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dividuals)
원자화된 개체로 결핍된 문화이다.
문화는 진정성(Authenticity)을 중요시한다.
문화는 삶과 진정성을 위해 유희되어서는 안된다.
From Above
위로부터 규정되는 대중문화
From Below
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대중문화
Interaction bet
위와 아래에서 상호 작용하는 대중문화
대중이 폭넓게 좋아하는 문화
비판
가치중립성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 제기의 여지를 주지 않는다.
고도의 전략, 가치 행위
문화는 이미 가치 행위임에도 가치의 중립을 외친다.
2. 고급의 타자(주변)로서의 문화
고급이 결정되고 잔여물로 남은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문화가 아니다.
From Above
노골적으로 대중문화를 폄하한다.
이중타자화
1차적 타자화는 A에 의한 B의 타자화로서 저항성이 점차 떨어진다.
검은 피부
2차적 타자화는 1차적 타자화의 다음 현상으로 A를 동경하며 주체를 상실한다. 즉 B에 의한 B의 타자화이다.
흰 마스크를 낀 검은 피부
바비인형을 예로 들 수 있다.
고급문화(High Arts)
Masculinity
남성성을 가진다.
남성이 생산의 축을 맡았기 때문이다.
Production
생산에 기반을 두었다.
Work
일을 통해 생산이 이루어진다.
Intellect
지성 중심의 문화이다.
Activity
능정적인 지위를 가진다.
Writing
글쓰기를 만든다.
쓰기의 지위에 있다.
대중문화는 고급문화의 모방을 지양해야 하며 진정성을 갖는 고급문화를 지향해야 한다.
대중문화의 미래
격이 있어야 한다.
혼을 다해야 한다.
대중문화의 삶이 치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장인정신과 팔만대장경 등이 있다.
품성을 가져야 한다.
물질적 소비는 상업적 의도에서 비롯된다.
3. 상업주의 문화
허버트 겐스(Herbert Gans)는 상업주의 문화에 대하여 4가지를 비판하였다.
대중문화(Mass Culture)
Femininity
여성성을 가진다.
생산의 축을 가지지 못한 대중문화는 고급문화가 될 수 없다.
Consumption
소비에 기반을 두었다.
대중문화는 생산의 지위를 가질 수 없다.
Leisure
여가를 통해 소비가 이루어진다.
Emotion
감성 중심의 문화이다.
Passivity
수동적인 지위를 가진다.
Reading
글 읽기를 만든다.
읽기의 지위에 있다.
생산과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상업주의 속성을 가진다.
드라마 작가와 TV 시청률
고급과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모방성을 가진다.
생산이윤을 위한 달걀, 교환가치
소비와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상업주의 속성을 가진다.
마취효과
문명과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문명을 퇴화시킨다.
대중문화 속의 상업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4. 미국화 되는 대중문화
Americanization, ‘Being Americanized’
오늘날 삶의 방식은 미국화 되어가고 있다.
코카콜라
대중문화는 미국화를 경계해야 한다.
5. 거친 정신의 대중문화
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문화이다.
From Above
민중의 문화이다.
기성세대의 문화이다.
노동자 계급의 문화이다.
맑시즘의 대중문화
계급의 관점에서 대중문화를 바라본다.
고급문화에 대항한다.
고급과 저급, 중심과 주변
청소년 문화에 관심을 가진다.
자본주의의 미디어 폭력은 기성문화를 상업주의에 노출시켰다. 비교적 청소년 문화는 상업주의에서 자유롭다.
대중문화가 사라지면 계급도 사라진다.
미디어는 비판의식을 제거시킨다.
140110
6. 이데올로기의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문화와 별개가 아니며 오늘날 삶의 방식이다.
문화는 이데올로기이다.
이데올로기는 세상을 보는 창이다.
사각 창문에는 이데올로기가 개입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사물을 직접적으로 바라볼 수 없다.
언어가 부여된 ‘하늘’과 미디어의 개입
이데올로기에는 상업주의를 비롯한 불순물이 많기 때문에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여과해야 하며 건강한 이데올로기를 고양해야 한다.
