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긴 길이+간격+짧은 길이이다. 긴 길이, 간격, 짧은 길이들의 평균은 각각 36.56mm, 16.11mm, 21.08mm 이다. 36.56mm+16.11mm+21.08mm=73.75mm이므로 길이 측정시료의 전체길이는 73.75mm이다.
실험2. 길이를 측정하여 면적과 부피구하기
사진1에서 보이듯이 구멍은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밑면인 두 원의 넓이와 옆면의 넓이를 구해 더하면 구멍의 면적이 된다.
위에서 측정한 값을 보면 안지름의 평균은 13.83mm이다. 따라서 13.83mm×1/2=6.915mm≒6.915mm가 원의 반지름이 된다. 원의 넓이는 r이 반지름일 때 πr2 이므로 π×(6.915mm)2=47.817225mm2≒47.82mm2이다. 그러므로 두 밑면의 넓이의 합은 47.82mm2×2=95.64mm2이다.
다음으로 구멍의 옆면은 직사각형 모양인데 세로길이는 위에서 깊이를 측정한 값인 20.04mm이고 가로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이다. 원의 둘레는 r이 반지름일 때 2πr 이므로 13.83πmm가 된다. 따라서 20.04mm×13.83πmm≒277.2mm2가 옆면의 넓이가 된다.
그러므로 구멍의 면적은 277.2mm2+95.64mm2≒372.8mm2이다.
다음으로 파인 부분 역시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다. 원기둥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원기둥의 높이)이다. 원기둥의 높이는 위에서 깊이를 측정한 값인 20.04mm 이고 밑면의 넓이는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47.84mm2이다. 그러므로 20.04mm×47.82mm2≒958.3mm3이 파인부분의 부피가 된다.
7. 결과에 대한 논의
오차는 측정할 때 마다 정확히 같은 곳을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었다.
측정을 여러 번 하여 평균 값을 이용하면 잘못 측정하여 잘못된 값을 데이터값으로 사용하는걸 예방할 수 있고, 여러 번 측정하면 할수록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8. 결론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측정 시료 특정부분의 길이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측정 시료의 깊이, 내경, 외경, 길이들을 측정해보았다. 그리고 여러번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해보았다. 여러 번 측정할수록 오차는 작아지게 되고, 실제값에 더 가까운 평균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9. 참고문헌 및 출처
(1)일반물리학실험(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2)숭실대 일반물리학 실험실
실험2. 길이를 측정하여 면적과 부피구하기
사진1에서 보이듯이 구멍은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밑면인 두 원의 넓이와 옆면의 넓이를 구해 더하면 구멍의 면적이 된다.
위에서 측정한 값을 보면 안지름의 평균은 13.83mm이다. 따라서 13.83mm×1/2=6.915mm≒6.915mm가 원의 반지름이 된다. 원의 넓이는 r이 반지름일 때 πr2 이므로 π×(6.915mm)2=47.817225mm2≒47.82mm2이다. 그러므로 두 밑면의 넓이의 합은 47.82mm2×2=95.64mm2이다.
다음으로 구멍의 옆면은 직사각형 모양인데 세로길이는 위에서 깊이를 측정한 값인 20.04mm이고 가로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이다. 원의 둘레는 r이 반지름일 때 2πr 이므로 13.83πmm가 된다. 따라서 20.04mm×13.83πmm≒277.2mm2가 옆면의 넓이가 된다.
그러므로 구멍의 면적은 277.2mm2+95.64mm2≒372.8mm2이다.
다음으로 파인 부분 역시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다. 원기둥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원기둥의 높이)이다. 원기둥의 높이는 위에서 깊이를 측정한 값인 20.04mm 이고 밑면의 넓이는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47.84mm2이다. 그러므로 20.04mm×47.82mm2≒958.3mm3이 파인부분의 부피가 된다.
7. 결과에 대한 논의
오차는 측정할 때 마다 정확히 같은 곳을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었다.
측정을 여러 번 하여 평균 값을 이용하면 잘못 측정하여 잘못된 값을 데이터값으로 사용하는걸 예방할 수 있고, 여러 번 측정하면 할수록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8. 결론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측정 시료 특정부분의 길이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측정 시료의 깊이, 내경, 외경, 길이들을 측정해보았다. 그리고 여러번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해보았다. 여러 번 측정할수록 오차는 작아지게 되고, 실제값에 더 가까운 평균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9. 참고문헌 및 출처
(1)일반물리학실험(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2)숭실대 일반물리학 실험실
추천자료
길이 및 곡률반경 측정
길이, 면적, 부피 및 밀도 측정 결과보고서
길이의 정밀측정
단진자 운동 - 단진자의 주기와 길이, 주기와 질량, 주기와 각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중력가...
[에너지자원공학] 관의 공명에 의한 음속 측정 - 관 내부에서 일정한 주파수와 음파가 전파...
신체 조성 평가 실습 보고서 (캘리퍼를 이용한) (신체조성 평가 방법, BIA 측정 방법).ppt
[화학실험] 액상 흡착 (Adsorption of liquid) : 일정한 농도에서 흡착제의 양과 흡수탑의 길...
[물실] 1_6.단진자운동 : 단진자의 주기와 길이, 주기와 질량, 주기와 각도와의 관계를 알아...
[생물학 및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일반생물학 및 실험 1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유아수학교육]측정 (측정개념의 발달, 비교, 길이와 높이, 면적과 영역, 부피와 양 무게, 온...
광학시간영역반사계(OTDR) 실험 결과 레포트 (광섬유 길이에 따른 손실 측정, 광섬유 구부림 ...
[화학공학 실험] 관을 통한 유체 흐름 : 뉴튼유체가 관을 통하여 흐를 경우 압력 손실, 마찰 ...
관의 공명에 의한 음속 측정 (예비리포트) : 관 내부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음파가 전파될 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