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2. 수술과 관련된 불안 [대응/스트레스 내성]
자료수집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아이고 이거(Inspirometer) 하는 것도 어지러워서 못 하겠다”
“심호흡 할래도 배가 아파서 못 한다니까?!”
통증척도 7점
20세 때부터 흡연
Gasrtectomy 받음.
61세 (M)
op 후 Spo2 89~91%
op후 얕고 빠른 호흡 관찰됨
심호흡을 유도하면 통증을 호소하고, 숨을 쉬는지 안쉬는지 구분이 안됨(스스로 하지 않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 이내로 호흡하기가 편안해 진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2일 이내로 inspirometer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고 실천한다.
(휴식시간을 가져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함.)
②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심호흡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중요성을 알고 실천한다.
③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고 말한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통증을 3시간 마다 사정한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여 흉곽을 최대한 팽창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④강화 폐활량계의 사용법을 다시 교육한다.
⑤호흡법을 교육한다.(심호흡)
⑥필요시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준다.
⑦ 대상자에게 강화폐활량계와 심호흡을 자육적으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① V/S check 하였다.
② OP후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주었다.
③ 심호흡의 중요성을 설명하였고 격려하였다.
④ 효과적인 호흡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 심호흡 및 효과적인 호흡법과 필요성에 대해 숙지하였다.
② 현재까지 폐합병증 소견 보이지 않으시며 병동 내에서 자주 산책 중이시다.
#3.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활동 / 휴식]
자료수집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수술 끝났으니 밥먹으면 안되나?"
“위 잘라내고 나면 어떻게 밥을 먹노, 힘은 쓰나?”
“술, 담배만 안하면 되는거 아니가”
언제부터 밥을 먹을 수 있는지 궁금해 함.
퇴원 후 식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냐는 질문에 모른다고 말함.
과식하는 식습관.
음식 기호성. (짜고 맵고 뜨거운 음식)
장기 목표)
대상자 위절제 술 후 식이관리의 필요성을 알고 퇴원 후에도 잘 수행 한다.
단기 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로 위절제술 환자의 올바른 식이관리 방법 중 3개 이상을 나열 하여 말한다.
②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올바른 식이 관리를 실천하겠다고 말로 표현한다.
③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식이 스케줄에 대해 이해하고, 적응하며 잘 수행한다.
① 위 절제 후 식이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② 대상자가 알고 있는 지식 수준을 사정한다.
③ 대상자가 궁금해 하는 점이 무엇인지 사정한다.
④ 대상자가 스스로 알고자 하는 사항에 대해 충분히 질문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⑤ 대상자의 가족도 함께 교육한다.
⑥ 수술 후 식이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⑦ 위절제술 환자의 식이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⑧ 소량씩 자주 먹도록 격려한다.
⑨ 덤핑증후군 발생 가능성과 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⑩ 수술 전과 후의 변화된 소화기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대상자가 알고자 하는 사항에 대해 질문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② 대상자와 대상자의 부인에게 퇴원 후 식이관리의 주의점 등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④ 소량씩 자주 먹도록 설명하였다.
① 퇴원 후에 음식 조절을 배운 대로 잘 실천하겠다고 말하였다.
② 퇴원 후 올바른 식이관리 방법에 대해 천천히, 자주, 짜지 않게, 식사 시 물 안 먹기 등 4개 이상을 나열하여 말하였다.
#4. 위절제술 환자의 식이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지각/인지]
자료수집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아까는 덥더니 이제는 또 춥고”
Stomach Ca.로 Gastrectomy OP 받으심.
OP wound site에 J-P drainage 1개 가지고 있으며 혈 장액 성으로 배액중임
CRP : 10.10(HD)[참고치: ~0.5]
V/S
BP
P
R
T
150/100
79
20
37.9
150/90
70
20
37.7
140/90
72
20
37.2
140/70
78
20
37.0
130/90
66
20
36.8
130/90
64
20
36.6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감염을 겪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이내에 CRP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다.
② 대상자는 2일이내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내에 있다.
③ 대상자는 2일이내에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발열, 전신쇠약감, 상기된 피부)
④ 대상자는 2일이내에 수술부위와 배액관부위에 부종, 발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⑤ 대상자는 3일이내에 감염예방법을 1가지이상 말할 수 있다.
①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드레싱 시 배액관 주위와 수술부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③ 감염지표가 되는 임상검사를 사정한다.
④ 배액 양상을 사정한다.
(색깔, 양)
⑤ 배액관 주위와 수술부위의 통증 유무 및 양상을 관찰한다.
⑥ 자주 dressing을 교환하고 상처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⑧ 필요시 항생제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한다.
⑨ 피곤하지 않게 적당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⑩ 감염예방법을 교육한다.
-손 자주 씻기
⑪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간호사실에 알리도록 교육한다.
-발열, 전신쇠약감, 피로, 상기된 피부
① duty시 마다 활력징후을 측정하였다.
② 드레싱 시 수술부위와 배액관주변의 피부상태, 드레싱 상태를 관찰하였다.
50ml배액
pinkish
20ml배액
pinkish
60ml배액
pinkish
③ duty시 마다 배액의 양과 color를 관찰하였다.
④ 수술부위와 배액관 주위의 통증 유무 및 양상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⑤ 손씻기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⑥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간호사실에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① 이후로 활력징후에 이상적인 변화 없었으며, 배액관 삽입 부위의 피부에 감염이 생기지 않았다.
② 수술부위와 배액관주변의 피부상태, 드레싱의 상태가 양호했다.
③ 배액의 양상도 정상을 유지하였다.
