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청정기능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 엔진 주요 장치(연료분사장치, 흡기밸브, 연소실)를 새 차처럼 깨끗이 유지시켜 줍니다.
연비는 높이고 차량 유지비는 낮추고 : 엔진 내 불순물과 카본 찌꺼기를 제거하여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막아 연비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불순물 축적으로 인한 잔고장과 엔진노후를 방지하여 경제적 입니다.
엔진출력을 높여 차량의 힘과 가속성을 극대화 :굴곡과 경사가 심하고, 교차로가 많은 우리나라 도로에서 더욱 진가를 발휘합니다.
소음과 녹킹(Knocking) 방지를 통한 주행성 향상 :최적의 연소성능을 제공하며, 엔진 노후에 따른 요구옥탄가 증가를 방지하여 오랫동안 새 차와 같은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세계 최고의 친환경 휘발유 :세계 최고수준의 친환경 규격보다도 엄격하게 유해 배출물질을 관리하여 운전자의 건강과 더불어 환경까지 생각합니다.
(7)LPG : GS칼텍스는 깨끗하고 사용이 간편한 LPG(액화석유가스)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LPG 제품에는 프로판과 부탄이 있습니다. 프로판은 가정, 식당의 취사 연료 또는 도시가스로 사용이 되며, 부탄은 자동차, 야외용 가스버너, 화장품 원료, 분사제 등에 사용됩니다.
GS칼텍스의 LPG는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생산하여 연소성능이 우수하며, 유해한 연소 생성물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우수한 연소성능 : 일정한 성상의 가스상태로 연소되므로 착화 및 불꽃조절이 용이하며 열효율이 높습니다.
취급 안전성 : LPG는 무색무취의 연료지만, 누설 시의 신속한 감지를 위해 부취제를 주입하여 안전성을 강화하였습니다.
깨끗한 연소 : GS칼텍스의 LPG 제품은 대기환경보전법이 규정한 모든 규격을 만족하고 있으며, 완전 연소하여 유해한 연소 생성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저온에서도 우수한 시동성 :저온에서의 시동성 향상을 위해 동절기 자동차용 부탄에 프로판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출하합니다.
(8)등유 :GS칼텍스의 등유는 고도의 정제과정을 거쳐 실내용 난방기 전용으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팬히터, 로터리히터, 스토브, 온풍기와 같은 보조 난방기와 직접 열풍 방식의 농산물 건조기, 유리 및 도자기 소성로, 취사용 버너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GS칼텍스의 등유는 최첨단의 정제시설에서 생산된 고순도, 친환경 제품입니다.
쾌적한 실내공기 :석유제품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적어 실내보관이 가능하며 및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합니다.
고도 탈황시설로 정제한 청정연료 :황 성분이 극히 적어(법 규격의 1/10 이하) 연소 시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며 코와 눈에 자극이 없는 깨끗한 연료입니다.
2. naphtha cracking [나프타분해]
분해방식으로는, 기다란 반응관에 나프타와 수증기를 넣고, 관의 바깥쪽을 가스 버너로 가열하여 흡열 반응열을 공급하는 관식가열로법(管式加熱爐法)과 가열한 고체 입자 모양의 열매체(熱媒體: 모래·코크스 등)를 유동상태에서 접촉시키면서 나프타를 분해하고, 열매체 위에 침적한 탄소를 연소·재생시키면서 반응열을 공급하는 유동상식(流動床式)이 있는데, 관식가열로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관식가열로법의 공정은 분해공정과 분리정제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이 방법에서는 수증기를 나프타의 20∼60%의 무게비로 가하고, 0.3∼1.5초 동안 분해한다. 수증기를 가하는 것은 반응관에 탄소가 침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단시간 내의 분해는 생성한 물질이 2차적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고온에서 분해할수록 에틸렌 수득률은 증가하나, 반응관의 재료선택 등 기술적인 문제가 따른다. 분해생성물은 수소 외에 끓는점 400∼500℃의 광범한 물질을 포함하며, 이들을 증류에 의해 분리·정제하여 석유화학원료를 얻는다. 다만, 분해생성물 가운데 표준상태에서 기체인 물질이 2/3 이상을 차지하여 저온·고압하에서 증류해야 하기 때문에 냉동·압축에 큰 비용이 든다.
나프타 분해로 얻는 생성물의 비율은 에틸렌 20∼25%, 에테인 8∼10%, 프로필렌 15∼16%, 뷰틸렌류 8∼10%(그 중 뷰타다이엔이 약 40%), 펜테인류 4∼5%, 분해 가솔린 18∼20%(그 중 방향족 물질이 약 90%), 분해중유(끓는점 200∼500℃)가 3∼5%이며, 특정한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는 없다. 이 밖에 1% 미만의 수소와 14∼16%의 메테인이 발생하는데, 전자는 에틸렌 중의 아세틸렌을 제거하는 공정에, 후자는 도시가스 등 연료용으로 각각 쓰인다.
