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데이터 분석
실험결과
실험고찰
실험결과
실험고찰
본문내용
트의 실선을 만들고 싶다면 그에 맞게 길이와 폭의 비를 수정하여 다시 모험시험을 통해 그 속도에서의 전저항계수가 hollow를 이루게끔 하면 좋은 설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차의 원인을 분석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 scale effect이다. 이번 실험에서 외삽법을 사용할 때 모형선의 잉여저항계수와 실선의 잉여저항계수를 같다고 가정하고 외삽을 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오차가 생긴다. 이는 바로 잉여저항계수에 프루드수 만이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레이놀즈수의 영향을 배제하여 생기는 것으로 원래 외삽을 할 때 들어가는 수정계수에 이에 따른 추정 오차 값을 넣어주게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는 양수의 값을 가지지만 이번에 사용한 2차원 외삽법의 경우에서는 음수의 값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이 말인 즉, 외삽법 자체의 오차가 크다는 말이다.) Hughes의 방법을 참고한 3차원 외삽법은 저항을 좀 더 낮게 추정하고 의 값으로 실선의 저항을 좀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원래 실험1과 2는 각기 다른 별개의 시험이기 때문에 비교를 하는 것은 옳지 못하지만 여러 데이터 항목들을 비교분석할 때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그림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trim은 실험2에서 보다 실험1에서 언제나 큰 값을 보였지만 그림3, 4와 같이 같은 환경에서 측정한 유효마력과 잉여저항계수 의 그래프를 trim의 그래프와 비교해보면, trim이 감소할 때 유효마력과 잉여저항계수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해석해 보자. 먼저 비슷한 선수, 선미의 흘수상태에서 trim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즉, 선수와 선미의 흘수차이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또, 이 trim의 값이 음수이므로 trim이 음수이고 그 절댓값이 크다는 것은 선수(船首)가 상대적으로 더 들려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상태에서는 배가 평형상태에 있는 것보다 저항을 덜 받는 것이 타당하며(고속선의 경우 이런 배의 상태가 눈에 보이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이번 실험의 결과는 합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림5의 sink 그래프를 보면 선속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항값과 유효마력도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배의 속도가 일정 값 이상 빨라지게 되면 선체가 뜨는 효과가 생기는데, 실험에서는 예인파이프로 선체의 중앙부를 고정시켜놓았기 때문에 실험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또한 오차의 원인을 분석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 scale effect이다. 이번 실험에서 외삽법을 사용할 때 모형선의 잉여저항계수와 실선의 잉여저항계수를 같다고 가정하고 외삽을 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오차가 생긴다. 이는 바로 잉여저항계수에 프루드수 만이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레이놀즈수의 영향을 배제하여 생기는 것으로 원래 외삽을 할 때 들어가는 수정계수에 이에 따른 추정 오차 값을 넣어주게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는 양수의 값을 가지지만 이번에 사용한 2차원 외삽법의 경우에서는 음수의 값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이 말인 즉, 외삽법 자체의 오차가 크다는 말이다.) Hughes의 방법을 참고한 3차원 외삽법은 저항을 좀 더 낮게 추정하고 의 값으로 실선의 저항을 좀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원래 실험1과 2는 각기 다른 별개의 시험이기 때문에 비교를 하는 것은 옳지 못하지만 여러 데이터 항목들을 비교분석할 때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그림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trim은 실험2에서 보다 실험1에서 언제나 큰 값을 보였지만 그림3, 4와 같이 같은 환경에서 측정한 유효마력과 잉여저항계수 의 그래프를 trim의 그래프와 비교해보면, trim이 감소할 때 유효마력과 잉여저항계수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해석해 보자. 먼저 비슷한 선수, 선미의 흘수상태에서 trim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즉, 선수와 선미의 흘수차이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또, 이 trim의 값이 음수이므로 trim이 음수이고 그 절댓값이 크다는 것은 선수(船首)가 상대적으로 더 들려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상태에서는 배가 평형상태에 있는 것보다 저항을 덜 받는 것이 타당하며(고속선의 경우 이런 배의 상태가 눈에 보이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이번 실험의 결과는 합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림5의 sink 그래프를 보면 선속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항값과 유효마력도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배의 속도가 일정 값 이상 빨라지게 되면 선체가 뜨는 효과가 생기는데, 실험에서는 예인파이프로 선체의 중앙부를 고정시켜놓았기 때문에 실험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추천자료
해양공간이용
해양바이오 연근해 어업분석(서남구기저외끌이)
[실시간][시스템][분할][위성항법보정][원격강의]실시간 시스템 설계를 위한 HW/SW 분할시스...
[갯벌][갯벌정책][갯벌보존][서해안갯벌][해양생태계][갯벌생태계][갯벌매립]다양한 갯벌의 ...
[교통안전시책][도로교통사고][철도사고][해양사고][교통안전사고][교통사고]교통안전시책의 ...
인천항(인천항만, 인천항구)의 연혁과 기능재배치, 인천항(인천항만, 인천항구)의 항만시설 ...
[적조현상][적조피해][적조예방][적조]적조현상과 해양환경, 적조현상의 정의, 적조현상의 장...
해양플랜트
[조사방법 설계]조사방법 설계 사례1(시민만족도), 조사방법 설계 사례2(5 18), 조사방법 설...
[폐기물][방사성폐기물][핵폐기물][사업장폐기물][특수폐기물][유해폐기물]방사성폐기물(핵폐...
[정부 지식경영][정부 지식경영 도입][정부 지식경영 해양수산부][정부 지식경영 시스템구축]...
생명과환경2공통)원자력발전의 대안에 대해서 생각해보시오 {신재생 에너지, 바이오매스 에너...
[★★평가우수자료★★][정책사례분석] 대양해군정책 분석,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사례, MSF 이론...
[해양산업] 제주도 해양과 해양산업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