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관광 성공사례] 생태관광의 필요성 및 성공사례 (생태관광의 필요성, 생태관광의 특성, 생태관광객의 특성, 생태관광의 영향, 생태관광의 성공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관광 성공사례] 생태관광의 필요성 및 성공사례 (생태관광의 필요성, 생태관광의 특성, 생태관광객의 특성, 생태관광의 영향, 생태관광의 성공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태관광이란?
2. 생태관광의 필요성
 1) 현대인의 여가와 생태관광
 2) 농촌지역 활성화와 생태관광
 3) 도농격차 해소
 4)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서의 생태관광
3. 생태관광의 특성
4. 생태관광객의 특성
5. 생태관광의 영향
 1) 환경적 영향
 2) 사회·문화적 영향
 3) 경제적 영향
6. 생태관광의 성공사례
 1) 국내의 사례
 2) 해외의 사례

참고자료

본문내용

홍수림(紅樹林, mangrove)의 습지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넓이는 1,500㏊로 여의도 면적(약850㏊)의 약 1.8배에 이른다, 이곳은 연간 320종이상, 6만 8,000마리의 철새가 날아오는 새들의 낙원이다. 이곳은 1984년부터 WWF(세계자연보호기금)홍콩지소가 관리하고 있고, 1995년에는 습지보호를 위한 구제조약인 람사(RAMSAR)조약에도 등록 되어있다.
마이포 습지(MaipoMarsh)는 홍콩의 북서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500ha로 갯벌과 맹그로브 습지가 차지하고 있고 마이포습지는 원래 어류, 새우의 양식장 및 일부는 논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도시화가 진행되고 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져 1976년 홍콩정부는 특별과학 관심지역으로 지정 (Site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 하였다. 그리고 1984년,WWF-홍콩이 적극적인 보전과 교육에 대한 관리 시작으로 1995년, Inner Deep만과 마이포 주변의 1,500ha가 람사 등록 습지로 등록 되었다. 마이포 습지의 특징은 ① 연안 조간대 갯벌, 맹그로브 습지(중국에서 6번째로 잘 발달 된 지역) ② 잘 발달된 갈대 군락(광동성에서 가장 큰 면적) ③ 새우 양식장(24개) 및 해수습지 등이 있다. 습지관리는 람사지구로 지정된 후 Ramsar ManagementAuthority(Agriculture and Fisheries Dept.)가 람사협약에서 제시한 현명한 이용에 대한 기본 원칙을 유지하기 위해 1995년 전체 지구를 5개의 소지역(Zone)으로 구분하였다. ① 핵심지구(Core zone)는 자연성이 높은 지역으로 교란요인이 거의 없는 지구 ② 생물다양성 관리지구(Biodiversity management zone)는 집중적으로 관리가 이루는 곳으로 생물다양성 보전, 교육 및 훈련이 이루어지는 지구 ③ 일반인 접근지역(Public access zone)은 일반 방문자가 습지 및 람사지구의 중요성을 인식할수 있도록 접근이 가능하게 만든 지구 ④ 현명한 이용지역(Wise use zone) 지구는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예 :양어장 등) ⑤ 사유지 구역(Privatel and zone) 지구는 개인 소유지로 특별한 관리 방안이나 토지이용에 제한을 받는 곳으로 구분하였다.
마이포 습지는 아직도 전통 어법(漁法)과 양어장 그리고 새우양식 연못이 남아 있고 마이포의 관찰시즌은 철새가 날아오는 10월 11월경부터 2, 3월까지이며, 이곳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WWF홍콩 마이포사무소에 가야하는데 이곳에서 입장을 위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 입장 시에는 음료수와 쌍안경을 한 손에 귀고 사무소 뒤편의 입구에서의 최초의 관찰 오두막으로 향한다. 관찰 오두막에서는 습지대를 사이에 두고 고층 빌딩 군을 배경으로 새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
(3) 캐나다
캐나다는 광대한 영토와 풍부한 자연생태자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관광에 일찍부터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리고 많은 생태관광지가 있는데, 이중에서 단풍과 호수로 유명한 알곤퀸 국립공원(AlgonquinPark)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공원은 미래의 생태관광 모델공원이라 불릴 정도로 유명하다. 알콘퀸 주립공원은 온타리오주의 주도(州都)인 토론토에서 북쪽으로 170㎞에 위치,, 면적은 7,725㎢이다. 이 지역이 주립공원으로 지정(1893년)된 것은 무분별한 벌채를 막고 멸종되어가는 야생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처였다.
8000㎢ 넓이의 공원 안에는 2만5천여 개의 크고 작은 호수들, 원시림, 비버·무스(사슴의 일종)등 야생동물들의 천국을 이루고 있다. 동물들에게도 천국이지만, 사람들에겐 카누·산악자전거·낚시·하이킹 등 대자연속에서 즐기는 레포츠의 천국이다. 공원 안을 지나는 찻길은 공원 남부 끄트머리에 개설된 56㎞ 길이의 도로가 유일하다. 나머지 지역은 걷거나 카누를 타고 탐방해야 한다. 호수와 호수로 이어지는 카누 탐방로의 총 길이는 1000㎞에 이른다. 삼림욕을 즐기며 산책할 수 있는 숲길도 곳곳에 뚫려 있다. 차도의 동쪽 입구 부근의 야외전시장 겸 탐방로는 과거 말과 각종 장비들을 이용해 이뤄지던 벌목작업 모습들을 살펴볼 수 있는 장소이며 관광안내소·식당·공원생태역사전시관 등도 있다. 입장료는 승용차 한 대 당 12달러. 이 지역 단풍 절정기는 해마다 추수감사절(10월 둘째 주 월요일)무렵이며, 11월부터는 이미 겨울이 시작돼 본격적인 설경 관광지로 거듭나게 된다. 공원 내에는 1,9000개소의 캠프 사이트가 있어 각자의 체력에 따라 캠핑하면서 며칠 동안이나 공원 내를 자유로이 여행하면서 대자연을 만끽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있다. 캐나다의 국목(國木)은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단풍나무이다. 그만큼 캐나다인들은 단풍을 사랑한다. 하지만 알곤퀸 공원을 찾는 사람들의 90%는 아시아인들이다. 1893년 생태계 보호를 위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알곤퀸 공원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울창한 수풀이 우거져 야영에도 좋은 곳이다. 공원 안에는 빙하시대부터 형성된 크고 작은 천연호수가 2만5천여 개에 달해 배를 타고 노를 저어 관람해야 한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참고자료
고동완정승호(2004),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태도 차이,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김남조(2002), 관광생태환경론적 접근, 『관광학 총론』.
김현(2004), 농촌관광 지출의 결정요인과 추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논문.
문창현(2007), 생태관광개발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박상로(2001), 생태관광이 지역개발의 수단으로서 갖는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논문.
유기준(2003), 관광개발의 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3호.
임충규 외(2011), 논습지 생태관광 자원화 방안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 17권 제3호.
최재우(2001), 뉴질랜드 생태관광의 효과,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7권 제2호.
표희동채동렬(2004),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안면도 갯벌의 생태관광에 대한 경제적 가치추정,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7.18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9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