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존의 읽기 포트폴리오의 문제점
2. 읽기 포트폴리오 틀
3. 읽기 포트폴리오 틀의 특성
1) 일상적인 언어 작품으로서 읽기 포트폴리오
2) 정보 자원으로서 읽기 포트폴리오
3) 질적인 읽기 포트폴리오
2. 읽기 포트폴리오 틀
3. 읽기 포트폴리오 틀의 특성
1) 일상적인 언어 작품으로서 읽기 포트폴리오
2) 정보 자원으로서 읽기 포트폴리오
3) 질적인 읽기 포트폴리오
본문내용
으로 읽고 있는가’에 관심이 많다. ‘어떻게 개성적으로’ 읽고 있는지 과정에 그 초점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질적인 읽기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텍스트에 제시된 정보를 찾거나 요약하거나 비판하거나 평가하는 것과 같은 읽기 과정에 초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메타적인 읽기 과정에도 초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읽기 포트폴리오 형태로 쓴 텍스트를 다시 읽는다고 가정해 보자. 학습자는 다시 읽으면서 그 텍스트에 쓴 자신의 글을 읽으면서, 인지적 차원에서 ‘내가 이렇게 무식하게 해석했나’라고 스스로 반성할 수도 있으며, 정의적 차원에서 ‘지금 다시 읽어 보니, 그 때 재미있는 발상을 많이 했구나’라고 스스로 그 때의 감정과 정서를 반추해 보기도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읽기는 처음 읽을 때와 다시 읽을 때의 생각과 느낌을 비교·확인하는 장(場)이 없어, 처음 읽을 때의 생각과 느낌에 대한 자기 반성적 사고를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자기 점검 및 조정에 대한 활동을 강조(천경록·이재승, 1997:47-52)하면서도 정작 그 성과물을 담보해 내지 못하는 것은 학습자 스스로가 실제 텍스트를 읽어 나가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확인할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질적 인식 능력은 이와 같은 메타적인 질적 읽기로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은 지금까지의 평가 방법들이 지나치게 양(量)에 대한 평가로 일관되어 학습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고 지적하면서 질(質)에 대한 평가로의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질(質)에 의한 평가는 흔히 ‘전인격(全人格) 평가’라고 불리는 ‘총평관(assessment)’(황정규, 1984:66-69)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총평관은 개인 학습자와 읽기 수업 환경의 상호 작용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평가관이 취하고 있는 분석 방법은 개인이 달성해야 할 어떤 준거의 분석과 이 개인이 생활하고, 학습하고, 작업해야 할 환경의 분석에서 출발한다. 그런 다음 이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학습해야 할 개인에 관한 증거, 예컨대, 취약점과 강점, 요구, 인성 특성, 능력 등을 결정하게 된다. <부록 자료>에 제시된 읽기 포트폴리오는 개인 학습자와 읽기 수업 환경의 상호 작용의 모습, 즉 총평관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그리고 이들 자료는 학습자가 지닌 읽기 능력의 정도를 분석하게 해 주고, 학습자가 행하는 읽기 과정에서 교사가 지도해야 할 교육적인 처치를 결정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이 읽기 포트폴리오는 ‘참여-반응 중심 평가 모형(participant-responsive model)’에 속하는 데, 이 모형은 질적인 읽기의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다. 이 모형은 자연주의적 방법을 선호하여, 평가 관련자들이 평가 연구에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반응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그리고 이 모형은 귀납적 추론 방식에 따르며, 평가 자료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특정한 표준적 계획에 구속받지 않고, 단일의 실재보다 복합적인 실재를 중시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거시적 특징은, 질적인 읽기에서 말한 ‘있는 그대로’의 모습과 인위적인 개념의 최소화, 개성적으로 다양하게 읽고 있는 모습과 같은 미시적 특징과 연결 고리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포트폴리오를 통한 질적인 읽기는 학습의 실제 상황에서 학습자의 수행(performance)을 중시하기 때문에, 교수 학습의 질을 중시한 평가 방법(천경록·이재승, 1997:133)이며 ‘실제적인(authentic)’ 평가 또는 ‘수행(performance)’ 평가에 탄력적이며 가장 적합한 수행 평가의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질적인 읽기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텍스트에 제시된 정보를 찾거나 요약하거나 비판하거나 평가하는 것과 같은 읽기 과정에 초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메타적인 읽기 과정에도 초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읽기 포트폴리오 형태로 쓴 텍스트를 다시 읽는다고 가정해 보자. 