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국제수지 · · · · · · · · · · · · · · · · · · · · · 3
1. 국제수지의 개념 · · · · · · · · · · · · · · · · 3
2. 최근 5년간 국제수지표의 움직임 · · · · · · · · 4
Ⅱ. 환율 · · · · · · · · · · · · · · · · · · · · · · · · 5
1. 환율의 개념 · · · · · · · · · · · · · · · · · · · 5
2. 환율의 변동요인과 효과 · · · · · · · · · · · · · 5
3. 최근 5년간 환율의 움직임 · · · · · · · · · · · 6
Ⅲ. 국제수지와 환율 · · · · · · · · · · · · · · · · · 7
1. 최근 5년 국제수지표와 환율의 움직임 비교 7
2. 연관성 · · · · · · · · · · · · · · · · · · · · 8
Ⅳ.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8
Ⅴ. 참고문헌 및 자료 · · · · · · · · · · · · · · · · · 9
1. 국제수지의 개념 · · · · · · · · · · · · · · · · 3
2. 최근 5년간 국제수지표의 움직임 · · · · · · · · 4
Ⅱ. 환율 · · · · · · · · · · · · · · · · · · · · · · · · 5
1. 환율의 개념 · · · · · · · · · · · · · · · · · · · 5
2. 환율의 변동요인과 효과 · · · · · · · · · · · · · 5
3. 최근 5년간 환율의 움직임 · · · · · · · · · · · 6
Ⅲ. 국제수지와 환율 · · · · · · · · · · · · · · · · · 7
1. 최근 5년 국제수지표와 환율의 움직임 비교 7
2. 연관성 · · · · · · · · · · · · · · · · · · · · 8
Ⅳ.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8
Ⅴ. 참고문헌 및 자료 · · · · · · · · · · · · · · · · · 9
본문내용
액을 대비해보면 다음과 같다.
선물환 순매도 : 493 718 620 = 합계 1,831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 161 146 (-)133 = 합계 174억 달러
차액: 1,657억 달러
여기서 발생한 차액 1,657억 달러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에서 수급공백으로 작용하고 있는 핵심 요인이다.
2009년부터는 우리나라 수출업체들도 외환시장에서 수급공백이 문제가 된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인식하게 되면서, 선물환 순매도 금액이 무역수지 흑자 금액보다 적어지게 되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금액을 대비해보면 아래와 같다.
선물환 순매도 : 211 331 142 = 합계 684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 404 412 308 = 합계 1,124억 달러
차액 : - 440억 달러
여기서 생긴 차액 - 440억 달러가 그 동안 누적된 수급공백을 상쇄하는 금액이다. 그 결과를 계산해보면, 1,657억 달러 - 440억 달러 = 1,217억 달러이다. 여전히 1,217억 달러가 남아서 우리나라 환율에 끊임없는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향후 3년 정도에 걸쳐서 매년 400억 달러 정도의 국제수지 흑자가 나야 우리나라 환율은 '현상유지'가 가능하다. 흑자가 400억 달러에 못 미칠 경우는 상승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승압력은 그 동안의 환율 동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표에서 2011년 말의 환율을 보면 1년 전에 비해 17.0원 상승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11년에 경상수지 흑자가 265.1억 달러에 이르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환율 상승은 그동안 누적된 수급공백의 압력을 제외하면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고 생각한다. 지난 8월말 현재까지 금년의 경상수지 흑자를 보면, 222.5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금년 연말까지 경상수지 흑자 금액이 더 쌓일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이미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즉 금년의 흑자는 수입이 더 크게 줄어듦으로써 발생하고 있는 ‘불황형 흑자’이다. 그리고 내년의 세계 수출시장 상황은 미국의 재정절벽과 유럽의 긴축 정책, 중국의 침체상황을 고려해보면 금년보다 더 어려워질 것이 확실하다. 이와 같은 사정들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환율은 현 시점이 과도하게 눌린 바닥이며, 향후 크게 상승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 연관성
나라 안으로 들어온 외화가 밖으로 나간 외화보다 많은 경우, 국제수지 흑자가 기록했다고 한다. 그 반대의 경우엔, 국제수지가 적자라고 부른다. 국제수지와 환율의 관계는 국제수지가 흑자를 기록하면 국내에 외국돈이 많아져서 환율이 내려가고, 국제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면 환율이 오르게 된다. 환율이 떨어져 기업들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정부는 해외투자 규제를 풀어 국내에 있는 외국돈을 해외로 많이 나가게 한다. 이렇게 되면 외환시장에서 수요가 늘어나면서 환율이 오르고 수출이 활발해진다. 정부는 국제수지나 환율변동의 추이를 보아가며 그에 맞는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다.
Ⅳ. 결론
■ 국제수지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국제 수지 흑자는 상품 수출 증가, 국내 외국인 관광객 증가, 외국 자본의 국내 투자 증가, 차관 도입 등으로 국내로 들어온 외환액이 빠져나간 외환액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내에 외환 공급이 증가하면서 환율이 하락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상품의 수입 증가, 외국인 해외 여행 증가, 국내 기업 해외 투자 증가, 차관 제공, 외채 상환 등이 늘어나면 국내로 들어온 외환액보다 외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외환 공급은 줄고, 환율은 올라가게 된다.
