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총독부 시대
0 근대적 육아사업의 효시 : 1855년 메스트로(불)신부의 고아구제사업
- 1880년 장블앙(불)이 한양에 양로원과 고아원 최초 개설
- 1921년 총독부가 제생원 설립 - 1939년 60개 시설 설치
0 1944년 조선총독부 구호령 제정
- 빈곤 임산부/13세이하 아동 대상 가택구호 규정 → 명목에 불과
0 민간차원의 운동 활발
- 천도교의 소년운동 : ‘어린이’라는 말 보급/어린이 날 제정
- 미 선교사가 설립한 태화사회관(1921) : 초기 교육사업 → 아동보건/사회사업
0 해방 전 감화원 설치 : 유기아동의 집단 수용시설(공립시설의 시초)
(2) 군정시대
0 일제강점기 법령이 있었으나 실제로 많은 제약
- 자선활동에 의한 사회사업 권장 → 수용/보호시설 증가
※ 시설보호 현황(시설수/아동수)
- 광복 당시 38개소/3천여명 → 1950년 215개소/24,000여명 → 1955년 496개소/53,592명
※ 외원기관 : 기독교아동복리회(C.C.F - 한국어린이재단/한국복지재단), 선명회 세계본부(월드비전), 양친회 등
0 1945년 수용시설 96개소 중 아동복지시설은 36개소 → 한국인 최초고아원설립(1946)
0 근대적 육아사업의 효시 : 1855년 메스트로(불)신부의 고아구제사업
- 1880년 장블앙(불)이 한양에 양로원과 고아원 최초 개설
- 1921년 총독부가 제생원 설립 - 1939년 60개 시설 설치
0 1944년 조선총독부 구호령 제정
- 빈곤 임산부/13세이하 아동 대상 가택구호 규정 → 명목에 불과
0 민간차원의 운동 활발
- 천도교의 소년운동 : ‘어린이’라는 말 보급/어린이 날 제정
- 미 선교사가 설립한 태화사회관(1921) : 초기 교육사업 → 아동보건/사회사업
0 해방 전 감화원 설치 : 유기아동의 집단 수용시설(공립시설의 시초)
(2) 군정시대
0 일제강점기 법령이 있었으나 실제로 많은 제약
- 자선활동에 의한 사회사업 권장 → 수용/보호시설 증가
※ 시설보호 현황(시설수/아동수)
- 광복 당시 38개소/3천여명 → 1950년 215개소/24,000여명 → 1955년 496개소/53,592명
※ 외원기관 : 기독교아동복리회(C.C.F - 한국어린이재단/한국복지재단), 선명회 세계본부(월드비전), 양친회 등
0 1945년 수용시설 96개소 중 아동복지시설은 36개소 → 한국인 최초고아원설립(1946)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아동복지의 변천과정
[아동복지]영유아보육법의 발달과정-제정 및 개정 취지를 중심으로
학대아동복지의 현황과 발전발향및 과제
아동복지의 개념과 발전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방안 및 전망
개별 아동복지 실천과정을 예를 적용하여 기술하시오
[국민의 정부 생산적 복지]국민 정부 생산적 복지(김대중정부 생산적 복지) 추진배경, 국민의...
아동양육시설보호에 대하여(아동복지시설의 평가와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등장배경부터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지역사회복...
아동복지와 권리에 대한 개념과 역사, 앞으로 아동복지와 아동권리가 발전해 나가야할 방향...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확장기의 발전의 배경 및 필요성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확장기의 발전과...
영국의 아동복지 발달과정(역사)
외국(스웨덴 일본)의 아동복지 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