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논의의 등장
2. 산업 클러스터이론의 전개
3. 산업 클러스터의 유형 및 발전단계
4. 클러스터 정책의 의의와 정책유형
5. 클러스터 이론과 혁신 클러스터 이론
2. 산업 클러스터이론의 전개
3. 산업 클러스터의 유형 및 발전단계
4. 클러스터 정책의 의의와 정책유형
5. 클러스터 이론과 혁신 클러스터 이론
본문내용
정체성 및
인식부족
클러스터의 파악 및홍보
클러스터 내 주체들에대한 지원
클러스터 내 기술혁신과 경쟁력에 장애가 되는 정부규제
정부규제에 관한 포럼 개최
정부규제 개정
조세제도 등 규제 개선
기업간 협력기회 부족
기업간 네트워크 장려
기업간 협력개발제품 구매
네트워크 프로그램 운영
컨소시엄으로부터 공동구매
전략적 지식에 접근이
어려운 중소기업 존재
클러스터중심의정보체제 구축
전략적 클러스터 이슈에 관한 대화 촉진
기술센터 설치
시장기회 탐구를 위한 플렛폼 구축
클러스터의
핵심요소 결핍
기업유치 및 육성
연구개발시설이나조직유치
클러스터에 대한 계획적투자유치
벤처창업지원
*자료: Patries Boekholt & Ben Thuriaux, 1999. 국토연구원(2001: 13) 재인용.
5. 클러스터 이론과 혁신 클러스터 이론
첨단기술산업의 발달은 무엇보다도 급격한 기술발달과 창의적인 혁신에 의존한다. 공간과 거리의 극복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인터넷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미국 벤처캐피탈의 68%가 실리콘밸리, 보스턴, 워싱턴, 뉴욕 등 8개의 집적지에 집중되어 있다(JVSVN, 1999). 이러한 사실은 공간적 집적(spatial clustering)이 단순한 투입비용이나 거래비용의 감소를 벗어나 혁신과 지식의 창출에 깊숙이 관련되어있다는 심증을 갖게 한다.
산업집적지(Industrial Agglomeration)란, 독립기업이나 지사, 공장 등과 같이 동종 또는 이종 업체들이 공간적으로 단순히 모여 있는 지역을 뜻한다. 우리나라의 대부분 산업단지는 바로 여기에 속한다. 한편, 독립기업 또는 주력기업을 중심으로 제품(또는 서비스) 생산업체, 부품공급업체, 지원서비스 제공업체, 협회, 연구소 및 대학교 등이 서로 물자, 인력, 정보 또는 기술을 교류함으로써 상호보완적 활동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려고 지리적으로 밀집되어 입지 해 있는 것을 산업 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라고 한다.
그렇다면 과거 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업단지와 산업 클러스터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대개 그 차이를 네트워킹이 되어 있고, 지식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는지 여부로 보고 있다. 네트워킹이 되어 있고, 지식 프로그램이 있다면 클러스터라고 해도 좋다. 그런데 클러스터의 개념이 우리말 용어로는‘집적지(集積地)’또는‘군집(群集)’정도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 용어는 지식이 흐르고 있고 네트워킹이 반드시 마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기에는 역부족이다.
산업 클러스터를 포함한 금융환경, 제도적 환경, 지식하부구조, 생산구조, 수요구조 등을 바탕으로 대학, 공공연구기관, 부설 연구소 및 정부 등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지역의 생산과정이나 새로운 기술과 지식의 창출도입활용교류확산 과정에서 상호작용하고 협력함으로써 혁신이 가능케 하는 집합적 시스템을 지역혁신체제라고 한다(국토연구원, 2001). 혁신클러스터는 바로 이러한 지역혁신체제에서 혁신활동이 극대화할 수 있는 경우를 지칭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림 3> 혁신클러스터의 개념도
인식부족
클러스터의 파악 및홍보
클러스터 내 주체들에대한 지원
클러스터 내 기술혁신과 경쟁력에 장애가 되는 정부규제
정부규제에 관한 포럼 개최
정부규제 개정
조세제도 등 규제 개선
기업간 협력기회 부족
기업간 네트워크 장려
기업간 협력개발제품 구매
네트워크 프로그램 운영
컨소시엄으로부터 공동구매
전략적 지식에 접근이
어려운 중소기업 존재
클러스터중심의정보체제 구축
전략적 클러스터 이슈에 관한 대화 촉진
기술센터 설치
시장기회 탐구를 위한 플렛폼 구축
클러스터의
핵심요소 결핍
기업유치 및 육성
연구개발시설이나조직유치
클러스터에 대한 계획적투자유치
벤처창업지원
*자료: Patries Boekholt & Ben Thuriaux, 1999. 국토연구원(2001: 13) 재인용.