(1)나프타 분해 공정 (NCC)
정유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나프타,휘발유,경유,등유,중유 등) 중 나프타를 송유관 또는 선박으로 운반하여 나프타분해공장에 도입하며, 도입된 나프타는 고온으로 열분해하고, 급냉, 압축, 정제 과정을 거처 석유화학 기초원료가 되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을 생산하는 공장들을 총칭하여 나프타분해 공장이라 말한다. (에틸렌 공장, 방향족공장, BD공장, MTBE공장 등을 포함)
(2)생성되는 화합물
C3화합물
▶c3화합물의 분류
1. 프로판계
2. 프로핀계
3. 프로필렌계
▶ C3화합물의 설명
※ 프로필렌계
분해방식으로는, 기다란 반응관에 나프타와 수증기를 넣고, 관의 바깥쪽을 가스 버너로 가열하여 흡열 반응열을 공급하는 관식가열로법(管式加熱爐法)과 가열한 고체 입자 모양의 열매체(熱媒體: 모래·코크스 등)를 유동상태에서 접촉시키면서 나프타를 분해하고, 열매체 위에 침적한 탄소를 연소·재생시키면서 반응열을 공급하는 유동상식(流動床式)이 있는데, 관식가열로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나프타 분해로 얻는 생성물의 비율은 에틸렌 20∼25%, 에테인 8∼10%, 프로필렌 15∼16%, 뷰틸렌류 8∼10%(그 중 뷰타다이엔이 약 40%), 펜테인류 4∼5%, 분해 가솔린 18∼20%(그 중 방향족 물질이 약 90%), 분해중유(끓는점 200∼500℃)가 3∼5%이며, 특정한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는 없다. 이 밖에 1% 미만의 수소와 14∼16%의 메테인이 발생하는데, 전자는 에틸렌 중의 아세틸렌을 제거하는 공정에, 후자는 도시가스 등 연료용으로 각각 쓰인다.
※ 프로필렌으로부터의 주요제품
연비는 높이고 차량 유지비는 낮추고 : 엔진 내 불순물과 카본 찌꺼기를 제거하여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막아 연비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불순물 축적으로 인한 잔고장과 엔진노후를 방지하여 경제적 입니다.
엔진출력을 높여 차량의 힘과 가속성을 극대화 :굴곡과 경사가 심하고, 교차로가 많은 우리나라 도로에서 더욱 진가를 발휘합니다.
소음과 녹킹(Knocking) 방지를 통한 주행성 향상 :최적의 연소성능을 제공하며, 엔진 노후에 따른 요구옥탄가 증가를 방지하여 오랫동안 새 차와 같은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세계 최고의 친환경 휘발유 :세계 최고수준의 친환경 규격보다도 엄격하게 유해 배출물질을 관리하여 운전자의 건강과 더불어 환경까지 생각합니다.
(7)LPG : GS칼텍스는 깨끗하고 사용이 간편한 LPG(액화석유가스)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LPG 제품에는 프로판과 부탄이 있습니다. 프로판은 가정, 식당의 취사 연료 또는 도시가스로 사용이 되며, 부탄은 자동차, 야외용 가스버너, 화장품 원료, 분사제 등에 사용됩니다.
GS칼텍스의 LPG는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생산하여 연소성능이 우수하며, 유해한 연소 생성물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우수한 연소성능 : 일정한 성상의 가스상태로 연소되므로 착화 및 불꽃조절이 용이하며 열효율이 높습니다.
취급 안전성 : LPG는 무색무취의 연료지만, 누설 시의 신속한 감지를 위해 부취제를 주입하여 안전성을 강화하였습니다.
깨끗한 연소 : GS칼텍스의 LPG 제품은 대기환경보전법이 규정한 모든 규격을 만족하고 있으며, 완전 연소하여 유해한 연소 생성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저온에서도 우수한 시동성 :저온에서의 시동성 향상을 위해 동절기 자동차용 부탄에 프로판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출하합니다.
(8)등유 :GS칼텍스의 등유는 고도의 정제과정을 거쳐 실내용 난방기 전용으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팬히터, 로터리히터, 스토브, 온풍기와 같은 보조 난방기와 직접 열풍 방식의 농산물 건조기, 유리 및 도자기 소성로, 취사용 버너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GS칼텍스의 등유는 최첨단의 정제시설에서 생산된 고순도, 친환경 제품입니다.
쾌적한 실내공기 :석유제품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적어 실내보관이 가능하며 및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합니다.
고도 탈황시설로 정제한 청정연료 :황 성분이 극히 적어(법 규격의 1/10 이하) 연소 시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며 코와 눈에 자극이 없는 깨끗한 연료입니다.
