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제기
Ⅱ. 질서의식이 없는 이유
1. 홉스테드(Geert Hofstede)의 이론과 질서의식
2. 정(情), 관계 중심적 대인관계와 질서의식
Ⅲ. 질서의식이 없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1. 서양인과의 의사소통 방해요소
2. 선교지에서의 방해 요소
Ⅳ. 성경적 사고
Ⅴ. 맺으며...
Ⅱ. 질서의식이 없는 이유
1. 홉스테드(Geert Hofstede)의 이론과 질서의식
2. 정(情), 관계 중심적 대인관계와 질서의식
Ⅲ. 질서의식이 없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1. 서양인과의 의사소통 방해요소
2. 선교지에서의 방해 요소
Ⅳ. 성경적 사고
Ⅴ. 맺으며...
본문내용
아내는 남편의 돕는 자로서 가정의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한편 가정 안에서 부모는 자녀를 주의 말씀으로 훈계해야 할 임무가 있으며, 자녀는 부모를 순종함으로써 가정의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하나님은 십계명의 제 5계명부터 제10계명을 통하여 하나님의 백성들이 사회 속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질서를 세우셨다. 앞에서 언급한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며 우선적인 계명이다. 살인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도적질하지 말라, 이웃에 대해 거짓증거하지 말라,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는 다섯 가지 계명 역시 모두 타인과의 관계에서 기본적으로 지켜져야 할 규범이며 질서이다. 오늘날의 모든 법과 규범들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많은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십계명의 범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은 여섯 가지 계명을 통해 인류사회의 질서를 세우신 것이다.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는 모든 영역(교회와 세속사회)은 질서 있게 움직여져야 한다.
신약성경은 질서와 관련하여 몇 가지를 언급한다. 예수님은 사람이 법에 종속되기 보다는 법이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말씀하신다.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고친 후 사람들이 예수님을 송사했을 때, 예수님은 “사람이 양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고 반문하신다. 모든 규범과 질서는 곧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강조하시는 것이다.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법은 사랑을 원리로 해야 한다. 율법사가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냐고 물었을 때, 예수님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말로 답하신다. ‘사랑’은 모든 율법을 포괄하는 것으로, 율법의 완성이다. 사랑이 있는 곳에 질서는 세워지며, 규제가 아닌 자율 속에서 성숙한 사회를 이루어낼 수 있다.
Ⅴ. 맺으며...
한국인으로서 한국인의 의식구조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다. 특히, 한국인의 질서의식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으로 한국인의 뿌리에 깊이 박혀있는 정(情)관계중심 대인관계의 틀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선교지로 나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고 앞으로의 큰 과제로 남았다. 단일문화권에서 생활해온 우리 한국인이 선교사로서 타문화권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교제하며 함께 하나님의 일을 할 때, 우리가 가진 장점이 크게 활용될 수 있도록 겸손하게 우리의 부족함을 수용해야겠다. 무엇보다 성경에서 말하는 질서의 하나님이 우리의 문화와 어떻게 상이한지 계속해서 탐문해야겠다.
한편 가정 안에서 부모는 자녀를 주의 말씀으로 훈계해야 할 임무가 있으며, 자녀는 부모를 순종함으로써 가정의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하나님은 십계명의 제 5계명부터 제10계명을 통하여 하나님의 백성들이 사회 속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질서를 세우셨다. 앞에서 언급한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며 우선적인 계명이다. 살인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도적질하지 말라, 이웃에 대해 거짓증거하지 말라,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는 다섯 가지 계명 역시 모두 타인과의 관계에서 기본적으로 지켜져야 할 규범이며 질서이다. 오늘날의 모든 법과 규범들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많은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십계명의 범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은 여섯 가지 계명을 통해 인류사회의 질서를 세우신 것이다.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는 모든 영역(교회와 세속사회)은 질서 있게 움직여져야 한다.
신약성경은 질서와 관련하여 몇 가지를 언급한다. 예수님은 사람이 법에 종속되기 보다는 법이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말씀하신다.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고친 후 사람들이 예수님을 송사했을 때, 예수님은 “사람이 양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고 반문하신다. 모든 규범과 질서는 곧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강조하시는 것이다.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법은 사랑을 원리로 해야 한다. 율법사가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냐고 물었을 때, 예수님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말로 답하신다. ‘사랑’은 모든 율법을 포괄하는 것으로, 율법의 완성이다. 사랑이 있는 곳에 질서는 세워지며, 규제가 아닌 자율 속에서 성숙한 사회를 이루어낼 수 있다.
Ⅴ. 맺으며...
한국인으로서 한국인의 의식구조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다. 특히, 한국인의 질서의식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으로 한국인의 뿌리에 깊이 박혀있는 정(情)관계중심 대인관계의 틀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선교지로 나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고 앞으로의 큰 과제로 남았다. 단일문화권에서 생활해온 우리 한국인이 선교사로서 타문화권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교제하며 함께 하나님의 일을 할 때, 우리가 가진 장점이 크게 활용될 수 있도록 겸손하게 우리의 부족함을 수용해야겠다. 무엇보다 성경에서 말하는 질서의 하나님이 우리의 문화와 어떻게 상이한지 계속해서 탐문해야겠다.
추천자료
예술작품에 있어서 ‘무의식’에 관한 연구(살바도르 달리 를 중심으로)
북한문학에 나타난 통일의식에 대한 분석과 연구
1970년대 기독교 소설의 의식 고찰
신동엽 시에 나타난 민중의식
영문학 연구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의식의 변화와 반론
일본만화와 애니메이션을 통해 본 일본인의 의식
도시근교 주말농장의 운영현황과 참여자의 의식조사
일본인의 죽음에 대한 의식
<홍계월전> 연구-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식과 교육적 활용의 문제-
<홍계월전> 연구-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식과 교육적 활용의 문제-
역사적 과정에서 우리의 사회의식은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철학의 빈곤’과 ‘정체성의 ...
한국 대학생의 성의식.ppt
<홍계월전> 연구-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식과 교육적 활용의 문제
학교 성교육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의식에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