5. 클러스터 이론과 혁신 클러스터 이론
첨단기술산업의 발달은 무엇보다도 급격한 기술발달과 창의적인 혁신에 의존한다. 공간과 거리의 극복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인터넷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미국 벤처캐피탈의 68%가 실리콘밸리, 보스턴, 워싱턴, 뉴욕 등 8개의 집적지에 집중되어 있다(JVSVN, 1999). 이러한 사실은 공간적 집적(spatial clustering)이 단순한 투입비용이나 거래비용의 감소를 벗어나 혁신과 지식의 창출에 깊숙이 관련되어있다는 심증을 갖게 한다.
산업집적지(Industrial Agglomeration)란, 독립기업이나 지사, 공장 등과 같이 동종 또는 이종 업체들이 공간적으로 단순히 모여 있는 지역을 뜻한다. 우리나라의 대부분 산업단지는 바로 여기에 속한다. 한편, 독립기업 또는 주력기업을 중심으로 제품(또는 서비스) 생산업체, 부품공급업체, 지원서비스 제공업체, 협회, 연구소 및 대학교 등이 서로 물자, 인력, 정보 또는 기술을 교류함으로써 상호보완적 활동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려고 지리적으로 밀집되어 입지 해 있는 것을 산업 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라고 한다.
그렇다면 과거 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업단지와 산업 클러스터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대개 그 차이를 네트워킹이 되어 있고, 지식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는지 여부로 보고 있다. 네트워킹이 되어 있고, 지식 프로그램이 있다면 클러스터라고 해도 좋다. 그런데 클러스터의 개념이 우리말 용어로는‘집적지(集積地)’또는‘군집(群集)’정도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 용어는 지식이 흐르고 있고 네트워킹이 반드시 마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기에는 역부족이다.
산업 클러스터를 포함한 금융환경, 제도적 환경, 지식하부구조, 생산구조, 수요구조 등을 바탕으로 대학, 공공연구기관, 부설 연구소 및 정부 등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지역의 생산과정이나 새로운 기술과 지식의 창출도입활용교류확산 과정에서 상호작용하고 협력함으로써 혁신이 가능케 하는 집합적 시스템을 지역혁신체제라고 한다(국토연구원, 2001). 혁신클러스터는 바로 이러한 지역혁신체제에서 혁신활동이 극대화할 수 있는 경우를 지칭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림 3> 혁신클러스터의 개념도
키워드
추천자료
삼성항공의 해외 직접투자 및 카메라사업의 기술혁신능력
[바이오산업][바이오기술][바이오테크][BIO][외국 바이오산업 사례][바이오]바이오산업의 정...
[경영] '신한은행'의 서비스 혁신사례 분석 ['A+레포트']
[산업기술정책, 산업기술정책 기본방향, 산업기술정책 추진계획, 지역화]산업기술정책의 기본...
[경제성장]경제성장의 논쟁, 경제성장과 금융환경, 경제성장과 금융마크업률, 경제성장과 투...
[정보통신기술(ICT)]정보통신기술(ICT)의 정의, 특징, 정보통신기술(ICT)의 혁신과 확산, 정...
동아시아의 지역정체성, 동아시아의 세계화, 동아시아의 신흥공업국, 동아시아의 기술혁신체...
[공기업][공사][소유지배구조][민영화][사유화][경영평가]공기업(공사) 소유지배구조, 공기업...
[전자산업][전자][산업][전자산업 역사][전자산업 성장과정][전자산업 전자상거래][삼성전자]...
[관광산업][관광][산업][강원도 관광산업][부산 관광산업][울산 관광산업][제주도 관광산업][...
언어습득 이론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의 주창자, 주장, 평가, 지도방법에 대해 ...
지역발전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과거와 현행 지역발전정책의 구체적인 차이점, 지방과학기술...
[외식산업의 특징] 외식산업의 특성 - 외식산업의 산업적인 특성 및 사업적인 특성, 외식산업...
[IBM 경영전략사례] IBM SWOT분석과 IBM 경영전략과 조직혁신사례분석및 나의의견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