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매우 다양하다.
2) 기동용 릴레이는 전극의 용융 부분, 배선 및 단자 접속부의 풀림 등이 있는지 확인을 하며 단락흔의 위치 등을 관찰을 한다.
3) 서미스터(PTC)의 소손상황, 내부 금속구의 용융흔, 잔존 배선의 탄화상태를 확인을 한다.
4) 설치장소의 전원 코드 및 배선 커넥터의 접속 상태, 히터(서모스탯 히터, 서리제거 히터, 드레인 히터 등)의 이상유무에 대해서 확인을 하여야 한다.
5) 컴프레셔 코일의 층간단락, 단자 부분의 용융, 변색흔에 대해서 확인을 하여야 한다.
4.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2) 기동용 릴레이는 전극의 용융 부분, 배선 및 단자 접속부의 풀림 등이 있는지 확인을 하며 단락흔의 위치 등을 관찰을 한다.
3) 서미스터(PTC)의 소손상황, 내부 금속구의 용융흔, 잔존 배선의 탄화상태를 확인을 한다.
4) 설치장소의 전원 코드 및 배선 커넥터의 접속 상태, 히터(서모스탯 히터, 서리제거 히터, 드레인 히터 등)의 이상유무에 대해서 확인을 하여야 한다.
5) 컴프레셔 코일의 층간단락, 단자 부분의 용융, 변색흔에 대해서 확인을 하여야 한다.
4.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