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개항 이후 옷의 역사 - 옷의 역사, 의복, 갈등과 순응의 시대(개화기), 일제강점기, 구호물자 만능시대(광복이후), 패션 춘추 전국시대(박정희 정권시대), 영 패션, 탈 유행시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사] 개항 이후 옷의 역사 - 옷의 역사, 의복, 갈등과 순응의 시대(개화기), 일제강점기, 구호물자 만능시대(광복이후), 패션 춘추 전국시대(박정희 정권시대), 영 패션, 탈 유행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갈등과 순응의 시대 : 개화기 (1876-1910)
 1) 서양복 수용
 2) 여성복 개량
 3) 민간 생활의 서양화

2. 일제강점기 (1910-1945)
 1) 의복 개량 운동
 2) 이중구조
 3) 유행과 패션
 4) 전시체제
 5) 피륙

3. 구호물자 만능시대: 광복이후 (1945-4960)
 1) 구호물자와 밀수품의 범람
 2) 양복 : 마카오신사시대
 3) 양장 : 혼돈의 시대
 4) 한국 전쟁과 패션의 국제화
 5) 여성복 패션의 국제화

4. 패션 춘추 전국 시대 : 박정희 정권시대 (1961-1980)
 1) 양복 : 신사복 패션 연출 시대
 2) 양장 : 복잡 다양한 시대
 3) 기성복과 청바지 열풍
 4) 신소재와 세탁

5. 영 패션, 탈 유행시대 (1990-현재)
 1) 패션의 경향
 2) 개성의 연출
 3) 새로운 현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쉽게 KS기호를 제정하여 모든 제품에 의무적으로 붙이도록 함. 물세탁 방법, 염소표백 방법, 다림질 방법, 드라이클리닝 방법, 짜는 방법, 말리는 방법 등 여섯 가지.
5. 영 패션, 탈 유행시대 (1990-현재)
1) 패션의 경향
- 여행 자율화 영향으로 해외 유명상표와 제휴하거나 물건을 도입하여 외제상품이 범람함. 가장 큰 변화는 유니섹스모드의 대두. 생활수준의 향상됨으로 라이프 스타일이 다양해지고 이에 따른 캐주얼 시대가 옴. 복고풍으로 날씬한 몸매를 강조한 컨셔스라인이 다시 유행하는가 하면 레이어드룩은 새로운 디자인으로 자신을 창조하고 연출하는 안목을 보여줌. 1983년 여름에는 ‘마직시대’라고 할 만큼 캐주얼웨어에서 정장까지 마직물의 사용범위가 넓어지는가 하면 1986년에는 견직물 생간이 급상승함.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으로 인해 스포츠웨어가 활성화됨.
- 교복자율화 : 1983년 전면실시 이후 간편한 청바지에 점퍼, 티셔츠차림이 유행. 학생의 교복 자율화는 청소년에게 다양한 캐주얼웨어의 패션화를 불러옴. 중저가 캐주얼 브랜드와 진 브랜드의 주니어 패션중심으로 기성복의 패션 붐을 일으킴. 청소년은 1970년대 경제 성장과 함께 자란 신세대이므로 감각적이고 개성이 강한 영 패션을 창조.
- 양복 : 양복의 제조 기능 수준은 세계최고. 국제기능올림픽 양복부문에서 12회 연속 금메달 획득. 신사복에도 캐주얼의 스포티화에서 정장 스타일이 유행하여 풍성한 재킷과 바지에 화려한 색상을 선호. 물빨래가 가능한 양복은 여름옷에서 매우 실용적이고 경제적.
- 겨울옷 패션 : 1984년 겨울 가죽옷의 범람으로 재킷이나 치마, 바지 등까지 영역확대. 1985년 12월에는 인조모피의 등장으로 저렴한 가격에 실용화 바람으로 크게 각광받음. 1985년 기성복 업계에서 남성용 오리털 파카가 크게 히트. 가볍고 따뜻하고 세탁이 용이하여 대중화됨.
2) 개성의 연출
- 1990년대 국제패션 시장화로 ‘탈 유행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음. 개인의 취향에 맞는 개성시대를 연출. ‘X세대’‘미시족’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출현하고 대중 스타의 패션이 모방.
- 진, 힙합, 배꼽티 : 1992년 10대들은 청바지를 찢거나 구멍을 내는 스타일이 유행. 시대별로 배꼽티, 골반바지, 초미니 핫팬츠, 프렌치 캐주얼, 스포츠룩, 비대칭형 클래식 스타일, 힙합바지 등 유행.
3) 새로운 현상
- 고쳐 입기, 나눠입기 : 1990년대 유행한 밍크코트는 부와 권위의 상징물 이었는데 유행이 지나자 수선하여 입는 일이 유행함. 1990년대 알뜰한 생활을 신조로 하자는 아나바다 운동이 유행함.
- 밀리터리룩 : 밀리터리룩은 디자인의 이미지와 스타일에서 기능성 높은 군복을 모방하거나 재해석한 것으로 세계적인 정세와 유행의 흐름에 따라 패션의 주제로 등장. 1차 대전을 효시로 1,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물자 부족과 여성의 근로 참여로 인해, 여성복의 패션에 밀리터리룩이 등장하여 군복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기능적인 테일러드 수트 스타일, 짧아진 스커트, 작업용 바지 착용, 방한 코트, 실용적 국민의상이 권장. 90년대에 들어서 네오 히피룩의 복고와 함께, 걸프전과 같은 국지전이 시작되면서 군복 모드는 다시 유행의 주제가 되어 패션 디자이너의 하이패션을 비롯하여 거리 모드에 이르기까지 밀리터리룩의 선풍을 일으킴. 특히 1996년의 가을 겨울 패션 트랜드에서 밀리터리룩은 전 세계 디자이너들이 채택한 패션의 테마가 됨. 70년대 이후 90년대에는 좁고 가는 느낌의 모던한 밀리터리룩이 등장. 1,2차 대전 기간에는 물자부족과 여성들의 근로 참여와, 국가 권장사항으로 밀리터리룩을 착용하였으나, 70년대에는 반전운동의 저항적 성격으로 착용. 90년대에는 스트리트 패션으로 시작하여 하이패션에 이르기까지 내적인 사상이나 상징성은 약화되고, 하나의 패션 트랜드로, 밀리터리룩의 복고현상으로 유행.
- 란제리룩 : 속옷 룩. 속옷 종류의 여러 가지 스타일에서 힌트를 얻은 옷차림. 특징은 속옷에서 사용하는 매우 얇은 소재를 사용하여 살갗을 드러나게 만든다는 것. 대표적인 옷으로서는 캐미솔 톱, 캐미솔 드레스, 슬립 드레스, 페티코트 스커트, 페티코트 드레스 등.
참고문헌
조효순 저,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전호태 저,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김은정, 임린 저, 역사 속의 우리옷 변천사, 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김정호 저, 우리 옷 역사 2000년, 글누리 2012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6.2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