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조사] 분진폭발 (분진폭발과정, 분진폭발의 특징, 분진폭발인자, 분진폭발시의 난류, 다중폭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재조사] 분진폭발 (분진폭발과정, 분진폭발의 특징, 분진폭발인자, 분진폭발시의 난류, 다중폭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분진폭발


1. 분진폭발과정

2. 분진폭발의 특징

3. 분진폭발인자

4. 분진폭발시의 난류

5. 다중폭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및 절단작업, 전구의 필라멘트, 전기아크, 정전기 방전, 마찰스파크, 고온표면, 자연발열 등에 의하여 착화가 된다.
(2) 층을 이룬 분진은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뷰유를 하는 똑같은 분진보다 그 착화온도가 낮다.
(3) 분진의 최소착화에너지는 가스 및 증기연료보다 높고,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인화성 가스 및 증기보다는 높은 10 ~ 40mJ의 범위내로 떨어진다.
4. 분진폭발시의 난류
1) 부유분진/공기의 혼합기 내에서의 난류는 연소속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그로 인하여 압력의 상승속도를 증가시킨다.
2) 밀폐된 용기의 모양과 크기는 난류의 특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분진폭발의 심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예로서 아주 높은 곳에서 비어있는 저장고 속으로 곡물을 쏟아 부을 때의 경우이다.
5. 다중폭발
1) 분진폭발은 일반적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며, 최초의 착화와 폭발은 대개 후속적인 2차 폭발보다 덜 격렬하다.
2) 최초폭발은 다른 분진을 부유물 속으로 이동시켜서 또 다른 폭발을 야기시키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폭발에 의한 진동은 바로 앞의 분진을 연소파 보다 더 빨리 날려 보내며 확산시킨다.
3) 곡물 엘리베이터 등의 시설에서 위와 같은 2차 폭발은 흔히 하나의 곡물 저장고에서 다른 곡물저장고로 또는 한 건물에서 다른 건물로 옮겨가는 사례가 있다.
6.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8.12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3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