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목회 사역에 대한 성경적 근거
1. 성경적인 목회 철학(哲學)
2. 교회의 목적
II. 목회자의 성품
1. 성경적 근거
2. 성적 도덕성
3.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의 자질
4. 숭고한 태도와 행위
Ⅲ. 결론
1. 성경적인 목회 철학(哲學)
2. 교회의 목적
II. 목회자의 성품
1. 성경적 근거
2. 성적 도덕성
3.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의 자질
4. 숭고한 태도와 행위
Ⅲ. 결론
본문내용
.
2) 적극적 형태의 성품들
① 친절(hospitable)--문자적 의미는 “모르는 자를 사랑하는 자.” 라는 의미를 지닌다.
② 선한 것을 사랑함(Loving what is good)
③ 민감함(Sensible)--헬 phroneo(사고 과정) + sozo(I save). 많은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의 생각을 읽어야 한다.
④ 의로움(Just)--하나님의 기준에 맞는 사람의 행위를 의미한다.
⑤ 경건함(Devout)--죄로 얼룩지지 않고 순수함을 의미한다.
⑥ 절제(Self-Control)--자기를 통제할 줄 아는 목사이다.
Ⅲ. 결론
목회자는 성경에 나타나있는 자질들, 하나님께 대하여, 근신하며, 의로우며, 거룩하며, 주를 사랑하는 마음을 지녀야하는 것이며, 자기 자신에 대하여는 전인적인 인격과 영적능력, 지적, 학적, 실력을 갖추어야하고, 확실한 말씀을 굳게 잡은 사람이 되어야하며, 그리고 가정에 대하여는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자기 집을 잘 다스려 자녀들로 모든 단정함으로 복종케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더우기 교회에 대하여는 바른 교훈을 적절히 가르치기를 잘하고, 기쁨으로 일하며, 양무리의 본이되는 자가 되어야하며, 뿐만 아니라 목회자는 대인, 물질 관계에 있어서 아담하며, 제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관용하며, 사랑의 마음을 소유하고, 물질에 치우치지 아니하는 사람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격을 구비한 목회자는 그가 맡은 직무를 온전히 수행하게 되는데, 곧 설교자, 교사, 상담자, 행정가로서의 직무를 하나님과의 깊은 교재 가운데, 강하고 담대함으로, 또한 교회에 대한 지극한 사랑, 희생, 봉사정신으로, 그리고 자기 부정과 제 십자가를 지면서, 주께서 주신 생명보다 귀한 이 사명을 온전히 수행함으로서 모든 영광을 하나님께 돌려야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목회자는 하나님이 주신 은사들과 지도력을 잘 개발할 때 더욱 온전하고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으며, 그가 이것을 개발하면 할수록 그의 직무수행은 더욱 온전함으로 완수되어진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 보았다. 이상과 같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목회자, 곧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종으로서 목회자’는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하여 제시하신 목회자의 자격을 온전히 구비하고 그의 직무를 생명 바쳐 수행하며 하나님이 주신 지도력(Leadership)을 끊임없이 개발하여 많은 열매를 맺음으로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종으로서의 목회자는 첫째로, 하나님의 종으로서 성경적인 참 목회자 상으로서의 그 자질을 향상시켜 하나님이 주신 목회자적 권위를 회복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그리고 이 시대가 요구하는 목자로 부단히 노력 헌신함으로서 주님의 피로 사신 몸된 교회를 흉악한 이리 가운데서 지켜 보호하는 선한 목자요, 착하고 충성된 종들이 되어야 하며, 둘째로, 날마다 죽는 자기부정과 예수님이 보여주신 겸손을 본받아 나 보다 상대를 높이고 존중하는, 그리고 언행을 잘 다듬고 수행하는 윤리적 인격을 배양하는 것뿐만 아니라 진정 남을 섬기는 삶으로서의 겸손의 자세로 목회의 현장이든 대 사회적 자세이든 이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여서는 않된다. 목회자는 모쪼록 겸손한 삶을 통하여 목회자의 본연의 직무를 준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 목회 지도자는 교회에서나, 사회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예수님이 보여주신 그 진실성을 본받아 수행을 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Lindgren, Alvin J.「교회 개발론」 박근원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리차드 백스터, 『참 목자상(The Reformed Pastor)』,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6. 12)
2) 적극적 형태의 성품들
① 친절(hospitable)--문자적 의미는 “모르는 자를 사랑하는 자.” 라는 의미를 지닌다.
