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시 자동으로 상용전원으로 절환되는지 여부 확인 시험
- 시험방법 : 예비전원 시험스위치 누름 -> 전압계 지시치, 지정치의 범위 내에 있을 것 ->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전환릴레이 작동상황조사
- 양부판단기준 : 예비전원 전압, 용량, 절환상황 및 복구 동작이 정상일 것
2)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험장치 : 상용전원시험, 예비전원시험
3) 음향장치 구조 및 성능기준
- 정격전압의 80% 전압에도 음향을 발할 것
- 음량은 부착 음향장치 중심에서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이상 일 것
- 감지기, 발신기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것
4) 배선
- 감지기 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 절연저항계 사용 측정 시 0.1MΩ이상이어야 함.
- P형 수신기 감지회로 배선에서 하나의 공통선 접속 가능 경계구역은 7개 이하
5) 감지기 회로 도통시험을 위한 종단저항 설치기준
- 점검 및 관리 쉬운 장소 설치
- 전용함 설치 시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로 할 것
6)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축적형 감지기 사용불가 장소
- 축적 기능이 있는 수신기 설치 장소
- 감지기 배선 교차회로 방식인 장소
- 유류취급소와 같이 급속한 연소확대 우려가 있는 장소
7) 자동화재 탐지설비 설계도면 확인 사항
- 엘리베이터 승강로 연기감지기 설치관련
- 경보설비 발전기 비상전원 적용문제
- 비상전원과 예비전원 적용관련
- 1종 연기감지기 설치관련(높이)
- 직상층, 발화층 우선경보 관련
8) 자동화재 탐지설비 중계기 설치기준
- 수신기에 직접 감지기 회로 도통시험 행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
- 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 설치
- 수신기에 따라 감지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해 전력 공급 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입력측 배선에 과전류 차단기 설치, 당해 전원 정전 시 즉시 수신기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게 할 것
9) 자동화재 탐지설비 설치기준
- 수신기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 설치 그리고 경계구역 일람도 비치
- 수신기 음향기구는 그 음량과 음색이 다른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을 것
- 수신기는 감지기, 발신기, 중계기 동작 경계구역 표시할 것
- 하나의 표시등에 하나의 경계구역 표시
- 수신기 조작 스위치 바닥으로부터 0.8m ~ 1.5m 장소 설치,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2이상 수신기 설치 시 수신기 상호 연동해 화재 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가능할 것
10) P형 1급 수신기 성능검사
- 화재표시작동시험 회로도통시험
- 공통선 시험 예비전원시험
- 동시작동 시험 저전압시험
- 회로저항시험 비상전원시험
11) 자동화재 탐지설비 유지관리 확인사항
- 예비전원 및 비상전원 설비 외관 및 기능확인
-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중계기 및 음향장치 외관 및 기능확인
- 수신기 부근 조작상 지장 초래 장애물 확인
- 비상전원 방전유무확인
31. 공통선 시험 목적과 그 방법
1) 목적 : 1개의 공통선이 부담을 하는 경계구역 수가 7개 이하인지 확인
2) 방법 : 수신기 내 접속단자 공통선 1선 제거 -> 회로도통시험 예에 따라서 회로선택스위치를 차례로 회전 -> 시험용계기 지시등 ‘단선’ 지시한 경계구역 회선 수 조사
32. 비상용 전원설비, 축전지 설비
1) 연축전지 고장과 불량현상, 추정원인
- 초기고장
전 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 낮음(과방전)
단 전지 전압 비중저하, 전압계역전(극성 반대로 결선)
- 우발고장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정치 중 다량가스발생(불순물 혼입)
전해액 감소 빠름(과충전)
2) 연축전지 정격용량 100Ah, 상시부하 15KW 표준전압 100V 부동충전방식 충전기 2차 충전전류값
100/10 + 15000/100 = 160A
3) 축전지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 생길 때 기능회복 충전방식(회복충전방식)
4) 연축전지/알칼리전지 비교
연축전지
알칼리 전지
공칭전압(공칭용량)
2.0V(10Ah)
1.2V(5Ah)
방전종지전압
1.6V
0.96V
충전시간
길다
짧다
5) 알칼리 축전지 장, 단점
- 장점 : 수명 김, 과충방전 강함, 온도특성 양호, 기계적 강도 강함, 충전시간 짧다.
