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그 DDT와 고엽제 및 예전에 사용되었던 농약들에 대해 알게 되었고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었다. 농약의 피해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끔찍했기 때문이었다.
저자가 쓴 것처럼 많은 사람들은 우리 주변에서 해충이 사라져주기를, 수확량이 더 많아지기를, 쓸모없는 잡초는 죽기를 바란다. 그러나 아무도 새가 울지 않고, 아이들은 병으로 죽어가고, 더 이상 물가에서 낚시를 할 수가 없는 조용한, 아주 조용한, 죽음이 휩쓸고 지나가서 무섭도록 조용해진 그러한 세상을 원하지는 않는다. 나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농부도 아니고 의사도 아니다. 해충이나 잡초에 대해 별로 흥미도 없다. 그렇기에 나는 살충제나 제초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이러한 것에 관심이 없다 하더라도, 그 일이 나랑 무관하게 여겨진다고 하더라도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을 느꼈다. 내가 직접적으로 살충제나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 독성 물질들의 피해는 자연계를 돌고 돌아 나에게 돌아온다. 직접적으로는 내 신체에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내 주변에 있는 사랑스러운 꽃들이나 나무들, 심지어는 새와 곤충들까지 모두 죽일 수도 있다. 죽일 수도 있다기 보다는 이미 그래왔다. 내가 어릴 적에는 아침에 잠을 깰때마다 새의 소리를 들었다. 특히 다른 여느 지역과 같이 우리 집 주변에는 참새들이 많았다. 들끓었다는 표현이 적합할 정도로 많았다. 참새들 지저귀는 소리 때문에 시끄러워서 잠이 깬적도 한 두 번이 아니었으니까.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눈에 띄게 참새 수가 줄어들었고 결국 지금은 참새 한 마리 보기도 힘들어졌다. 간혹가다가 몇 마리의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쉬는 것이 보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간간이 일어날 뿐이지 항상 참새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비의 경우는 더욱 더 심하다. 우리 집 뒤의 베란다에는 빨래를 널어놓는 줄이 있고 여름이면 항상 그 줄 위로 제비들이 앉아있었다. 우리 집 처마 밑에 집을 짓는 놈이 있는가하면 용감하게 방으로 쳐들어와서 집을 지으려는 놈들도 있었다. 베란다에 나가면 그 많은 제비들이 어디다가 똥을 갈길지 몰라서 베란다는 가급적이면 안 나가려고 했던 기억도 난다. 예전에는 제비들이 그렇게 많았지만 나는 지금 몇 년동안이나 우리 집 뒤의 베란다에서 단 한 마리의 제비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저자가 첫 장에서 예언한 침묵의 봄이 우리 주변에도 찾아왔다는 것을 느낄 때마다 참으로 안타까움을 금할 길이 없다. 자연계라는 것은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을 찾기 위해서는 짧게는 몇 년, 길게는 몇십년이 걸릴지 몇백년이 걸릴지 모른다. 그리고 그것들을 다시 회복하는 동안 우리와 우리 후손들은 그것이 있었을 때는 느끼지 못했던 우리 주변 생물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될 것이고 다시 그것을 회복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돈을 쏟아부을 것이다. 이렇게 안타까운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좀더 농약에 대한, 그리고 우리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
