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ism, 마오쩌뚱 사상, 덩샤오핑 이론의 비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Cism, 마오쩌뚱 사상, 덩샤오핑 이론의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M-Cism
2. 마오쩌뚱 사상
3. 덩샤오핑 이론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단행하여 중국경제를 크게 성장시켰다.-두산백과
은 마오쩌뚱 사상을 실사구시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덩샤오핑도 마르크스주의와 마찬가지로 실천에 의한 검증을 통해 진리로 밝혀진 이론만이 사회주의를 발전시키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에 마르크스와 덩샤오핑의 사상을 중국 현실에 맞게 재해석하고 검증함으로서 덩샤오핑 자신의 중국 사회주의 사상과 결부시켰다. 金永文 논문 덩샤오핑 政治思想에 관한 硏究. 한국국제정치학회 30권 2호
그렇게 하여 덩샤오핑의 기본 사상은 덩샤오핑의 실사구시에서 출발게 되었다. 그러나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상의 절대성과 신비성을 상대성과 기능성으로 격하시키기 위해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정통과 원칙을 강조하였고 그 근본을 이루는 과학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실시구시는 실천을 통한 검증과 검증된 진리의 실천이라는 과정을 통해 사회주의 현대화 방식과 그에 기초한 생산력을 자본주의적 방식에 접목시켰다. 이철승 논문 중국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나타난 진리관 문제 - 모택동과 등소평의 ' 실시구시 ' 론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2권 1호
한편 덩샤오핑은 사상의 해방을 강조하였는데, 공산당 내부의 좌경적 환경으로부터의 해방, 착오적 사상 때문에 빚어진 과거 중국의 부정적 환경에서 벗어나고 마오쩌뚱 개인의 우상화를 파괴하며, 덩샤오핑적 실사구시 즉, 생산력의 해방을 동시에 겨냥했다. 그렇기에 덩샤오핑은 과감한 실천을 통해 사상해방을 강조했고 기존의 마오쩌뚱식 사회주의의 이론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적으로 생산력의 문제를 사회 상부구조의 문제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상부구조의 모순을 해결키 위하여 계급투쟁에 호소했던 마오쩌뚱 노선에서 탈피하여 동기부여를 통한 생산력 향상을 모색해야 된다고 보았다. 생산력 향상을 위해서는 생산관계가 우선 조정되어야 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덩샤오핑의 사상은 당시 중국의 시대적 환경과 맞물려 개방이라는 것이 가미되면서 생산력을 속박하는 사회주의 경제체계를 개혁하여 생기와 활력이 충만한 중국식 사회주의 체계를 완성하는데 주안점을 두게 되었다.
다음으로 덩샤오핑 사상의 특이점은 계급투쟁에 따른 문제를 재해석하려 노력했다는 것이다. 마오쩌뚱 주의자들은 모순과 계급투쟁을 사회경제적 발전에 필수불가결한 동력으로서 강조하며, 탈 마오쩌뚱주의 이데올로기는 사회주의 단계이론이라는 진화론적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조화를 강조한다고 하였는데 덩샤오핑은 이를 부인하고 생산력을 계급투쟁에서 분리시켰다. 김영문 논문 등소평시대의 외교정책과 실사구시의 역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17권 2호
즉, 생산력은 계급투쟁에 따른 부산물이 아닌 경제법칙에 의거한다고 보았으며, 계급간의 투쟁이 아닌 협조를 통한 중국식 사회주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덩샤오핑의 사상은 오늘날 중국식 사회주의를 완성하는 기본 틀이 되었다.
Ⅲ. 결론
마르크스 사상과 마오쩌뚱, 덩샤오핑 사상을 비교해봄으로써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는 중국식 사회주의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았다. 즉, 마오쩌뚱, 덩샤오핑은 마르크스 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임으로서 중국식 사회주의를 발전시켰고, 이에 지속적인 경제발전에 성공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Ⅳ. 참고자료
마르크스 사상 자끄 엘륄 저 - 안성헌 역 - 대장간 2013.12.13
중국사회사상사 송영배(교수) 저 - 사회평론 - 2012.12.17
두산백과사전 두피디아 http://www.doopedia.co.kr/
김정식 학사논문「현대중국경제의 이해」조선대학교출판부, 2006
秦錫用 한국정치학회보 30권 1호
이병태 논문 『자본』 이전 마르크스의 사유와 물신 개념의 실험적 사용에 관한 고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이승재 논문 P. J. A. 포이어바흐의 법사상. 민주주의법학연구회 19권
林志弦 논문 마르크스의 후기사상과 유물사관 (單線論的 段階論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학회학보 126권
洪廣燁 논문 과학적 정치학에 의미를 가져다주는 정치사상의 前向的 조망. 한국정치학회보 30권 1호
조경란 논문 전환기의 역사 유물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권 2호
金永文 논문 덩샤오핑 政治思想에 관한 硏究. 한국국제정치학회 30권 2호
이철승 논문 중국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나타난 진리관 문제 - 모택동과 등소평의 ' 실시구시 ' 론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2권 1호
김영문 논문 등소평시대의 외교정책과 실사구시의 역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17권 2호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