후기 자본주의 질서에서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 이데올로기
우리 삶의 질서는 이데올로기이기 때문에 대중문화도 이데올로기이다.
국가 이데올로기(ISA, Ideology State Apparatuses)
강압적 통제 방식을 수행한다.
군대, 경찰
이데올로기적 통제 방식을 수행한다.
학교, 교회
미시 권력으로 변화되는 이데올로기
7. 상호작용(Hegemony)의 대중문화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동의에 의한 고도의 지적·도덕적 리더십이다.
완충지대의 문화이다.
위·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문화가 아니라 위·아래에서 상호작용하는 대중문화이다.
거친 정신의 대중문화는 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문화이다.
동의에 의한 리더십
혁명의 기운은 혁명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고도의 지적·도덕적 리더십이다.
Direct Attack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전략이다
저항성이 높으며 성공에 이르기 어렵다.
War In Position
Direct Attack의 전략을 수정하였다.
지적·도덕적 리더십으로 질서를 유지하는 전략이다.
저항성이 낮다.
대항상호작용(CounterHegemony)
Direct Attack을 피하며 지적·도덕적 리더십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한다.
140113, 〈 삶의 질서 〉
표층의 질서
중층의 질서
심층의 질서
표층의 질서
빠른 질서이며 표층사로서 사건 역사와 인물 역사를 알고 있어야 한다.
위험에 대한 빠른 대비를 할 수 있으나 삶의 질서에는 표층의 질서만 있는 것이 아니다.
중층의 질서
중간 질서이며 중층사로서 국면 속의 개변 역사를 알고 있어야 한다.
심층의 질서
느린 질서이며 구조 역사로서 삶의 구조를 알고 있어야 한다.
대중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표층의 질서, 중층의 질서, 심층의 질서를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는 빠른 질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중층의 질서와 심층의 질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면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삶의 판을 깨어져 버릴 것이다.
원자화된 개체로 결핍된 문화이다.
문화는 진정성(Authenticity)을 중요시한다.
문화는 삶과 진정성을 위해 유희되어서는 안된다.
From Above
위로부터 규정되는 대중문화
From Below
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대중문화
Interaction bet
위와 아래에서 상호 작용하는 대중문화
대중이 폭넓게 좋아하는 문화
비판
가치중립성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 제기의 여지를 주지 않는다.
고도의 전략, 가치 행위
문화는 이미 가치 행위임에도 가치의 중립을 외친다.
2. 고급의 타자(주변)로서의 문화
고급이 결정되고 잔여물로 남은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문화가 아니다.
From Above
노골적으로 대중문화를 폄하한다.
이중타자화
1차적 타자화는 A에 의한 B의 타자화로서 저항성이 점차 떨어진다.
검은 피부
2차적 타자화는 1차적 타자화의 다음 현상으로 A를 동경하며 주체를 상실한다. 즉 B에 의한 B의 타자화이다.
흰 마스크를 낀 검은 피부
바비인형을 예로 들 수 있다.
고급문화(High Arts)
Masculinity
남성성을 가진다.
남성이 생산의 축을 맡았기 때문이다.
Production
생산에 기반을 두었다.
Work
일을 통해 생산이 이루어진다.
Intellect
지성 중심의 문화이다.
Activity
능정적인 지위를 가진다.
Writing
글쓰기를 만든다.
쓰기의 지위에 있다.
대중문화는 고급문화의 모방을 지양해야 하며 진정성을 갖는 고급문화를 지향해야 한다.
대중문화의 미래
격이 있어야 한다.
혼을 다해야 한다.
대중문화의 삶이 치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장인정신과 팔만대장경 등이 있다.
품성을 가져야 한다.
물질적 소비는 상업적 의도에서 비롯된다.
3. 상업주의 문화
허버트 겐스(Herbert Gans)는 상업주의 문화에 대하여 4가지를 비판하였다.
대중문화(Mass Culture)
Femininity
여성성을 가진다.
생산의 축을 가지지 못한 대중문화는 고급문화가 될 수 없다.
Consumption
소비에 기반을 두었다.
대중문화는 생산의 지위를 가질 수 없다.
Leisure
여가를 통해 소비가 이루어진다.
