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생활교육의 전문직 조건
2. 가족생활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과제
(1) 가족생활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
(2)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적 틀 마련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2. 가족생활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과제
(1) 가족생활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
(2)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적 틀 마련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화를 반영하여 우리 문화와 가족과의 관계 등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을 함께 보는 연구들이 필요함
② 가족학의 연구와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함
-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내용과 구성 면에서는 아직 많은 보완이 필요함
- 대중화를 위해서는 쉽게 적용할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지원필요
- 다른 학문과 차별되는 대중 위한 일회성 강의를 위한 표준 프로그램의 개발필요
③ 가족생활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이 요구됨
- 전문직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타당성을 제공하는 자원이 됨
④ 체계적이며 다양한 수요자 및 교육자 중심의 요구도 분석 연구가 필요
- 가족생활교육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시장조사와 함께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을 알릴 수 있는 수요조사가 필요하며 범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시민운동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임
- 가족생활교육의 내용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지각된 욕구와 교육자의 욕구 및 미래의 필요한 욕구를 반영해야 함
⑤ 교육적 원리와 효과적인 교육책략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
- 우리 분야에서는 교육적 원리와 교육책략 등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편임
- 구체적인 경험학습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지식 없이는 아무리 좋은 교육도 그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교육적 원리와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가족생활교육사의 자질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됨
(2)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적 틀 마련을 위한 과제
① 가족생활교육의 정의와 목적의 체계화 과제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가족생활교육과 가족향상은 혼용되어 사용되므로 가족생활교육의 정의와 목적을 우리 실정에 맞게 정비하는 작업이 요구됨
② 가족생활교육의 교과과정의 정비
- 가족생활교육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의 정비 :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아동발달, 성교육, 부모교육 및 부부관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은 편이지만 대학에서 ‘부부의 성’, ‘부모교육’, ‘부부교육’등이 개별적인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지 않은 실정임,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며 교육대상자들의 발달상 욕구와 능력에 대한 이해와 학습과정에 대해 이해해야 함
참고문헌
김희성, 김충식 외 저, 가족생활교육, 공동체 20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저, 가족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박주희 저,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구상 2012
전세경 저, 가족생활교육, 양서원 2013
② 가족학의 연구와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함
-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내용과 구성 면에서는 아직 많은 보완이 필요함
- 대중화를 위해서는 쉽게 적용할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지원필요
- 다른 학문과 차별되는 대중 위한 일회성 강의를 위한 표준 프로그램의 개발필요
③ 가족생활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이 요구됨
- 전문직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타당성을 제공하는 자원이 됨
④ 체계적이며 다양한 수요자 및 교육자 중심의 요구도 분석 연구가 필요
- 가족생활교육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시장조사와 함께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을 알릴 수 있는 수요조사가 필요하며 범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시민운동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임
- 가족생활교육의 내용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지각된 욕구와 교육자의 욕구 및 미래의 필요한 욕구를 반영해야 함
⑤ 교육적 원리와 효과적인 교육책략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
- 우리 분야에서는 교육적 원리와 교육책략 등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편임
- 구체적인 경험학습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지식 없이는 아무리 좋은 교육도 그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교육적 원리와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가족생활교육사의 자질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됨
(2)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적 틀 마련을 위한 과제
① 가족생활교육의 정의와 목적의 체계화 과제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가족생활교육과 가족향상은 혼용되어 사용되므로 가족생활교육의 정의와 목적을 우리 실정에 맞게 정비하는 작업이 요구됨
② 가족생활교육의 교과과정의 정비
- 가족생활교육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의 정비 :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아동발달, 성교육, 부모교육 및 부부관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은 편이지만 대학에서 ‘부부의 성’, ‘부모교육’, ‘부부교육’등이 개별적인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지 않은 실정임,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며 교육대상자들의 발달상 욕구와 능력에 대한 이해와 학습과정에 대해 이해해야 함
참고문헌
김희성, 김충식 외 저, 가족생활교육, 공동체 20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저, 가족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박주희 저,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구상 2012
전세경 저, 가족생활교육, 양서원 2013
키워드
추천자료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가족생활교육의 개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평가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가족생활교육의 내용 및 프로그램
가족생활교육과 관련된 쟁점
가족생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가족생활교육의 윤리와 전망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가족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가족생활교육에서 반영해야 할 사항들을 2가지씩 서...
현대사회에서의 자녀는 부모에게 다양한 부담감을 주는 존재로 인식되고 있는데, 가족생활교...
1인 가족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3회기)을 개발하고 분석하시오
가족생활교육사의 자질과 역할
가족생활교육에서 부모 됨의 중심개념에 대하여 토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