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Ⅱ.본 론
1.문헌고찰
1) 난청
2) 돌발성 난청
2. 사례연구
Ⅲ.결 론
Ⅳ.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Ⅱ.본 론
1.문헌고찰
1) 난청
2) 돌발성 난청
2. 사례연구
Ⅲ.결 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상담이나 정신과적 조언이 필요할 수 있으며 그 후로도 시간간격을 두고 계속해서 청력상태를 관찰한다. 각종사고에노출될위험이크므로특별한주의가필요하다. 경우에 따라CROS(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 보청기가 도움이 될 수있다. 양측성으로 발병하여 회복되지 않는 경우 보청기를 통한 청각재활이 필요하며 보청기로도 도움을 받지 못하거나 문장이해검사결과가 불량하면 와우이식술의 대상자가 될 수 있다.
Ⅳ.참고문헌
-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외(2008)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
- 최명애, 김주현, 박미정, 최스미, 이경숙 (2002) 생리학 개정판 현문사.
- Susan wilson, Jeamgiddens (2013) 건강사정 현문사.
- 전경명. (1995) 돌발성 난청의 실제. 부산:정명당, p27
- 신사옥.(2007) 돌발성 난청의 특정과 치료적접근방법 이비인후과학 서울 심포지움 13권, p.108-117
- http://lady.khan.co.kr
- http://www.starkeyn.com/
- http://user.chol.com/~pain7575/meni0.htm
- http://www.healthkorea.net
-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
- Wilson WR, Veltri RW, Laird N, et a1. Viral and epidemiologic studies of idiopathic sudden hearing lo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391:653-658
- Arts HA. Different diagnosis of sensory neural hearingloss‘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et al,eds. Otolaryngology: Head Neck Surgely, 3rd ed. St Louis: Mosby Year Book, 1999, p.2928
- Belal A. pathology of vascu1ae sensorineural hearing im pairment. Laryngoscope 1980;90: 1831-1839
- Fisch U. Management of sudden deafne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391 :3-8
- Yoon TH, Paparella MM, Schachern PA, et al. Histopathol。gy of sudden hearing loss. Laryngoscope 1990;100:707-715
- 부록 -
어지러움증 환자를 위한 재활운동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
전정 재활 운동의 목적은 환자의 평형능력을 증대시켜 증세를 호전시키고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성을 회복시켜 보행이나 운동중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입니다. 운동 초기에 증세가 일시적으로 심하게 느낄 수 있으며, 심한 증세가 장시간 계속될 때에는 병원으로 문의해 주십시오.
운동은 1회에 20-30분 정도를 하루 2-3번 연습하고, 초기에는 약하게(속도를 천천히, 횟수를 적게) 연습하고 증세가 호전됨에 따라 강도를 높여주십시오. 어지러움이 느껴질 정도로 연습해야하고, 특히 어지러운 동작을 더 많이 반복하십시오.
1. 눈 운동
1)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인다.
2) 눈동자를 상하로 움직인다.
3) 눈동자를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15-20회 정도 반복하고, 처음에는 느리게, 증세가 호전됨에 따라 점점 빠르게 한다.
2. 머리 운동
1) 머리를 좌우로 움직인다.
2)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뒤로 젖힌다.
3) 머리를 45도 우측으로 돌린 상태에서 머리를 상하로 움직인다.
4) 머리를 45도 좌측으로 돌린 상태에서 머리를 상하로 움직인다.
15-20회 정도 반복하고, 처음에는 느리게, 증세가 호전됨에 따라 점점 빠르게, 나중에는 눈을 감고 시행한다. 눈을 감고 할때는 앞의 목표물을 보고 있다고 상상하면서 연습한다.
3. 목표물을 보면서 하는 운동
1) 명함이나 굵은 글자가 적힌 종이를 벽에 붙힌다.
이 목표물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
이때 목표물이 흔들려 보이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가능한 빠르게 1-2분 계속 시행한다.
같은 방법으로 위 아래 방향으로도 시행한다.
2) 목표물을 환자의 눈앞에서 좌우로 움직인다.
명함의 글자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목표물과 머리를 좌우로 엇갈리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목표물이 흔들려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능한 빨리 1-2분 실시한다.
같은 방법으로 위아래 방향으로도 실시한다.
[1),2) 의 방법을 처음에는 앉아서 시행하고, 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일어선 상태에서 할 경우 처음에는 보폭을 넓게 하고, 호전될 수록 보폭을 좁게 서서 연습한다.]
3) 두 목표물간의 눈-머리 따라가기 운동
수편의 위치에 두 개의 목표물을 정하고, 먼저 한 목표(왼쪽)를 주시한 다음 그대로 시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목표로 향하게 한다.(왼쪽으로 돌린다.)
그리고 또 다른 목표(오른쪽)로 눈을 돌린 후 머리를 따라 돌린다. (오른쪽으로)
이때 머리를 움직이는 동안 목표물에서 눈을 떼지 않아야 한다.
4) 상상 목표 운동
정면의 목표를 주시한다. 주시하던 목표물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눈을 감고 고개를 조금씩 우측으로 돌린다. 눈을 뜨고 실제로 목표물에 시선이 향해 있는지 확인한다.
좌측으로도 연습한다.
4. 걷기 운동
1) 눈을 뜬 상태에서 앞을 보면서 걷는다.
2)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걷는다.(목표물을 보지 않고, 목표물을 보면서)
3) 머리를 상하고 움직이며 걷는다.(목표물을 보지 않고, 목표물을 보면서)
4) 눈을 감고 걷는다.
