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언어학]외국인과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차이 조사 - 근접학과 대물학 위주로(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근접학과 대물학의 개념과 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용언어학]외국인과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차이 조사 - 근접학과 대물학 위주로(이문화 커뮤니케이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근접학과 대물학의 개념과 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3.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4. 근접학이란?
- 근접학의 예

5. 대물학이란?
- 대물학의 예

본문내용

적 물건과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 대물학의 예
(ㄱ) 한국의 경우 장례식에 모자를 쓰는 행동은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된다. 한국에서 모자는 격식을 차리는 장소에서 이용되지 않는다. 결혼식이나 장례식, 수업발표 등 그 예이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 장례식에서 모자를 쓰고 가는 경우가 많다. 여자의 경우는 모자와 면사포를 이용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처럼 모자를 쓰는 것은 한국과 외국간의 비언어적 행동에서 차이를 보인다.
(ㄴ) 한국과 외국은 술에 대한 문화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경우, 윗사람과 술을 마실 때 고개를 돌리는 행동은 윗사람에 대한 공경을 표한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고개를 돌리는 행동은 보이지 않는다. 또, 한국에서는 술을 받을 때 두 손으로 받거나 한 손은 술잔을 잡고, 한 손은 배를 감싸는 모양을 한다. 이는 술을 주는 상대방에 대한 공경표현이라 볼 수 있으나, 외국에선 볼 수 없는 행동이다. 이처럼 한국과 외국에서 술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 한국은 경의를 표현할 수 있는 물건으로 보고 외국에서는 그냥 술 그 자체로 본다.
(ㄷ) 한국과 외국은 청바지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경우, 청바지는 일반적으로 입을 수는 있으나, 격식을 차리는 곳에서는 입는 것을 자제한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는 청바지는 격식의 표현이라기보다 옷 그 자체로 본다.
6. 결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올바른 사용은 세계화와 국제화 시대에 외국인과의 만남에서 더욱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므로, 올바르게 숙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