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탄화와 균열흔의 강약특성
1. 탄화
2. 균열흔
3. 탄화심도
4. 참고문헌
1. 탄화
2. 균열흔
3. 탄화심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연소부분의 직경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3) 측정범위와 지점
(1) 발화부로 추정되는 범위 내에서 중심부를 택하고, 중심부로 향하는 면과 반대 쪽 면을 따라가면서 측정한다.
(2) 수직재 또는 수평재를 구별하여 비교 측정하고, 재질 및 굵기 같거나 유사한 것을 비교 측정한다.
(3) 측정지점은 같은 소재, 같은 높이, 균등한 거리 등의 지점마다 비교 측정한다.
4) 절단면에 의한 탄화심도 측정
(1) 목재가 장시간에 걸쳐서 연소되었거나 강소된 면은 깊게 파고들며 탄 형상을 나타내는데, 그 쪽이 발화부의 방향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목재의 면을 수평으로 절단을 한 단면의 중심부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여 불길의 진행방향을 판단한다.
(2) 탄화심도 계침에 의한 측정과 같은 요령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수평으로 각각 절단하여 비교 관찰한다.
(3) 탄화심도 또는 절단면의 측정결과를 같은 면을 중심으로 비교 관찰한다.
4.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3) 측정범위와 지점
(1) 발화부로 추정되는 범위 내에서 중심부를 택하고, 중심부로 향하는 면과 반대 쪽 면을 따라가면서 측정한다.
(2) 수직재 또는 수평재를 구별하여 비교 측정하고, 재질 및 굵기 같거나 유사한 것을 비교 측정한다.
(3) 측정지점은 같은 소재, 같은 높이, 균등한 거리 등의 지점마다 비교 측정한다.
4) 절단면에 의한 탄화심도 측정
(1) 목재가 장시간에 걸쳐서 연소되었거나 강소된 면은 깊게 파고들며 탄 형상을 나타내는데, 그 쪽이 발화부의 방향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목재의 면을 수평으로 절단을 한 단면의 중심부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여 불길의 진행방향을 판단한다.
(2) 탄화심도 계침에 의한 측정과 같은 요령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수평으로 각각 절단하여 비교 관찰한다.
(3) 탄화심도 또는 절단면의 측정결과를 같은 면을 중심으로 비교 관찰한다.
4.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