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내외 정세
가. 국외 정세
나. 백제의 국력신장과 후방지역 안정
2. 고구려와의 전쟁
가. 고구려의 선제공격 격퇴와 공격기반 조성
나. 백제군의 평양성 공격
3. 결론 – 근초고왕, 근구수왕의 업적과 한계 & 전략적 평가
4. 부록 & 참고자료
가. 국외 정세
나. 백제의 국력신장과 후방지역 안정
2. 고구려와의 전쟁
가. 고구려의 선제공격 격퇴와 공격기반 조성
나. 백제군의 평양성 공격
3. 결론 – 근초고왕, 근구수왕의 업적과 한계 & 전략적 평가
4. 부록 & 참고자료
본문내용
1. 국내외 정세(2/6)
나. 백제의 국력신장과 후방지역 안정
4세기 중반에 즉위한 근초고왕
왕위 형제상속제를 부자상속제로 바꿈
백제의 발전을 위해 고구려의 위기상황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려 함
영토확장을 위해선 중앙집권체제 완비 필요 → 진씨 가문과 제휴
- 사법기관의 1품 장관인 조정좌평 직책에 진정을 임명
- 진씨 집안의 여성을 왕비로 맞음
왕권 강화정책을 펼 수 있는
정치적 후원세력 확보
백제의 대외활동 시작
- 366년 3월에 기록상 처음으로 신라에 사신을 파견
- 368년 신라에 대해 준마 2필을 보낸 것은 양국간 군사적 제휴가
성사됨을 의미
왜 백제의 첫 선택은 신라였는가?
- 신라는 미약하긴 하지만 삼한과 가야보다 강국 & 백제의 측후방
→ 백제의 대(對) 고구려 전략에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
- 유사시 신라와의 대(對) 고구려 공동전선 형성 가능
☆신라가 백제의 화친요청에 응한 이유 : 백제와 마찬가지로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을 직감
나. 백제의 국력신장과 후방지역 안정
4세기 중반에 즉위한 근초고왕
왕위 형제상속제를 부자상속제로 바꿈
백제의 발전을 위해 고구려의 위기상황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려 함
영토확장을 위해선 중앙집권체제 완비 필요 → 진씨 가문과 제휴
- 사법기관의 1품 장관인 조정좌평 직책에 진정을 임명
- 진씨 집안의 여성을 왕비로 맞음
왕권 강화정책을 펼 수 있는
정치적 후원세력 확보
백제의 대외활동 시작
- 366년 3월에 기록상 처음으로 신라에 사신을 파견
- 368년 신라에 대해 준마 2필을 보낸 것은 양국간 군사적 제휴가
성사됨을 의미
왜 백제의 첫 선택은 신라였는가?
- 신라는 미약하긴 하지만 삼한과 가야보다 강국 & 백제의 측후방
→ 백제의 대(對) 고구려 전략에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
- 유사시 신라와의 대(對) 고구려 공동전선 형성 가능
☆신라가 백제의 화친요청에 응한 이유 : 백제와 마찬가지로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을 직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