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실험보고서 -길이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물리학실험보고서 -길이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긴 길이+간격+짧은 길이이다. 긴 길이, 간격, 짧은 길이들의 평균은 각각 36.56mm, 16.11mm, 21.08mm 이다. 36.56mm+16.11mm+21.08mm=73.75mm이므로 길이 측정시료의 전체길이는 73.75mm이다.
실험2. 길이를 측정하여 면적과 부피구하기
사진1에서 보이듯이 구멍은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밑면인 두 원의 넓이와 옆면의 넓이를 구해 더하면 구멍의 면적이 된다.
위에서 측정한 값을 보면 안지름의 평균은 13.83mm이다. 따라서 13.83mm×1/2=6.915mm≒6.915mm가 원의 반지름이 된다. 원의 넓이는 r이 반지름일 때 πr2 이므로 π×(6.915mm)2=47.817225mm2≒47.82mm2이다. 그러므로 두 밑면의 넓이의 합은 47.82mm2×2=95.64mm2이다.
다음으로 구멍의 옆면은 직사각형 모양인데 세로길이는 위에서 깊이를 측정한 값인 20.04mm이고 가로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이다. 원의 둘레는 r이 반지름일 때 2πr 이므로 13.83πmm가 된다. 따라서 20.04mm×13.83πmm≒277.2mm2가 옆면의 넓이가 된다.
그러므로 구멍의 면적은 277.2mm2+95.64mm2≒372.8mm2이다.
다음으로 파인 부분 역시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다. 원기둥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원기둥의 높이)이다. 원기둥의 높이는 위에서 깊이를 측정한 값인 20.04mm 이고 밑면의 넓이는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47.84mm2이다. 그러므로 20.04mm×47.82mm2≒958.3mm3이 파인부분의 부피가 된다.
7. 결과에 대한 논의
오차는 측정할 때 마다 정확히 같은 곳을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었다.
측정을 여러 번 하여 평균 값을 이용하면 잘못 측정하여 잘못된 값을 데이터값으로 사용하는걸 예방할 수 있고, 여러 번 측정하면 할수록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8. 결론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측정 시료 특정부분의 길이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측정 시료의 깊이, 내경, 외경, 길이들을 측정해보았다. 그리고 여러번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해보았다. 여러 번 측정할수록 오차는 작아지게 되고, 실제값에 더 가까운 평균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9. 참고문헌 및 출처
(1)일반물리학실험(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2)숭실대 일반물리학 실험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9.1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7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