④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5.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안전/보호]
자료수집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아이고 이거(Inspirometer) 하는 것도 어지러워서 못 하겠다”
“심호흡 할래도 배가 아파서 못 한다니까?!”
통증척도 7점
20세 때부터 흡연
Gasrtectomy 받음.
61세 (M)
op 후 Spo2 89~91%
op후 얕고 빠른 호흡 관찰됨
심호흡을 유도하면 통증을 호소하고, 숨을 쉬는지 안쉬는지 구분이 안됨(스스로 하지 않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 이내로 호흡하기가 편안해 진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2일 이내로 inspirometer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고 실천한다.
(휴식시간을 가져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함.)
②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심호흡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중요성을 알고 실천한다.
③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고 말한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통증을 3시간 마다 사정한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여 흉곽을 최대한 팽창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④강화 폐활량계의 사용법을 다시 교육한다.
⑤호흡법을 교육한다.(심호흡)
⑥필요시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준다.
⑦ 대상자에게 강화폐활량계와 심호흡을 자육적으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① V/S check 하였다.
② OP후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주었다.
③ 심호흡의 중요성을 설명하였고 격려하였다.
④ 효과적인 호흡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 심호흡 및 효과적인 호흡법과 필요성에 대해 숙지하였다.
② 현재까지 폐합병증 소견 보이지 않으시며 병동 내에서 자주 산책 중이시다.
#3.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활동 / 휴식]
자료수집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수술 끝났으니 밥먹으면 안되나?"
“위 잘라내고 나면 어떻게 밥을 먹노, 힘은 쓰나?”
“술, 담배만 안하면 되는거 아니가”
언제부터 밥을 먹을 수 있는지 궁금해 함.
퇴원 후 식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냐는 질문에 모른다고 말함.
과식하는 식습관.
음식 기호성. (짜고 맵고 뜨거운 음식)
장기 목표)
대상자 위절제 술 후 식이관리의 필요성을 알고 퇴원 후에도 잘 수행 한다.
단기 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로 위절제술 환자의 올바른 식이관리 방법 중 3개 이상을 나열 하여 말한다.
②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올바른 식이 관리를 실천하겠다고 말로 표현한다.
③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식이 스케줄에 대해 이해하고, 적응하며 잘 수행한다.
① 위 절제 후 식이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② 대상자가 알고 있는 지식 수준을 사정한다.
③ 대상자가 궁금해 하는 점이 무엇인지 사정한다.
④ 대상자가 스스로 알고자 하는 사항에 대해 충분히 질문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⑤ 대상자의 가족도 함께 교육한다.
⑥ 수술 후 식이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⑦ 위절제술 환자의 식이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⑧ 소량씩 자주 먹도록 격려한다.
⑨ 덤핑증후군 발생 가능성과 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⑩ 수술 전과 후의 변화된 소화기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대상자가 알고자 하는 사항에 대해 질문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② 대상자와 대상자의 부인에게 퇴원 후 식이관리의 주의점 등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④ 소량씩 자주 먹도록 설명하였다.
① 퇴원 후에 음식 조절을 배운 대로 잘 실천하겠다고 말하였다.
② 퇴원 후 올바른 식이관리 방법에 대해 천천히, 자주, 짜지 않게, 식사 시 물 안 먹기 등 4개 이상을 나열하여 말하였다.
#4. 위절제술 환자의 식이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지각/인지]
자료수집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아까는 덥더니 이제는 또 춥고”
Stomach Ca.로 Gastrectomy OP 받으심.
OP wound site에 J-P drainage 1개 가지고 있으며 혈 장액 성으로 배액중임
CRP : 10.10(HD)[참고치: ~0.5]
V/S
BP
P
R
T
150/100
79
20
37.9
150/90
70
20
37.7
140/90
72
20
37.2
140/70
78
20
37.0
130/90
66
20
36.8
130/90
64
20
36.6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감염을 겪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이내에 CRP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다.
② 대상자는 2일이내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내에 있다.
③ 대상자는 2일이내에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발열, 전신쇠약감, 상기된 피부)
④ 대상자는 2일이내에 수술부위와 배액관부위에 부종, 발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⑤ 대상자는 3일이내에 감염예방법을 1가지이상 말할 수 있다.
①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드레싱 시 배액관 주위와 수술부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③ 감염지표가 되는 임상검사를 사정한다.
④ 배액 양상을 사정한다.
(색깔, 양)
⑤ 배액관 주위와 수술부위의 통증 유무 및 양상을 관찰한다.
⑥ 자주 dressing을 교환하고 상처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⑧ 필요시 항생제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한다.
⑨ 피곤하지 않게 적당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⑩ 감염예방법을 교육한다.
-손 자주 씻기
⑪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간호사실에 알리도록 교육한다.
-발열, 전신쇠약감, 피로, 상기된 피부
① duty시 마다 활력징후을 측정하였다.
② 드레싱 시 수술부위와 배액관주변의 피부상태, 드레싱 상태를 관찰하였다.
50ml배액
pinkish
20ml배액
pinkish
60ml배액
pinkish
③ duty시 마다 배액의 양과 color를 관찰하였다.
④ 수술부위와 배액관 주위의 통증 유무 및 양상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⑤ 손씻기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⑥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간호사실에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① 이후로 활력징후에 이상적인 변화 없었으며, 배액관 삽입 부위의 피부에 감염이 생기지 않았다.
② 수술부위와 배액관주변의 피부상태, 드레싱의 상태가 양호했다.
③ 배액의 양상도 정상을 유지하였다.
④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5.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안전/보호]
키워드
추천자료
담석증case study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