양관리, 교사교육의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2)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 이후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로 하였다. 먼저 행동주의 프로그램은 교사는 언제나 유아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관찰하며, 학습목표가 세분화 되어 있고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디스타트 프로그램과 아동중심 프로그램으로 아동 개개인 이 학습에 적극적 참여, 자발적으로 학습하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이 있다.
다음으로는 피아제이론에 입각한 프로그램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프로그램이며 카미-드리브스의 구성주의 이론,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몬테소리 프로그램으로 몬테소리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환경적 요인 강조하며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다시 프로그램이 있다.
* 디스타 프로그램: 촉진과 교정 학습을 위한 직접적인 교수체계로 사회에서 혜택 받지 못한 유아의 초등학교 준비단계로 쓰기, 읽기 능력 개발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행동주의에 근거하여 선정한 프로그램이다. 유치원에서 초등학교까지의 저소득층 아동들이 기본적인 학습 기초 기능을 습득함으로써 학교 학습에 성공하도록 돕는 것이 교육 목표이며 교육내용은 언어학습, 읽기학습, 수학학습, 음악교육 등 언어발달을 기본으로 하고 유아의 학습평가는 과정보다 결과에 치중하여 형성평가를 통해 유아가 과제를 얼마나 이해해 왔는지 알 수 있다.
*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은 프로이드, 프로벨, 피아제등과 같은 학자들의 인간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발달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이라 한다. 인간발달에 대한 환경의 중요성을 중시 하였고 교육목표는 태도나 가치관 형성 및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방법 습득, 학구적인 기술을 익혀 문제 해결력을 가르치며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탐구하고 유아의 능력과 발달 단계에 맞게 조정되는 개별화된 교수를 하며 교육내용은 능력과 대인 관계, 창의성에 강조를 두고 있으며 제시된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보다 이해해 가는 과정을 중요시 했다.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을 중요시 하였으며 교사의 역할은 유아의 학습 경험에 효과 있는 중재자가 되어야 한다.
* 까미-드브리스: 까미-드브리스는 저소득층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피아제 이론에 근거하여 유아의 인지구조를 발달시키고 문제해결력을 길러 주고자 하는 것으로 구성주의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하며 행동주의에 근거하여 선정한 프로그램으로 교육목표는 전인적 인간 육성으로 유아의 인지적, 도덕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로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일상생활, 아동발달 프로그램, 피아제가 암시한 활동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교사역할 유아 스스로가 진행할 수 있게 교구와 활동을 제시, 사고의 폭을 넓혀주며 유아의 학습과정을 진단 평가하고 적절한 반응과 도움을 주어야 한다.
* 다시 프로그램: 다시 프로그램은 헤드스타트의 프로그램으로 낙후된 지역 아동의 교육지체 현상을 예방 목적으로 개발 및 실시되고 유아초기 감각적 경험을 토대로 기본적인 태도와 기능 확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태도 발달 및 기능 발달이며 교사역할은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환경으로 조직적인 환경 구성을 위해 초기에는 교사 자신이 유일한 환경이 되며 순서화의 원리를 고려하여 유아수준에 맞는 교구를 제시해 준다.
참고문헌
이기숙, 강숙현 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정민사 2014
김수영, 김수임 외 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양서원 2013
황해익, 송연숙 외 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13
김진원 저, 나눔과 채움 사회복지학 개론, 탑 2012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6.2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