2. naphtha cracking [나프타분해]
분해방식으로는, 기다란 반응관에 나프타와 수증기를 넣고, 관의 바깥쪽을 가스 버너로 가열하여 흡열 반응열을 공급하는 관식가열로법(管式加熱爐法)과 가열한 고체 입자 모양의 열매체(熱媒體: 모래·코크스 등)를 유동상태에서 접촉시키면서 나프타를 분해하고, 열매체 위에 침적한 탄소를 연소·재생시키면서 반응열을 공급하는 유동상식(流動床式)이 있는데, 관식가열로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관식가열로법의 공정은 분해공정과 분리정제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이 방법에서는 수증기를 나프타의 20∼60%의 무게비로 가하고, 0.3∼1.5초 동안 분해한다. 수증기를 가하는 것은 반응관에 탄소가 침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단시간 내의 분해는 생성한 물질이 2차적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고온에서 분해할수록 에틸렌 수득률은 증가하나, 반응관의 재료선택 등 기술적인 문제가 따른다. 분해생성물은 수소 외에 끓는점 400∼500℃의 광범한 물질을 포함하며, 이들을 증류에 의해 분리·정제하여 석유화학원료를 얻는다. 다만, 분해생성물 가운데 표준상태에서 기체인 물질이 2/3 이상을 차지하여 저온·고압하에서 증류해야 하기 때문에 냉동·압축에 큰 비용이 든다.
나프타 분해로 얻는 생성물의 비율은 에틸렌 20∼25%, 에테인 8∼10%, 프로필렌 15∼16%, 뷰틸렌류 8∼10%(그 중 뷰타다이엔이 약 40%), 펜테인류 4∼5%, 분해 가솔린 18∼20%(그 중 방향족 물질이 약 90%), 분해중유(끓는점 200∼500℃)가 3∼5%이며, 특정한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는 없다. 이 밖에 1% 미만의 수소와 14∼16%의 메테인이 발생하는데, 전자는 에틸렌 중의 아세틸렌을 제거하는 공정에, 후자는 도시가스 등 연료용으로 각각 쓰인다.
(1)나프타 분해 공정 (NCC)
정유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나프타,휘발유,경유,등유,중유 등) 중 나프타를 송유관 또는 선박으로 운반하여 나프타분해공장에 도입하며, 도입된 나프타는 고온으로 열분해하고, 급냉, 압축, 정제 과정을 거처 석유화학 기초원료가 되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을 생산하는 공장들을 총칭하여 나프타분해 공장이라 말한다. (에틸렌 공장, 방향족공장, BD공장, MTBE공장 등을 포함)
(2)생성되는 화합물
C3화합물
▶c3화합물의 분류
1. 프로판계
2. 프로핀계
3. 프로필렌계
▶ C3화합물의 설명
※ 프로필렌계
분해방식으로는, 기다란 반응관에 나프타와 수증기를 넣고, 관의 바깥쪽을 가스 버너로 가열하여 흡열 반응열을 공급하는 관식가열로법(管式加熱爐法)과 가열한 고체 입자 모양의 열매체(熱媒體: 모래·코크스 등)를 유동상태에서 접촉시키면서 나프타를 분해하고, 열매체 위에 침적한 탄소를 연소·재생시키면서 반응열을 공급하는 유동상식(流動床式)이 있는데, 관식가열로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나프타 분해로 얻는 생성물의 비율은 에틸렌 20∼25%, 에테인 8∼10%, 프로필렌 15∼16%, 뷰틸렌류 8∼10%(그 중 뷰타다이엔이 약 40%), 펜테인류 4∼5%, 분해 가솔린 18∼20%(그 중 방향족 물질이 약 90%), 분해중유(끓는점 200∼500℃)가 3∼5%이며, 특정한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는 없다. 이 밖에 1% 미만의 수소와 14∼16%의 메테인이 발생하는데, 전자는 에틸렌 중의 아세틸렌을 제거하는 공정에, 후자는 도시가스 등 연료용으로 각각 쓰인다.
※ 프로필렌으로부터의 주요제품
추천자료
석유화학공장의 위험관리
발전하는 아시아 경제 - 중국의 화학 공학
[경영전략][경영전략 사례][LG칼텍스 정유][유한킴벌리][LG화학]경영전략 세 수준, 경영전략 ...
석유화학의 현황과 향후전망
석유정제 석유화학 산업폐수처리
[화학실험] 알카리 소비량 - 검수중에 함유된 강산, 유기산, 염류 등을 중화하는데 소비되는 ...
화학공학 - Reduction of chlorobenzaldehyde with NaBH4 [유기합성]
[화학실험] 알칼리 소비량 : 수중에 함유된 강산, 유기산, 염류 등을 중화하는데 소비되는 알...
[화학] 화합물에 관해(정의,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 이온결합, 화합물의 명명법, 고분자화...
[일반화학실험] 아스피린 합성 : 아스피린의 간단한 합성을 통해 유기합성 경험, 화합물의 작...
[일반화학실험] 알칼리 소비량 : 검수 중에 함유된 강산, 유기산, 염류 등을 중화하는데 소비...
LG화학 마케팅사례 - 엘지화학의 산업마케팅 사례 및 전략 {LG화학 기업소개, 산업제품의 종...
[직업병] 화학적 요인에 의한 건강장애(유기용제, 직업성 여드름)
정유산업의 이해 & 석유생산 및 제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