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어휘> 강원도 지역에 따른 어휘 차이, 어휘의 의미 분화, 강원도 사투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원도 어휘> 강원도 지역에 따른 어휘 차이, 어휘의 의미 분화, 강원도 사투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강원도 지역에 따른 어휘 차이

2. 강원도 어휘
2-1. 고어형을 간직한 어휘
2-2. 의미 분화와 결합 양상을 보이는 어휘
2-3. 재미있는 어휘
2-4. 특정 지방에서만 쓰이는 어휘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나 ‘까끄라기 벼, 보리 따위의 낟알 껍질에 붙은 깔끄러운 수염.
’를 가리키는 ‘까오치’, ‘새총’을 가리키는 ‘느르배기’ 등도 마찬가지이다.
‘버마재비 사마귀목 사마귀과의 곤충으로, 오줌싸개라고도 한다.
’를 가리키는 강원도 방언은 ‘오줌찍개/오줌싸개/사마구’ 등이 대표적인데, ‘어응가시’라는 특이한 형태가 홍천군의 두 면에 나타나고 있다. 영월군 일부에서는 ‘황개미’라는 특이한 형태가 나타난다. 홍천군에서만 분포되는 방언형으로는 ‘도깨비바늘’을 가리키는 ‘가막사리’와 겨울에 얼음 위에서 아이들이 타는 썰매를 가리키는 ‘발구’도 있다.
한편 삼척에서만 사용되는 ‘아부라’라는 어휘도 있다. ‘아부라’는 먹는 것에 한정되는 어휘로, 어른에게는 절대 사용할 수 없으며 친구나 아랫사람에게만 통용된다. 좀 부족한 듯이 느껴질 때 예의상 쓰는데 그 의미는 대체로 ‘아울러, 함께’에 해당한다.
이처럼 좁은 분포를 가지는 방언형들은 대개 다른 지역과 공유하는 것이 아닌, 강원도 내에서만 존재하는 것들이기 쉽다. 강원도 방언의 특성으로 내세우기에는 그 분포가 너무 좁지만 이들이 강원도 방언을 특징짓는 요소들임에는 틀림없다.
참고문헌
국어방언학, 이상규, 학연사, 2003
강원도 영동남부지방방언, 이경진, 예문사, 2004
강릉방언사전, 박성종, 진혜숙, 태학사, 2009
국어사와 방언2 : 방언연구, 전광현, 월인, 2003
한국어사회방언과 지역 방언의 이해, 이주행, 한국문화사, 2005
강원도 영동지역의 방언, 박성종, 제이앤씨, 2008.
강원도 방언의 특징과 그 연구, 이익섭, 국어연구소, 1987.
  • 가격무료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9.25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9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