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2. 실험방법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실험준비물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4. 실험결과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5. 결과토의
6. 검토할 사항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2. 실험방법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실험준비물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4. 실험결과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5. 결과토의
6. 검토할 사항
Ⅰ. 다중파 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본문내용
생된다. 이 photon이 전자를 발생시키고, 이 때 pulse가 생성된다. 에너지가 작아서 전자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pre amplifer와 amplifer를 지나 펄스들이 증폭되게 된다. 그리고 이 증폭된 펄스들 중에서 SCA는 LLD와 ULD사이만 Count 하게 된다. 이런 SCA(Single Channel Analyzer)가 여러개 연결되어 있는것이 MCA(Multi channel Analyzer)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linear Gate가 열릴때까지 Delay가 생겨서 분해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b) Pre-Amp, Amp, ADC의 계측기에서 역할
Pre Amp - PM 튜브의 Anode에 들어오는 Pulse 에너지 왜곡을 방지하고, signal attenuation을 줄여준다. Pulse를 증폭시킨 뒤 Amp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Amp - Pre Amplifer에서 받은 Pulse를 변형하고 증폭시킨다.
ADC - 연속적인 아날로그적 신호를 불연속적인 디지털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c) 에너지 교정을 위한 참고선원(Reference Source)이 갖추어야 할 조건
Photopeak가 뚜렷하게 나타날수록 좋고, 에너지 값을 알고 있어야 한다.
(d) NIM과 CAMAC의 개념
NIM(Nuclear Instrumentation Module) - 핵물리와 실험 입자에 쓰이는 electroics 모듈을 위한 기계적, 전기적 특서의 기준이다.
CAMAC(Computer Automated Measurement And Control) - 원자와 입자 물리 실험에 쓰이는 Data 입력과 컨트롤을 위한 표준 bus이다.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a) 스펙트럼에서 ΔC가 발생하는 원인
이론적으로는 단일 에너지가 생성되어야 하지만, 노이즈 등과 같은 영향으로 분포를 가지면서 Peak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래프가 벌어지는 FWHM(ΔC)이 형성된다.
(b) 분해능과 효율의 차이점을 비교
분해능이 높을수록 FWHM이 크고, 분해능이 낮을수록 FWHM이 작고, 효율이 높다. 따라서 분해능과 효율은 반비례관계를 가진다.
(c) 같은 방사능의 137Cs, 60Co 선원을 MCA상에서 측정할 때 137Cs 피크가 큰 이유?
60Co는 1.33MeV와 1.17MeV로 나뉘면서 두 에너지를 가지지만, 137Cs 는 0.662MeV로 한가지의 에너지만 가지기 때문에 더 큰 Peak를 가진다.
(b) Pre-Amp, Amp, ADC의 계측기에서 역할
Pre Amp - PM 튜브의 Anode에 들어오는 Pulse 에너지 왜곡을 방지하고, signal attenuation을 줄여준다. Pulse를 증폭시킨 뒤 Amp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Amp - Pre Amplifer에서 받은 Pulse를 변형하고 증폭시킨다.
ADC - 연속적인 아날로그적 신호를 불연속적인 디지털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c) 에너지 교정을 위한 참고선원(Reference Source)이 갖추어야 할 조건
Photopeak가 뚜렷하게 나타날수록 좋고, 에너지 값을 알고 있어야 한다.
(d) NIM과 CAMAC의 개념
NIM(Nuclear Instrumentation Module) - 핵물리와 실험 입자에 쓰이는 electroics 모듈을 위한 기계적, 전기적 특서의 기준이다.
CAMAC(Computer Automated Measurement And Control) - 원자와 입자 물리 실험에 쓰이는 Data 입력과 컨트롤을 위한 표준 bus이다.
Ⅱ. 에너지 분해능 측정
(a) 스펙트럼에서 ΔC가 발생하는 원인
이론적으로는 단일 에너지가 생성되어야 하지만, 노이즈 등과 같은 영향으로 분포를 가지면서 Peak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래프가 벌어지는 FWHM(ΔC)이 형성된다.
(b) 분해능과 효율의 차이점을 비교
분해능이 높을수록 FWHM이 크고, 분해능이 낮을수록 FWHM이 작고, 효율이 높다. 따라서 분해능과 효율은 반비례관계를 가진다.
(c) 같은 방사능의 137Cs, 60Co 선원을 MCA상에서 측정할 때 137Cs 피크가 큰 이유?
60Co는 1.33MeV와 1.17MeV로 나뉘면서 두 에너지를 가지지만, 137Cs 는 0.662MeV로 한가지의 에너지만 가지기 때문에 더 큰 Peak를 가진다.
추천자료
물리 실험 - 직류회로 - 결과보고서
일반 화학 실험 생활속의 산염기 적정(결과보고서)
실험 13. CMOS-TTL interface(결과보고서)
실험 15. 플립플롭의 기능(결과보고서)
실험 16. RLC회로의 과도응답(결과보고서)
실험 17. 쉬프트 레지스터(결과보고서)
실험 21. 메모리 회로(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11] 열의 일당량 결과보고서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0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25 결과보고서-A급 공통이미터 전력증폭기
[유기화학실험] 디아조아미노벤젠 합성 결과보고서 : 아닐린에 NaNO2와 H2SO4를 작용시켜 디...
일반一般 물리학 및 실험 - 낙하운동 결과보고서
일반 물리학 및 실험 고체의 비열 측정 결과보고서
일반 물리학 및 실험 힘의평형,길이의 측정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