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자체에서 출화를 한 것으로서 판단을 할 수 있다.
7. 코일류
- 용융흔 관찰 및 과부하 운전, 고주파에 의한 과전류 요인을 검토를 한다.
8. 기판 접속부
- 접속부 한 쪽 극만 용융이 된 경우 접촉불량, 납땜불량에 의한 접촉부 과열로 판단을 할 수가 있으며, 양극이 용융이 된 경우에는 트래킹 현상을 검토한다.
9. 용융흔 구분
- 배선의 2개소 이상에서 전기 용융흔이 발생을 한 경우에는 부하측이 먼저 단락이 된 것으로서 그 지점으로부터 전원측까지의 조사는 생략이 가능해진다.
10.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7. 코일류
- 용융흔 관찰 및 과부하 운전, 고주파에 의한 과전류 요인을 검토를 한다.
8. 기판 접속부
- 접속부 한 쪽 극만 용융이 된 경우 접촉불량, 납땜불량에 의한 접촉부 과열로 판단을 할 수가 있으며, 양극이 용융이 된 경우에는 트래킹 현상을 검토한다.
9. 용융흔 구분
- 배선의 2개소 이상에서 전기 용융흔이 발생을 한 경우에는 부하측이 먼저 단락이 된 것으로서 그 지점으로부터 전원측까지의 조사는 생략이 가능해진다.
10.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