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운동사 _ 여성노동자투쟁을 중심으로 (해방이후 여성 노동자운동, 70년대 여성노동자 투쟁, 80년대 이후 주류화된 여성운동 비판, 97년 이후 자본의 위기와 여성 전가 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여성운동사 _ 여성노동자투쟁을 중심으로 (해방이후 여성 노동자운동, 70년대 여성노동자 투쟁, 80년대 이후 주류화된 여성운동 비판, 97년 이후 자본의 위기와 여성 전가 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해방이후 여성 노동자운동
2-1. 1920~30년대, 일제 하 여성노동자들의 상황
2-2. 1920~30년대 여성노동자의 투쟁
2-3. 특성

3. 7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투쟁
3-1. 평가
3-2. 대표적인 7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투쟁 사례
3-3. 특징

4. 80년대 이후 주류화된 여성운동 비판
4-1. 여성운동의 흐름
4-2. 결과
4-3. 성과와 한계

5. 97년 이후 자본의 위기를 여성에게 전가하는 수많은 시도들
5-1.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유연화의 대상 1순위 여성
5-2. 자본의 여성에게로의 재생산 위기 전가

6. 나아가며

본문내용

성과 비정규직 특히 여성노동자에 대한 노골적인 차별을 실시
- 여성 노동자들은 이랜드-홈에버의 계산대 앞의 차가운 바닥에 앉아 점거농성을 함. 510일이라는 긴 시간동안 무차별적인 연행과 재정적 어려움도 많았지만 결국 해고자 복직이라는 승리를 거머쥠.
- 이랜드 투쟁은 2000대 들어 여성 노동자들이 함께 조직적으로 뭉쳐 싸워 이긴 투쟁이라는 점에서 아주 큰 의미를 지님.
기륭 투쟁
- 2010년 11월 1895일만에 복직투쟁 승리를 얻어낸 사업장
- 파견법과 계약직으로 인한 불안정 노동에 대해 강력한 파업투쟁으로 자본에게 대항함. 긴 시간동안 여성노동자들의 특유의 발랄함과 끈질김을 보여주었고, 여성투쟁사업장으로서 파견법 등 노동자들에게 해악을 끼치는 사안에 타격을 가한 의미가 큼.
5-2. 자본의 여성에게로의 재생산 위기 전가
- 국가에서 기본적인 복지(간병, 요양 등)를 담보할 수 없게 되면서, 이를 최종적으로 가족 - 즉 가족 내에서의 여성 - 에게로 전가. 이는 노무현 정부 당시 ‘사회서비스 확충 전략’이라는 이름으로 더욱 가속화되었음. 가족의 위기로부터 파생된 양육, 노인 돌봄 등의 문제를 ‘사회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사회에서 책임지게 하겠다는 것. 하지만 이는 결국 가족 내에서 여성이 수행하던 재생산 노동을 가족 밖에서 여성이 저임금/고강도/장시간 일자리를 통해 메꾸는 식이었음. 또한 아래에서 살펴볼 것처럼 해당 직종이 ‘여성적인 일’로 치부되고, 저평가되는 사회의 인식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었음.
- 뜨거웠던 청소노동자 투쟁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회에서 흔히 ‘여성’ 직종이라고 이야기되는 청소, 돌봄노동(노인요양, 간병, 보육, 장애인활동보조) 등과 같은 경우 여성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로 인식되면서 가치절하된다. 또한 가족 내에서 이러한 재생산 노동을 담당하던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할 수 있는 일 또한 ‘여성’ 직종 밖에 없기 때문에 이는 여성이 가족 내에서 수행하던 일을 가족 밖에서 수행한다는 차이점만을 가질 뿐 재생산 노동에 대한 가치평가는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임.
- 이러한 여성의 재생산노동에 대한 가치절하 속에서 여성은 저임금, 장시간, 고강도 노동을 지속할 수밖에 없게 됨.
- 이런 상황에서 최근 저출산 문제를 여성의 문제로 돌리는 것은 문제가 있음. 장시간, 고강도 노동을 지속하는 여성이 가족 내에서도 여전히 가사노동과 양육의 1차적 (그리고 전적인) 책임자가 되면서 여성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것임. 일과 가사의 양립이란 여성에게 불가능한 것. 즉, 저출산의 문제는 여성의 책임이 아님. 이런 맥락에서 2010년 초 프로라이프 의사회의 낙태 단속 강화는 저출산 문제를 여성의 책임으로 돌리는 효과를 낳았음. 우리는 이에 대해 비판하면서 낙태 단속 반대의 입장을 가져야 할 것.
6. 나아가며
앞서 봤던 것처럼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은 아주 오래전부터 힘 있게 때로는 전체 투쟁을 선도하며 온 측면이 있으나 이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진 것은 최근이다.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의 과제가 운동의 과제로 제출되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여성들의 권리가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자본은 스스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동유연화, 비정규직화라는 이름으로 여성을 가장 먼저 착취한다. 그리고 재생산의 위기 - 저출산·고령화 담론, 사회서비스 시장화 - 을 여성에게 전가하고 있다. 여기에 맞서 여성들의 권리를 찾기 위한 구체적인 투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연대해 온 낙태 단속 반대 투쟁, 청소/간병 노동자들의 투쟁, 여성비정규직의 투쟁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투쟁들 속에서 더욱 구체적인 여성들의 권리를 밝혀내도록 하자.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