저자가 쓴 것처럼 많은 사람들은 우리 주변에서 해충이 사라져주기를, 수확량이 더 많아지기를, 쓸모없는 잡초는 죽기를 바란다. 그러나 아무도 새가 울지 않고, 아이들은 병으로 죽어가고, 더 이상 물가에서 낚시를 할 수가 없는 조용한, 아주 조용한, 죽음이 휩쓸고 지나가서 무섭도록 조용해진 그러한 세상을 원하지는 않는다. 나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농부도 아니고 의사도 아니다. 해충이나 잡초에 대해 별로 흥미도 없다. 그렇기에 나는 살충제나 제초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이러한 것에 관심이 없다 하더라도, 그 일이 나랑 무관하게 여겨진다고 하더라도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을 느꼈다. 내가 직접적으로 살충제나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 독성 물질들의 피해는 자연계를 돌고 돌아 나에게 돌아온다. 직접적으로는 내 신체에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내 주변에 있는 사랑스러운 꽃들이나 나무들, 심지어는 새와 곤충들까지 모두 죽일 수도 있다. 죽일 수도 있다기 보다는 이미 그래왔다. 내가 어릴 적에는 아침에 잠을 깰때마다 새의 소리를 들었다. 특히 다른 여느 지역과 같이 우리 집 주변에는 참새들이 많았다. 들끓었다는 표현이 적합할 정도로 많았다. 참새들 지저귀는 소리 때문에 시끄러워서 잠이 깬적도 한 두 번이 아니었으니까.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눈에 띄게 참새 수가 줄어들었고 결국 지금은 참새 한 마리 보기도 힘들어졌다. 간혹가다가 몇 마리의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쉬는 것이 보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간간이 일어날 뿐이지 항상 참새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비의 경우는 더욱 더 심하다. 우리 집 뒤의 베란다에는 빨래를 널어놓는 줄이 있고 여름이면 항상 그 줄 위로 제비들이 앉아있었다. 우리 집 처마 밑에 집을 짓는 놈이 있는가하면 용감하게 방으로 쳐들어와서 집을 지으려는 놈들도 있었다. 베란다에 나가면 그 많은 제비들이 어디다가 똥을 갈길지 몰라서 베란다는 가급적이면 안 나가려고 했던 기억도 난다. 예전에는 제비들이 그렇게 많았지만 나는 지금 몇 년동안이나 우리 집 뒤의 베란다에서 단 한 마리의 제비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저자가 첫 장에서 예언한 침묵의 봄이 우리 주변에도 찾아왔다는 것을 느낄 때마다 참으로 안타까움을 금할 길이 없다. 자연계라는 것은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을 찾기 위해서는 짧게는 몇 년, 길게는 몇십년이 걸릴지 몇백년이 걸릴지 모른다. 그리고 그것들을 다시 회복하는 동안 우리와 우리 후손들은 그것이 있었을 때는 느끼지 못했던 우리 주변 생물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될 것이고 다시 그것을 회복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돈을 쏟아부을 것이다. 이렇게 안타까운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좀더 농약에 대한, 그리고 우리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독후감]독후감: 닉 혼비의 '피버 피치’를 읽고
[독후감]독후감 : 잭캔필드의‘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를 읽고
[독후감]독후감: 스티븐 제이 굴드의 ‘풀하우스’를 읽고
[독후감] The Goal (더 골)을 읽고 난 뒤 & 더골을 읽고 인상깊었던 대목 20 가지 (엘리 ...
[노인복지론 독후감] 리키 쿠사카의 헬프맨 1- 5편까지 읽고 노인복지 또는 노인 장기요양보...
‘나와너’를 읽고.. [서평] 나와너를읽고,재활상담과제,레포트독후감
[독후감] PR이론(복잡계 PR을 읽고) - 복잡계 PR이란 무엇인가, 복잡계 PR을 읽고 느낀점, 복...
[독후감] ‘칼의 노래’를 읽고 [칼의 노래 감상문, 칼의 노래 독후감]
[독후감] ‘칼의 노래’를 읽고 [칼의 노래 독후감, 칼의 노래 감상문]
취미와예술) 아래의 책 가운데 한 권을 읽고 독후감을 쓰시오.(미술의 불복종 독후감)
<<감자 독후감 및 분석>>감자 독후감,감자 독서감상문,김동인 감자 줄거리,감자 분석,단편소...
<<김동인의 붉은 산 독후감 및 분석>>붉은산 독후감,붉은산 독서감상문,붉은산 줄거리,붉은산...
<<전영택의 화수분 독후감 및 분석>>화수분 독후감,화수분 독서감상문,화수분 줄거리,전영택 ...
<<최서해의 탈출기 독후감 및 분석>>탈출기 독후감,탈출기 독서감상문,탈출기 줄거리,탈출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