- 단점 : 비싸다, 단자전압 낮음
33. 습식 스프링클러 동작
1) 화재발생 -> 2) 헤드개방 -> 3) 알람체크밸브 유수감지 -> 4) 압력스위치 동작 -> 5) 사이렌 경보 -> 6) 소화설비반 밸브 개방신호 표시
34. 11층 이상 소방대상물 옥내소화전 설비 비상전원 설비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 설비
35. 분산형 중계기 설치장소
1) 발신기 세트함 내부
2) 스프링클러설비의 SVP 또는 접속함 내부
3) 가스계 소화설비 수동조작함 내부
4) 제연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36. 감지기
1) 지하공동구 설치 가능 감지기
: 분포형, 정온식 감지선형, 아날로그 방식
2) 소방기술기준에 대한 규칙에 감지기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
- 천장 또는 반자 높이 20m 이상
- 부식성 가스 체류 장소
- 실내 용적 20m3이하
- 목욕실, 욕조나 샤워시설 있는 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3) 일관성 비화재보 방지책
- 축적기능 있는 수신기 설치
- 축적형, 복합형 감지기 설치, 불꽃 감지기 설치
- 아날로그 방식 감지기 설치
37. 3상 3선식 전기회로 변류기 설치, 작동원리 누전 시
1) 전류값 I1, I2, I3
I1 = Ia Ib
I2 = Ic Ib
I3 = Ia Ic + Ig
2) I1 + I2 + I3 = Ig
38. 명칭
1) MDF : 주배선반
2) LAN : 구내 정보통신망
3) PBX : 사설 구내교환대
4) CAD : 컴퓨터 원용(지원) 설계
5) CVCF : 정전압 정 주파수 장치
6) ELB : 누전차단기
7) CT : 변류기
39. 잔압강하 및 전선단면적
1) 1상2선 : e = 35.6LI/1000A
2) 3상3선 : e = 30.8LI/1000A
3) 1상 3선, 3상 4선 : e = 17.8LI/1000A
- 시험방법 : 예비전원 시험스위치 누름 -> 전압계 지시치, 지정치의 범위 내에 있을 것 ->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전환릴레이 작동상황조사
- 양부판단기준 : 예비전원 전압, 용량, 절환상황 및 복구 동작이 정상일 것
2)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험장치 : 상용전원시험, 예비전원시험
3) 음향장치 구조 및 성능기준
- 정격전압의 80% 전압에도 음향을 발할 것
- 음량은 부착 음향장치 중심에서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이상 일 것
- 감지기, 발신기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것
4) 배선
- 감지기 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 절연저항계 사용 측정 시 0.1MΩ이상이어야 함.
- P형 수신기 감지회로 배선에서 하나의 공통선 접속 가능 경계구역은 7개 이하
5) 감지기 회로 도통시험을 위한 종단저항 설치기준
- 점검 및 관리 쉬운 장소 설치
- 전용함 설치 시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로 할 것
6)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축적형 감지기 사용불가 장소
- 축적 기능이 있는 수신기 설치 장소
- 감지기 배선 교차회로 방식인 장소
- 유류취급소와 같이 급속한 연소확대 우려가 있는 장소
7) 자동화재 탐지설비 설계도면 확인 사항
- 엘리베이터 승강로 연기감지기 설치관련
- 경보설비 발전기 비상전원 적용문제
- 비상전원과 예비전원 적용관련
- 1종 연기감지기 설치관련(높이)
- 직상층, 발화층 우선경보 관련
8) 자동화재 탐지설비 중계기 설치기준
- 수신기에 직접 감지기 회로 도통시험 행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
- 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 설치
- 수신기에 따라 감지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해 전력 공급 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입력측 배선에 과전류 차단기 설치, 당해 전원 정전 시 즉시 수신기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게 할 것
9) 자동화재 탐지설비 설치기준
- 수신기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 설치 그리고 경계구역 일람도 비치
- 수신기 음향기구는 그 음량과 음색이 다른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을 것
- 수신기는 감지기, 발신기, 중계기 동작 경계구역 표시할 것
- 하나의 표시등에 하나의 경계구역 표시
- 수신기 조작 스위치 바닥으로부터 0.8m ~ 1.5m 장소 설치,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2이상 수신기 설치 시 수신기 상호 연동해 화재 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가능할 것