Emotion
감성 중심의 문화이다.
Passivity
수동적인 지위를 가진다.
Reading
글 읽기를 만든다.
읽기의 지위에 있다.
생산과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상업주의 속성을 가진다.
드라마 작가와 TV 시청률
고급과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모방성을 가진다.
생산이윤을 위한 달걀, 교환가치
소비와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상업주의 속성을 가진다.
마취효과
문명과의 관계에서 대중문화는 문명을 퇴화시킨다.
대중문화 속의 상업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4. 미국화 되는 대중문화
Americanization, ‘Being Americanized’
오늘날 삶의 방식은 미국화 되어가고 있다.
코카콜라
대중문화는 미국화를 경계해야 한다.
5. 거친 정신의 대중문화
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문화이다.
From Above
민중의 문화이다.
기성세대의 문화이다.
노동자 계급의 문화이다.
맑시즘의 대중문화
계급의 관점에서 대중문화를 바라본다.
고급문화에 대항한다.
고급과 저급, 중심과 주변
청소년 문화에 관심을 가진다.
자본주의의 미디어 폭력은 기성문화를 상업주의에 노출시켰다. 비교적 청소년 문화는 상업주의에서 자유롭다.
대중문화가 사라지면 계급도 사라진다.
미디어는 비판의식을 제거시킨다.
140110
6. 이데올로기의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문화와 별개가 아니며 오늘날 삶의 방식이다.
문화는 이데올로기이다.
이데올로기는 세상을 보는 창이다.
사각 창문에는 이데올로기가 개입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사물을 직접적으로 바라볼 수 없다.
언어가 부여된 ‘하늘’과 미디어의 개입
이데올로기에는 상업주의를 비롯한 불순물이 많기 때문에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여과해야 하며 건강한 이데올로기를 고양해야 한다.
후기 자본주의 질서에서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 이데올로기
우리 삶의 질서는 이데올로기이기 때문에 대중문화도 이데올로기이다.
국가 이데올로기(ISA, Ideology State Apparatuses)
강압적 통제 방식을 수행한다.
군대, 경찰
이데올로기적 통제 방식을 수행한다.
학교, 교회
미시 권력으로 변화되는 이데올로기
7. 상호작용(Hegemony)의 대중문화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동의에 의한 고도의 지적·도덕적 리더십이다.
완충지대의 문화이다.
위·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문화가 아니라 위·아래에서 상호작용하는 대중문화이다.
거친 정신의 대중문화는 아래로부터 규정되는 문화이다.
동의에 의한 리더십
혁명의 기운은 혁명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고도의 지적·도덕적 리더십이다.
Direct Attack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전략이다
저항성이 높으며 성공에 이르기 어렵다.
War In Position
Direct Attack의 전략을 수정하였다.
지적·도덕적 리더십으로 질서를 유지하는 전략이다.
저항성이 낮다.
대항상호작용(CounterHegemony)
Direct Attack을 피하며 지적·도덕적 리더십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한다.
140113, 〈 삶의 질서 〉
표층의 질서
중층의 질서
심층의 질서
표층의 질서
빠른 질서이며 표층사로서 사건 역사와 인물 역사를 알고 있어야 한다.
위험에 대한 빠른 대비를 할 수 있으나 삶의 질서에는 표층의 질서만 있는 것이 아니다.
중층의 질서
중간 질서이며 중층사로서 국면 속의 개변 역사를 알고 있어야 한다.
심층의 질서
느린 질서이며 구조 역사로서 삶의 구조를 알고 있어야 한다.
대중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표층의 질서, 중층의 질서, 심층의 질서를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는 빠른 질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중층의 질서와 심층의 질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면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삶의 판을 깨어져 버릴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중문화론
대중문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대중문화론
대중문화론-비판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일본대중문화와 우리
대중문화에 따른 소비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강인규 - 기호학,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대중문화의 정의와 개념 및 나의 의견 분석
대중문화가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의 가치관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해 네 가지 이상...
K-POP을 포함한 한국의 대중문화와 한국문화에 대해 세계 청소년층에서 관심을 갖는 이유는 ...
대중문화속의 영화 (“왕의 남자”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