학습자는 다시 읽으면서 그 텍스트에 쓴 자신의 글을 읽으면서, 인지적 차원에서 ‘내가 이렇게 무식하게 해석했나’라고 스스로 반성할 수도 있으며, 정의적 차원에서 ‘지금 다시 읽어 보니, 그 때 재미있는 발상을 많이 했구나’라고 스스로 그 때의 감정과 정서를 반추해 보기도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읽기는 처음 읽을 때와 다시 읽을 때의 생각과 느낌을 비교·확인하는 장(場)이 없어, 처음 읽을 때의 생각과 느낌에 대한 자기 반성적 사고를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자기 점검 및 조정에 대한 활동을 강조(천경록·이재승, 1997:47-52)하면서도 정작 그 성과물을 담보해 내지 못하는 것은 학습자 스스로가 실제 텍스트를 읽어 나가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확인할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질적 인식 능력은 이와 같은 메타적인 질적 읽기로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은 지금까지의 평가 방법들이 지나치게 양(量)에 대한 평가로 일관되어 학습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고 지적하면서 질(質)에 대한 평가로의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질(質)에 의한 평가는 흔히 ‘전인격(全人格) 평가’라고 불리는 ‘총평관(assessment)’(황정규, 1984:66-69)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총평관은 개인 학습자와 읽기 수업 환경의 상호 작용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평가관이 취하고 있는 분석 방법은 개인이 달성해야 할 어떤 준거의 분석과 이 개인이 생활하고, 학습하고, 작업해야 할 환경의 분석에서 출발한다. 그런 다음 이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학습해야 할 개인에 관한 증거, 예컨대, 취약점과 강점, 요구, 인성 특성, 능력 등을 결정하게 된다. <부록 자료>에 제시된 읽기 포트폴리오는 개인 학습자와 읽기 수업 환경의 상호 작용의 모습, 즉 총평관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그리고 이들 자료는 학습자가 지닌 읽기 능력의 정도를 분석하게 해 주고, 학습자가 행하는 읽기 과정에서 교사가 지도해야 할 교육적인 처치를 결정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이 읽기 포트폴리오는 ‘참여-반응 중심 평가 모형(participant-responsive model)’에 속하는 데, 이 모형은 질적인 읽기의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다. 이 모형은 자연주의적 방법을 선호하여, 평가 관련자들이 평가 연구에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반응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그리고 이 모형은 귀납적 추론 방식에 따르며, 평가 자료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특정한 표준적 계획에 구속받지 않고, 단일의 실재보다 복합적인 실재를 중시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거시적 특징은, 질적인 읽기에서 말한 ‘있는 그대로’의 모습과 인위적인 개념의 최소화, 개성적으로 다양하게 읽고 있는 모습과 같은 미시적 특징과 연결 고리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포트폴리오를 통한 질적인 읽기는 학습의 실제 상황에서 학습자의 수행(performance)을 중시하기 때문에, 교수 학습의 질을 중시한 평가 방법(천경록·이재승, 1997:133)이며 ‘실제적인(authentic)’ 평가 또는 ‘수행(performance)’ 평가에 탄력적이며 가장 적합한 수행 평가의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21세기문화컨텐츠읽기] 4주차 학습내용
읽기. 1학년 1학기 첫째마당 - 배우는 우리 [음절, 어절, 모음, 자음이란][기본음절표][받침...
[세상읽기와논술E형 2학년]직장이나 가정 또는 사회생활에서 경험한 부조리 또는 모순이 있다...
[세상읽기와 논술 A] 원자력발전소 증설과 관련한 찬반 논쟁을 조사하여 정리한 후 자신의 의...
세상읽기와논술) 1. 금수저, 흙수저로 표징되는 한국 사회의 부의 대물림 또는 사회적 양극화...
[세상읽기와논술 B형] 사드배치와 동북아 평화
[세상읽기와 논술 C형] 한국 사회에서 고쳐야 할 사회적 부조리 또는 관습 - 여성 소득 불평등
[세상읽기와 논술-C형] 한국 사회에서 고쳐야 할 사회적 부조리 또는 관습 - 여성근로자의 임...
2018년 1학기 세상읽기와논술 중간시험과제물 B형(양성평등 문제)
세상읽기와 논술 E형 내가 생각하는 청년실업 문제와 해결방안
세상읽기와 논술 D형 한국 사회 이념갈등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