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하이페리온(Hyperion)으로 본 아웃리거 시스템(Out Rigger)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동 하이페리온(Hyperion)으로 본 아웃리거 시스템(Out Rigg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웃리거시스템의 장단점.
느낀점

본문내용

gger 유무에 따른 코어 전도모멘트 등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또한 아웃리거의 시공 자체가 상당히 어렵고 추가 장비 등이 필 요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의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웃리거 트러스 및 벨트 트러스 자체 제작비용이 고가이므로 시공회사측에서는 구조설계자에게 아웃리거 설치 층의 개수를 줄여달라거나, 혹은 아웃리거가 없는 구조설계를 요구하기도 한다.
그림 9 완공 후 Outrigger 유무에 따른 횡변위
느낀점
우리나라에 앞으로 초고층건물의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된다. 초고층 구조의 장단점을 잘 알고 파악하는 것이 미래에 초고층빌딩을 세우는데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물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웃리거와 벨트트러스의 조합처럼 이미 만들어진 구조시스템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른 파급효과를 좀더 적극적으로 계발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졌다. 기존의 안전성이 확보된 구조시스템을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계발한다면 시간을 좀 더 절약할 수 있고 좀 더 강한 구조가 만들어 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아웃리거 구조를 조사하면서 또 다른 느낀점은 하이페리온에 적용된 시스템은 아웃리거와 벨트트러스를 동시에 적용한 사례로서 외부에서 직접보이는 트러스는 벨트트러스이다. 하지만 이러한 외부의 구조를 드러내고 보여줌으로써 건물 전체의 구조를 드러내고 그것을 구조미로서 표현하였다. 대다수의 고층 건축물에서는 아웃리거와 벨트트러스층을 감추고 통일된 외피로서 나타낸다. 이런 천편일률적인 외관의 모습보다는 구조 본연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도시의 미관에 오히려 더 좋다고 생각되어진다.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7.24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