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급할 수 있는 라인을 갖추고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기체연료의 공급라인은 긴급차단장치, 전자밸브, 기체연료 공급파이프 등이 필요하고, 동 부품들을 서로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동 연결부위에서 가스누출의 가능성이 증대된다. 특히 연료계통의 이음부에 들어가는 고무패킹이 열경화로 기밀 유지를 하지 못하거나 수리불량에 의한 가스누출은 사전에 인지를 하기 어려워 누출에 의한 화재위험성이 대단히 높음을 보인다.
2) 교통사고 이후 화재위험성
- LPG 자동차는 교통사고로 연료주입 파이프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봄베 내에 있는 연료가 누출이 되어도 가스누출을 자동 차단시킬 수 없는 구조이며, 기체 연료 공급 파이프가 파손이 될 경우에도 시동이 꺼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체상태의 연료가 전자밸브의 기체밸브로 역류가 되어 누출이 될 위험이 있고, 이렇게 누출이 된 가스는 주변의 점화원에 인화가 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가 있다.
또한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지 못할 정도로 액체연료공급 파이프가 파손이 될 경우에는 시동이 꺼져 연료탱크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긴급차단장치 및 과류방지 밸브가 작동하여 연료공급을 차단하므로 연료의 누출위험성은 없으나, 시동이 꺼지지 않을 정도로 파손이 되어 가스가 누출이 될 경우에는 동 차단장치들이 작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누출로 인한 화재위험성이 있다.
3.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이러한 기체연료의 공급라인은 긴급차단장치, 전자밸브, 기체연료 공급파이프 등이 필요하고, 동 부품들을 서로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동 연결부위에서 가스누출의 가능성이 증대된다. 특히 연료계통의 이음부에 들어가는 고무패킹이 열경화로 기밀 유지를 하지 못하거나 수리불량에 의한 가스누출은 사전에 인지를 하기 어려워 누출에 의한 화재위험성이 대단히 높음을 보인다.
2) 교통사고 이후 화재위험성
- LPG 자동차는 교통사고로 연료주입 파이프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봄베 내에 있는 연료가 누출이 되어도 가스누출을 자동 차단시킬 수 없는 구조이며, 기체 연료 공급 파이프가 파손이 될 경우에도 시동이 꺼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체상태의 연료가 전자밸브의 기체밸브로 역류가 되어 누출이 될 위험이 있고, 이렇게 누출이 된 가스는 주변의 점화원에 인화가 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가 있다.
또한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지 못할 정도로 액체연료공급 파이프가 파손이 될 경우에는 시동이 꺼져 연료탱크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긴급차단장치 및 과류방지 밸브가 작동하여 연료공급을 차단하므로 연료의 누출위험성은 없으나, 시동이 꺼지지 않을 정도로 파손이 되어 가스가 누출이 될 경우에는 동 차단장치들이 작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누출로 인한 화재위험성이 있다.
3.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