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화의 판정
1. 발화범위의 판정(발굴, 복원 전)
2. 발화개소의 판정(발굴, 복원 후)
3. 화재패턴의 위치
4. 현장조사의 순서
5. 발화지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
6. 발화지점 판정기준
7. 참고문헌
1. 발화범위의 판정(발굴, 복원 전)
2. 발화개소의 판정(발굴, 복원 후)
3. 화재패턴의 위치
4. 현장조사의 순서
5. 발화지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
6. 발화지점 판정기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및 복원
5) 증거물 확보
6) 발화지점 판정
7) 발화원 판정
5. 발화지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
1)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하게 연소
2) V형 패턴의 연소흔적
3) 벽면의 박리
4) 주변에서 단락흔적 발견
6. 발화지점 판정기준
1) 전체 연소현상을 설명을 하는 데 연소상태나 증거 구성에 무리가 없을 것
2) 바로하지점으로부터 주변으로의 연소확대 과정이 초기의 연소 특징과 부합할 것
3) 공기의 유동, 가연물의 분포, 시간적 경과 등이 연소의 정도에 합리성을 지닐 것
7.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5) 증거물 확보
6) 발화지점 판정
7) 발화원 판정
5. 발화지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
1)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하게 연소
2) V형 패턴의 연소흔적
3) 벽면의 박리
4) 주변에서 단락흔적 발견
6. 발화지점 판정기준
1) 전체 연소현상을 설명을 하는 데 연소상태나 증거 구성에 무리가 없을 것
2) 바로하지점으로부터 주변으로의 연소확대 과정이 초기의 연소 특징과 부합할 것
3) 공기의 유동, 가연물의 분포, 시간적 경과 등이 연소의 정도에 합리성을 지닐 것
7.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