■ 환율변동이 국제수지에 미치는 영향
환율이 하락하면 외화의 가치가 하락, 자국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수출은 감소, 수입은 증대되기 된다. 따라서 국제수지가 악화된다. 반대로 환율 상승은 외화의 가치가 상승하고, 자국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는 것으로 수출이 증대되고 수입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국제수지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Ⅴ. 참고문헌 및 자료
-네이버지식 백과사전
-한국은행 통계자료
-네이버 블로그
http://www.youngkbblog.com/180
http://cafe.naver.com/kafkaesque/6
http://politicstory.tistory.com/997
http://insoohwp.com/10034394288
http://www.sailorblog.co.kr/205
http://shindoli.blog.me/20163435721
선물환 순매도 : 493 718 620 = 합계 1,831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 161 146 (-)133 = 합계 174억 달러
차액: 1,657억 달러
여기서 발생한 차액 1,657억 달러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에서 수급공백으로 작용하고 있는 핵심 요인이다.
2009년부터는 우리나라 수출업체들도 외환시장에서 수급공백이 문제가 된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인식하게 되면서, 선물환 순매도 금액이 무역수지 흑자 금액보다 적어지게 되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금액을 대비해보면 아래와 같다.
선물환 순매도 : 211 331 142 = 합계 684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 404 412 308 = 합계 1,124억 달러
차액 : - 440억 달러
여기서 생긴 차액 - 440억 달러가 그 동안 누적된 수급공백을 상쇄하는 금액이다. 그 결과를 계산해보면, 1,657억 달러 - 440억 달러 = 1,217억 달러이다. 여전히 1,217억 달러가 남아서 우리나라 환율에 끊임없는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향후 3년 정도에 걸쳐서 매년 400억 달러 정도의 국제수지 흑자가 나야 우리나라 환율은 '현상유지'가 가능하다. 흑자가 400억 달러에 못 미칠 경우는 상승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승압력은 그 동안의 환율 동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표에서 2011년 말의 환율을 보면 1년 전에 비해 17.0원 상승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11년에 경상수지 흑자가 265.1억 달러에 이르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환율 상승은 그동안 누적된 수급공백의 압력을 제외하면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고 생각한다. 지난 8월말 현재까지 금년의 경상수지 흑자를 보면, 222.5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금년 연말까지 경상수지 흑자 금액이 더 쌓일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이미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즉 금년의 흑자는 수입이 더 크게 줄어듦으로써 발생하고 있는 ‘불황형 흑자’이다. 그리고 내년의 세계 수출시장 상황은 미국의 재정절벽과 유럽의 긴축 정책, 중국의 침체상황을 고려해보면 금년보다 더 어려워질 것이 확실하다. 이와 같은 사정들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환율은 현 시점이 과도하게 눌린 바닥이며, 향후 크게 상승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 연관성
나라 안으로 들어온 외화가 밖으로 나간 외화보다 많은 경우, 국제수지 흑자가 기록했다고 한다. 그 반대의 경우엔, 국제수지가 적자라고 부른다. 국제수지와 환율의 관계는 국제수지가 흑자를 기록하면 국내에 외국돈이 많아져서 환율이 내려가고, 국제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면 환율이 오르게 된다. 환율이 떨어져 기업들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정부는 해외투자 규제를 풀어 국내에 있는 외국돈을 해외로 많이 나가게 한다. 이렇게 되면 외환시장에서 수요가 늘어나면서 환율이 오르고 수출이 활발해진다. 정부는 국제수지나 환율변동의 추이를 보아가며 그에 맞는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다.
Ⅳ. 결론
■ 국제수지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국제 수지 흑자는 상품 수출 증가, 국내 외국인 관광객 증가, 외국 자본의 국내 투자 증가, 차관 도입 등으로 국내로 들어온 외환액이 빠져나간 외환액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내에 외환 공급이 증가하면서 환율이 하락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상품의 수입 증가, 외국인 해외 여행 증가, 국내 기업 해외 투자 증가, 차관 제공, 외채 상환 등이 늘어나면 국내로 들어온 외환액보다 외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외환 공급은 줄고, 환율은 올라가게 된다.
■ 환율변동이 국제수지에 미치는 영향
환율이 하락하면 외화의 가치가 하락, 자국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수출은 감소, 수입은 증대되기 된다. 따라서 국제수지가 악화된다. 반대로 환율 상승은 외화의 가치가 상승하고, 자국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는 것으로 수출이 증대되고 수입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국제수지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Ⅴ. 참고문헌 및 자료
-네이버지식 백과사전
-한국은행 통계자료
-네이버 블로그
http://www.youngkbblog.com/180
http://cafe.naver.com/kafkaesque/6
http://politicstory.tistory.com/997
http://insoohwp.com/10034394288
http://www.sailorblog.co.kr/205
http://shindoli.blog.me/2016343572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