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F- 정의와 목적,DCF의 3단계 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CF- 정의와 목적,DCF의 3단계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DCF 의 정의와 목적
DCF의 3단계 과정
PFCF vs EFCF
사례 1 - 셀트리온 PFCF, EFCF
사례 2 – LG U+ PFCF, EFCF
정리

본문내용

PFCF 구하기
PFCF(사업잉여현금흐름, 기업입장)
= EBIT(1-T) + DEP – NWC CF(순운전자본증가분) – NCA CF(고정자산증가분)
EBIT : 영업 이익
T : 영업이익에 대한 법인세율
DEP : 감가상각비 (현금흐름표의 DEP를 이용)
순운전자본증가분 : (유동자산-유동부채의 변화
고정자산증가분 : 비유동자산의 증가분
PFCF의 한계
PFCF = EFCF + 채권자 현금흐름
EFCF = EBIT(1-T) + DEP – 순운전자본증가분 – 고정자산증가분 + 신규부채 – 상환부채
Unlevered Firm , 부채가 없으므로 PFCF = EFCF가 된다.
PFCF의 한계
- PFCF <0 이라고 하여 EFCF <0 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음.
(EFCF >0이지만 차입액의 절대치가 |EFCF|보다 크게되면 PFCF<0)
- PFCF >0 이라고 하여 EFCF >0 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음.
(EFCF <0이지만 상환액의 절대치가 |EFCF|보다 크게되면 PFCF>0)

키워드

DCF,   정의,   목적,   DCF의 3단계,   과정,   PFCF,   EFCF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7.07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28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