10) P형 1급 수신기 성능검사
- 화재표시작동시험 회로도통시험
- 공통선 시험 예비전원시험
- 동시작동 시험 저전압시험
- 회로저항시험 비상전원시험
11) 자동화재 탐지설비 유지관리 확인사항
- 예비전원 및 비상전원 설비 외관 및 기능확인
-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중계기 및 음향장치 외관 및 기능확인
- 수신기 부근 조작상 지장 초래 장애물 확인
- 비상전원 방전유무확인
31. 공통선 시험 목적과 그 방법
1) 목적 : 1개의 공통선이 부담을 하는 경계구역 수가 7개 이하인지 확인
2) 방법 : 수신기 내 접속단자 공통선 1선 제거 -> 회로도통시험 예에 따라서 회로선택스위치를 차례로 회전 -> 시험용계기 지시등 ‘단선’ 지시한 경계구역 회선 수 조사
32. 비상용 전원설비, 축전지 설비
1) 연축전지 고장과 불량현상, 추정원인
- 초기고장
전 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 낮음(과방전)
단 전지 전압 비중저하, 전압계역전(극성 반대로 결선)
- 우발고장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정치 중 다량가스발생(불순물 혼입)
전해액 감소 빠름(과충전)
2) 연축전지 정격용량 100Ah, 상시부하 15KW 표준전압 100V 부동충전방식 충전기 2차 충전전류값
100/10 + 15000/100 = 160A
3) 축전지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 생길 때 기능회복 충전방식(회복충전방식)
4) 연축전지/알칼리전지 비교
연축전지
알칼리 전지
공칭전압(공칭용량)
2.0V(10Ah)
1.2V(5Ah)
방전종지전압
1.6V
0.96V
충전시간
길다
짧다
5) 알칼리 축전지 장, 단점
- 장점 : 수명 김, 과충방전 강함, 온도특성 양호, 기계적 강도 강함, 충전시간 짧다.
- 단점 : 비싸다, 단자전압 낮음
33. 습식 스프링클러 동작
1) 화재발생 -> 2) 헤드개방 -> 3) 알람체크밸브 유수감지 -> 4) 압력스위치 동작 -> 5) 사이렌 경보 -> 6) 소화설비반 밸브 개방신호 표시
34. 11층 이상 소방대상물 옥내소화전 설비 비상전원 설비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 설비
35. 분산형 중계기 설치장소
1) 발신기 세트함 내부
2) 스프링클러설비의 SVP 또는 접속함 내부
3) 가스계 소화설비 수동조작함 내부
4) 제연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36. 감지기
1) 지하공동구 설치 가능 감지기
: 분포형, 정온식 감지선형, 아날로그 방식
2) 소방기술기준에 대한 규칙에 감지기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
- 천장 또는 반자 높이 20m 이상
- 부식성 가스 체류 장소
- 실내 용적 20m3이하
- 목욕실, 욕조나 샤워시설 있는 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3) 일관성 비화재보 방지책
- 축적기능 있는 수신기 설치
- 축적형, 복합형 감지기 설치, 불꽃 감지기 설치
- 아날로그 방식 감지기 설치
37. 3상 3선식 전기회로 변류기 설치, 작동원리 누전 시
1) 전류값 I1, I2, I3
I1 = Ia Ib
I2 = Ic Ib
I3 = Ia Ic + Ig
2) I1 + I2 + I3 = Ig
38. 명칭
1) MDF : 주배선반
2) LAN : 구내 정보통신망
3) PBX : 사설 구내교환대
4) CAD : 컴퓨터 원용(지원) 설계
5) CVCF : 정전압 정 주파수 장치
6) ELB : 누전차단기
7) CT : 변류기
39. 잔압강하 및 전선단면적
1) 1상2선 : e = 35.6LI/1000A
2) 3상3선 : e = 30.8LI/1000A
3) 1상 3선, 3상 4선 : e = 17.8LI/1000A
추천자료
전기기기의 전자기력 분포 해석에 관한 연구
전파분야
환경규제분야의 정부와 기업간 협력 및 환경친화기업지정제도 사례
한국의 분야별 혁신경영인의 리더십사례
초등학교 실과교과(실과교육) 교육중점과 교육실태, 초등학교 실과교과(실과교육) 교양농업교...
[소방] 화재예방요령
일본 전자 제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 파나소닉(마쓰시타 전기) 캐논, 도시바, 닌...
5)사회-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 조선 전기 국가 기틀을 바로 세우기 위한 경국대전...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주력해야 할 기술개발분야
철도차량의 분야별 역할과 책임.
[소화기 종류][소화기 사용방법][소화기 점검][소화기 보관][소화기 관리요령][화재][소방서]...
소방원론 (화재, 산불, 폭발, 가스, 위험성 영향인자, 연소, 화상, 연기, 플레쉬 오버)
인테리어코디네이트 실무 실내건축 설비의 이해
인터넷비즈니스(E-biz, 이비지니스)의 의미, 특성, 인터넷비즈니스(E-biz, 이비지니스)의 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