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배경이론
3.실험장치
4.실험방법
5.실험결과 및 분석
6.고찰및 감
2.배경이론
3.실험장치
4.실험방법
5.실험결과 및 분석
6.고찰및 감
본문내용
11=2.955 A 라는 것을 알수 있었다.
1/d2=(h2+k2+l2)/a2 의 식을 통해 a값을 구할수 있다.
(111)에서 d111=2.955A이며 h=k=l= 1 이다
값들을 식에 대입하여주면
a111=5.11A 라는 값을 얻을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값들도 구한다.
밀러지수
111
200
220
311
d
2.955
2.55
1.812
1.5462
a
5.11
5.12
5.12
5.12
계산 결과 다음과 같이 어느방향으로 회절을 시켜도 a값은 같다는 것을 알수 있다.
고찰 및 감상
x선 회절에 의해 나온 결과값은 물질의 고유한 값이라는 것에 기초한다.
이러한 고유한 값들을 실험을 통해 시료에 대한 회절형식과 회절 데이터들을 축적해 놓았고
미지의 시료를 이미 축적해 놓은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미지의 시료를 알수 있다.
x선 회절 데이터가 축적,정리된 것을 카드형식 (JCPDS 카드, ICDD 카드등) 혹은 서적으로 제공된다.
나는 카드를 가지고 있지않아서 카드를 통해 미지의 시료를 알수 없었지만 실험전에 이미 cubic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미지의 시료를 xrd를 통해 굉장히 간단한 방법으로 알아낼수 있다는 것에 굉장히 놀라웠다.
1/d2=(h2+k2+l2)/a2 의 식을 통해 a값을 구할수 있다.
(111)에서 d111=2.955A이며 h=k=l= 1 이다
값들을 식에 대입하여주면
a111=5.11A 라는 값을 얻을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값들도 구한다.
밀러지수
111
200
220
311
d
2.955
2.55
1.812
1.5462
a
5.11
5.12
5.12
5.12
계산 결과 다음과 같이 어느방향으로 회절을 시켜도 a값은 같다는 것을 알수 있다.
고찰 및 감상
x선 회절에 의해 나온 결과값은 물질의 고유한 값이라는 것에 기초한다.
이러한 고유한 값들을 실험을 통해 시료에 대한 회절형식과 회절 데이터들을 축적해 놓았고
미지의 시료를 이미 축적해 놓은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미지의 시료를 알수 있다.
x선 회절 데이터가 축적,정리된 것을 카드형식 (JCPDS 카드, ICDD 카드등) 혹은 서적으로 제공된다.
나는 카드를 가지고 있지않아서 카드를 통해 미지의 시료를 알수 없었지만 실험전에 이미 cubic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미지의 시료를 xrd를 통해 굉장히 간단한 방법으로 알아낼수 있다는 것에 굉장히 놀라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