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공 직 윤 리
공직자의 정의
공직윤리의 개념
우리나라 공직 윤리관의 변천
관료부패-부정부패`
부정부패 사례
1.정치인
2.지방자치단체 공무원
3.교육공무원
공직윤리 규범 체계의 문제점
공직자의 정의
공직윤리의 개념
우리나라 공직 윤리관의 변천
관료부패-부정부패`
부정부패 사례
1.정치인
2.지방자치단체 공무원
3.교육공무원
공직윤리 규범 체계의 문제점
본문내용
공직윤리 [공직윤리 정의, 공직윤리 개념, 공직윤리관 변천, 공직윤리 중요성, 공직윤리 관료부패, 공직윤리 부정부패, 공직윤리 인식, 공직윤리 사례, 정치인 공직윤리 사례, 지방자치단체 공직윤리 사례].ppt
공 직 윤 리
공직자의 정의
╋━━━━━━━━━━─────────
❖ 부패방지법 2조 2항
가.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에 의한 공무원과 그 밖의 다른 법률에 의하여 그 자격, 임용, 교육훈련, 복무, 보수 ,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공무원으로 인정된 자
나.공직유관 단체의 장 및 그 직원
❖ 발표자의 정의
선출직 공무원(대통령, 국무총리, 시•도지사,국회의원, 특별시•광역시의 구청장, 시장, 군수, 지방의회 의원) 및 정무직 공무원, 교육공무원
공직윤리의 개념
╋━━━━━━━━━━─────────
❖ 공직윤리란?
-행정의 바람직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무원이 지켜야 할 규범적 기준
-행정목적의 실현과 부정부패의 해소
-공직자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행동규범으로서 올바른 판단과 선택, 행위에 필요한 능력
-정책관리자가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 도덕, 또는 규범
공직윤리의 개념
╋━━━━━━━━━━─────────
❖ 공직윤리의 3가지 특성
1.당위성을 바탕으로 하는 가치 함축적 판단
2.인간 내면적인 가치체계 속에 잠재
3.시대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
우리나라 공직 윤리관의 변천
╋━━━━━━━━━━─────────
❖ 정약용의 육조사상
-부임육조(赴任六條):행정관이 부임하여 지켜야 할 일
-율기육조(律己六條):자기자신을 다스리기 위해 할 일
-봉공육조(奉公六條):나라와 사회를 위해 할 일
-이전육조(吏典六條):부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할 일
-호전육조(戶典六條):전토 및 식량과 기타 재화 ·경제에 관한 정무를 행할 때 지켜야 할 일
-예전육조(禮典六條):예법으로서 지켜야 할 일
-병전육조(兵典六條):군사를 다스림에 있어서 할 일
-형전육조(刑典六條):법을 집행함에 있어서 할 일
-공전육조(工典六條):국가 시설을 관리하면서 할 일
-진황육조(賑荒六條):재해가 일어 났을 때 할 일
-해관육조(解官六條):관직에서 물러남에 있어서 할 일
우리나라 공직 윤리관의 변천
╋━━━━━━━━━━─────────
❖ 근.현대사회
-1945년: 해방 직후 민족주의 발현이 국가 형성 국민 형성의 전길 전기를 마련 자주 독립성을 강조
-1960년~70년대:국가재건 기치 아래 경제발전이 강조, 능률성과 효과성이 민주성보다 강조
-1980년대:민주성이 과거 억압구조의 청산을 요구하면서 새 이념으로 부상
-1990년대:민주성과 사회적 형평성이 강조되어 현재 21세기에 이르고 있다.
공 직 윤 리
공직자의 정의
╋━━━━━━━━━━─────────
❖ 부패방지법 2조 2항
가.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에 의한 공무원과 그 밖의 다른 법률에 의하여 그 자격, 임용, 교육훈련, 복무, 보수 ,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공무원으로 인정된 자
나.공직유관 단체의 장 및 그 직원
❖ 발표자의 정의
선출직 공무원(대통령, 국무총리, 시•도지사,국회의원, 특별시•광역시의 구청장, 시장, 군수, 지방의회 의원) 및 정무직 공무원, 교육공무원
공직윤리의 개념
╋━━━━━━━━━━─────────
❖ 공직윤리란?
-행정의 바람직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무원이 지켜야 할 규범적 기준
-행정목적의 실현과 부정부패의 해소
-공직자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행동규범으로서 올바른 판단과 선택, 행위에 필요한 능력
-정책관리자가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 도덕, 또는 규범
공직윤리의 개념
╋━━━━━━━━━━─────────
❖ 공직윤리의 3가지 특성
1.당위성을 바탕으로 하는 가치 함축적 판단
2.인간 내면적인 가치체계 속에 잠재
3.시대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
우리나라 공직 윤리관의 변천
╋━━━━━━━━━━─────────
❖ 정약용의 육조사상
-부임육조(赴任六條):행정관이 부임하여 지켜야 할 일
-율기육조(律己六條):자기자신을 다스리기 위해 할 일
-봉공육조(奉公六條):나라와 사회를 위해 할 일
-이전육조(吏典六條):부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할 일
-호전육조(戶典六條):전토 및 식량과 기타 재화 ·경제에 관한 정무를 행할 때 지켜야 할 일
-예전육조(禮典六條):예법으로서 지켜야 할 일
-병전육조(兵典六條):군사를 다스림에 있어서 할 일
-형전육조(刑典六條):법을 집행함에 있어서 할 일
-공전육조(工典六條):국가 시설을 관리하면서 할 일
-진황육조(賑荒六條):재해가 일어 났을 때 할 일
-해관육조(解官六條):관직에서 물러남에 있어서 할 일
우리나라 공직 윤리관의 변천
╋━━━━━━━━━━─────────
❖ 근.현대사회
-1945년: 해방 직후 민족주의 발현이 국가 형성 국민 형성의 전길 전기를 마련 자주 독립성을 강조
-1960년~70년대:국가재건 기치 아래 경제발전이 강조, 능률성과 효과성이 민주성보다 강조
-1980년대:민주성이 과거 억압구조의 청산을 요구하면서 새 이념으로 부상
-1990년대:민주성과 사회적 형평성이 강조되어 현재 21세기에 이르고 있다.
추천자료
기업의 윤리경영 사례 및 시사점
윤리경영 사례분석 및 프로그램 제안
현대사회와 윤리경영 (윤리경영의 사례 중심으로 알아본 현대사회에서의 윤리경영)
[언론윤리강령]언론윤리강령의 개념, 언론윤리강령의 의의, 언론윤리강령의 특징, 언론윤리강...
기업윤리와 윤리경영의 사례와 시사점과 기업윤리의 발전방안
[기업윤리경영][기업윤리][윤리경영][기업경영]기업윤리경영의 개념, 기업윤리경영의 배경, ...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정의와 목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중요성,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내용, 정...
사회복지 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사례(자신이 사회복지사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출.)
윤리경영 사례연구 보고서
[현대사회와 경영윤리] 윤리경영 사례연구 보고서 - (주)풀무원의 윤리경영
[생산및운영관리] 윤리경영 - 윤리경영의 개념, 윤리경영이 왜 중요한가, 윤리경영을 제대로 ...
[경영학] 경영윤리 사례 - 포스코(POSCO) 사례
생명윤리학, 생명윤리학의 개념, 생명윤리학이 다루는 주제들, 장기이식, 생명 윤리학의 역사...
윤리적 소비,윤리적소비의 사례,공정무역커피,로컬푸드,CSR,사회적 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