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_ 사정의 기본특성과 클라이언트 이해를 돕는 사정도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_ 사정의 기본특성과 클라이언트 이해를 돕는 사정도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정의 기본특성
1) 사정(assessment)의 정의
2) 사정의 목적
3) 사정의 특성
4) 사정의 주요 과업
5) 사정할 때 사용하는 기술

2. 클라이언트 이해를 돕는 사정도구
1) 생태도(Eco-map)
2) 사회적 지지망(social support)
3) 생활력표(life history grid)
4) 생활주기표(life cycle matrix)
5) 정신상태 검사
6) 심리검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생각 - 망상적 표현과 그 근거, 배경 등을 정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클라이언트의 유형화에 익숙해져 개별적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는 과오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기분과 감정
- 클라이언트의 전반적인 느낌, 즉 기분의 변화와 감정이 말하는 사고의 내용과 일치하는지 그 정도가 타당한지를 판단한다. (예) 가정폭력의 가해 경험을 이야기할 때 웃거나, 신나는 표정으로 이야기한다면 클라이언트의 기분과 감정을 어떠한 상태인가?
- 기분이 너무 좋거나 우울한 것을 주증상으로 하는 정신장애로 우울기에는 자살을 주의해야한다.
-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경우 그 심한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애도과정에서의 우울함이나 슬픔은 정상적인 감정의 반응이기 때문에 평상시의 우울함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 아동과의 면접 시에는 연령에 적합한 감정표현을 해야 한다.
(5) 지능
- 클라이언트와의 대화에서 관찰 할 수 있는 지능수준을 의미한다.
- 지식수준, 문화적 배경, 교육수준, 사회적 경험 등과 함께 연령에 따른 어휘력 등을 파악한다.
(6) 기억력
- 최근 24시간 이내 혹은 일주일 이내의 일이나 사건, 과거에 일어난 일이나 사건에 대해 묻고 답하는 정도이다.
- 기억상실이 있는지 기억과다증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클라이언트의 기억력을 가늠할 수 있다.
(7) 자아기능
자아기능 - 정신내적 기능
판단력
사실과 생각을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이해하여 올바른 결론에 이르는 능력
병식
자신이 병이 있다는 사실과 병의 성질을 아는 것
현실성
기대, 바람, 경험이 현실과 비추어 볼 때 얼마나 실현 가능한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
자기조절능력
자신의 욕구나 요구사항이 즉각적으로 충족되지 못할 때 그 인내심을 파악하는 것
충동성 조절능력
어떤 일을 하고자 할 때 이에 대한 순간적 욕구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예) 충동구매
주의력/ 집중력
자신이 집중하던 일에 외부의 자극이 주어지면 집중하던 일을 벗어나 새로운 자극에 쉽게 이끌리는 것
(8) 지남력
-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해 물어 봄으로써 쉽게 파악
- 기억력이 부족하거나 뇌 손상이 있는 경우 주변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 지금 있는 곳이 어디인가?
질문하는 사람 혹은 주변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
어떤 장소에 있는가?
(9) 몽상(fantasy)
- 가고 싶은 곳, 하고 싶은 것 등에 대해 질문하여 그 사람의 심리내적 기능과 상태를 파악해 본다.
6) 심리검사
- 클라이언트를 심리학자에게 의뢰하여 검사를 받게 함
- 인지기능과 함께 클라이언트의 내적 반응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개입의 초점을 명확하게 해 줄 수 있다.
(1) 심리검사 의뢰 시 유의점
- 왜 심리검사에 의뢰되는지에 대한 이유를 분명하게 한다.
- 특별히 관심을 갖고 답해 주었으면 하는 질문목록을 작성한다.
-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정보와 의뢰이유에 대해 알려주어야 한다.
- 검사과정에서 클라이언트가 하게 될 일, 검사수행 장소, 검사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 심리학적 검사에 대해 현실적인 기대를 갖는다.
- 실시된 검사의 절차와 장점, 검사의 한계에 대해 심리학자에게 설명을 부탁해야 한다.
(2) 심리검사의 종류와 결과의 활용
① 지능검사 - The Stanford Binet -IV, The Wechsler Scales, WPPSI, WISC-III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Revised(WAIS-R)
② 성격검사
- 객관형 성격검사 - MMPI-2 - 투사적 검사 - The Rorschach Test
(3) 심리검사 결과의 활용
① IQ(지능검사) :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영역의 평균으로 인지능력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검사방법 - 두 검사영역 간에 점수 차가 많을수록 언어적 능력과 행동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50~70 미만은 경증 정신지체가 있을 수 있으나 사회성 기술이 발달될 수 있으면서 교육 가능한 지능지수이다.
② 적응행동 : 옷 입기, 씻기, 놀이, 독립적인 기능의 수행 및 타인과의 협조 등과 같은 일상생활의 기능
참고문헌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나눔의집 2014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저, 사회복지실천론, 나눔의집 2014
구금섭, 박지영 외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한국학술정보 2014
양정남, 이유리 외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014
도광조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014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8.08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2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