② 선한 것을 사랑함(Loving what is good)
③ 민감함(Sensible)--헬 phroneo(사고 과정) + sozo(I save). 많은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의 생각을 읽어야 한다.
④ 의로움(Just)--하나님의 기준에 맞는 사람의 행위를 의미한다.
⑤ 경건함(Devout)--죄로 얼룩지지 않고 순수함을 의미한다.
⑥ 절제(Self-Control)--자기를 통제할 줄 아는 목사이다.
Ⅲ. 결론
목회자는 성경에 나타나있는 자질들, 하나님께 대하여, 근신하며, 의로우며, 거룩하며, 주를 사랑하는 마음을 지녀야하는 것이며, 자기 자신에 대하여는 전인적인 인격과 영적능력, 지적, 학적, 실력을 갖추어야하고, 확실한 말씀을 굳게 잡은 사람이 되어야하며, 그리고 가정에 대하여는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자기 집을 잘 다스려 자녀들로 모든 단정함으로 복종케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더우기 교회에 대하여는 바른 교훈을 적절히 가르치기를 잘하고, 기쁨으로 일하며, 양무리의 본이되는 자가 되어야하며, 뿐만 아니라 목회자는 대인, 물질 관계에 있어서 아담하며, 제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관용하며, 사랑의 마음을 소유하고, 물질에 치우치지 아니하는 사람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격을 구비한 목회자는 그가 맡은 직무를 온전히 수행하게 되는데, 곧 설교자, 교사, 상담자, 행정가로서의 직무를 하나님과의 깊은 교재 가운데, 강하고 담대함으로, 또한 교회에 대한 지극한 사랑, 희생, 봉사정신으로, 그리고 자기 부정과 제 십자가를 지면서, 주께서 주신 생명보다 귀한 이 사명을 온전히 수행함으로서 모든 영광을 하나님께 돌려야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목회자는 하나님이 주신 은사들과 지도력을 잘 개발할 때 더욱 온전하고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으며, 그가 이것을 개발하면 할수록 그의 직무수행은 더욱 온전함으로 완수되어진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 보았다. 이상과 같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목회자, 곧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종으로서 목회자’는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하여 제시하신 목회자의 자격을 온전히 구비하고 그의 직무를 생명 바쳐 수행하며 하나님이 주신 지도력(Leadership)을 끊임없이 개발하여 많은 열매를 맺음으로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종으로서의 목회자는 첫째로, 하나님의 종으로서 성경적인 참 목회자 상으로서의 그 자질을 향상시켜 하나님이 주신 목회자적 권위를 회복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그리고 이 시대가 요구하는 목자로 부단히 노력 헌신함으로서 주님의 피로 사신 몸된 교회를 흉악한 이리 가운데서 지켜 보호하는 선한 목자요, 착하고 충성된 종들이 되어야 하며, 둘째로, 날마다 죽는 자기부정과 예수님이 보여주신 겸손을 본받아 나 보다 상대를 높이고 존중하는, 그리고 언행을 잘 다듬고 수행하는 윤리적 인격을 배양하는 것뿐만 아니라 진정 남을 섬기는 삶으로서의 겸손의 자세로 목회의 현장이든 대 사회적 자세이든 이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여서는 않된다. 목회자는 모쪼록 겸손한 삶을 통하여 목회자의 본연의 직무를 준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 목회 지도자는 교회에서나, 사회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예수님이 보여주신 그 진실성을 본받아 수행을 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Lindgren, Alvin J.「교회 개발론」 박근원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리차드 백스터, 『참 목자상(The Reformed Pastor)』,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6. 12)
추천자료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낙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성(性)윤리 -혼전 성 관계와 동성애를 중심으로
낙태는 윤리적일 수 있는가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윤리설
현대목회학 (목회의 원리와 실제)
그리스도인의 구원과 하나님 나라 그리고 윤리
헬라(그리스)윤리학 전통
생명의 시점에 대한 종교적 입장과 근거, 낙태에 대한 입장 (천주교, 기독교, 유교, 불교)
[기후변화와 교회] 기후변화의 원인, 현상, 기후변화의 문제점 및 기후변화에 대한 기독교, ...
한국韓國 교회와 식민주의, 포스트 식민주의와 기독교
[현대윤리학자 세미나] 월터 라우쉔부쉬 (Walter Rauschenbush) - 월터 라우센부쉬의 사회복...
정보화 사회와 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