5) 눈을 감고 머리를 좌우로 돌리며 걷는다.
6) 눈을 감고 머리를 상하로 움직이며 걷는다.
7) 위의 걷기 운동을 푹신한 이불 위에서 연습한다.
8) 경사면을 오르내린다. 처음에는 눈을 뜨고, 나중엔 눈을 감고 한다.
9) 계단을 오르내린다. 처음에는 눈을 뜨고, 나중엔 눈을 감고 한다.
경북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학 교실
Ⅳ.참고문헌
-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외(2008)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
- 최명애, 김주현, 박미정, 최스미, 이경숙 (2002) 생리학 개정판 현문사.
- Susan wilson, Jeamgiddens (2013) 건강사정 현문사.
- 전경명. (1995) 돌발성 난청의 실제. 부산:정명당, p27
- 신사옥.(2007) 돌발성 난청의 특정과 치료적접근방법 이비인후과학 서울 심포지움 13권, p.108-117
- http://lady.khan.co.kr
- http://www.starkeyn.com/
- http://user.chol.com/~pain7575/meni0.htm
- http://www.healthkorea.net
-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
- Wilson WR, Veltri RW, Laird N, et a1. Viral and epidemiologic studies of idiopathic sudden hearing lo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391:653-658
- Arts HA. Different diagnosis of sensory neural hearingloss‘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et al,eds. Otolaryngology: Head Neck Surgely, 3rd ed. St Louis: Mosby Year Book, 1999, p.2928
- Belal A. pathology of vascu1ae sensorineural hearing im pairment. Laryngoscope 1980;90: 1831-1839
- Fisch U. Management of sudden deafne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391 :3-8
- Yoon TH, Paparella MM, Schachern PA, et al. Histopathol。gy of sudden hearing loss. Laryngoscope 1990;100:707-715
- 부록 -
어지러움증 환자를 위한 재활운동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
전정 재활 운동의 목적은 환자의 평형능력을 증대시켜 증세를 호전시키고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성을 회복시켜 보행이나 운동중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입니다. 운동 초기에 증세가 일시적으로 심하게 느낄 수 있으며, 심한 증세가 장시간 계속될 때에는 병원으로 문의해 주십시오.
운동은 1회에 20-30분 정도를 하루 2-3번 연습하고, 초기에는 약하게(속도를 천천히, 횟수를 적게) 연습하고 증세가 호전됨에 따라 강도를 높여주십시오. 어지러움이 느껴질 정도로 연습해야하고, 특히 어지러운 동작을 더 많이 반복하십시오.
1. 눈 운동
1)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인다.
2) 눈동자를 상하로 움직인다.
3) 눈동자를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15-20회 정도 반복하고, 처음에는 느리게, 증세가 호전됨에 따라 점점 빠르게 한다.
2. 머리 운동
1) 머리를 좌우로 움직인다.
2)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뒤로 젖힌다.
3) 머리를 45도 우측으로 돌린 상태에서 머리를 상하로 움직인다.
4) 머리를 45도 좌측으로 돌린 상태에서 머리를 상하로 움직인다.
15-20회 정도 반복하고, 처음에는 느리게, 증세가 호전됨에 따라 점점 빠르게, 나중에는 눈을 감고 시행한다. 눈을 감고 할때는 앞의 목표물을 보고 있다고 상상하면서 연습한다.
3. 목표물을 보면서 하는 운동
1) 명함이나 굵은 글자가 적힌 종이를 벽에 붙힌다.
이 목표물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
이때 목표물이 흔들려 보이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가능한 빠르게 1-2분 계속 시행한다.
같은 방법으로 위 아래 방향으로도 시행한다.
2) 목표물을 환자의 눈앞에서 좌우로 움직인다.
명함의 글자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목표물과 머리를 좌우로 엇갈리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목표물이 흔들려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능한 빨리 1-2분 실시한다.
같은 방법으로 위아래 방향으로도 실시한다.
[1),2) 의 방법을 처음에는 앉아서 시행하고, 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일어선 상태에서 할 경우 처음에는 보폭을 넓게 하고, 호전될 수록 보폭을 좁게 서서 연습한다.]
3) 두 목표물간의 눈-머리 따라가기 운동
수편의 위치에 두 개의 목표물을 정하고, 먼저 한 목표(왼쪽)를 주시한 다음 그대로 시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목표로 향하게 한다.(왼쪽으로 돌린다.)
그리고 또 다른 목표(오른쪽)로 눈을 돌린 후 머리를 따라 돌린다. (오른쪽으로)
이때 머리를 움직이는 동안 목표물에서 눈을 떼지 않아야 한다.
4) 상상 목표 운동
정면의 목표를 주시한다. 주시하던 목표물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눈을 감고 고개를 조금씩 우측으로 돌린다. 눈을 뜨고 실제로 목표물에 시선이 향해 있는지 확인한다.
좌측으로도 연습한다.
4. 걷기 운동
1) 눈을 뜬 상태에서 앞을 보면서 걷는다.
2)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걷는다.(목표물을 보지 않고, 목표물을 보면서)
3) 머리를 상하고 움직이며 걷는다.(목표물을 보지 않고, 목표물을 보면서)
4) 눈을 감고 걷는다.
5) 눈을 감고 머리를 좌우로 돌리며 걷는다.
6) 눈을 감고 머리를 상하로 움직이며 걷는다.
7) 위의 걷기 운동을 푹신한 이불 위에서 연습한다.
8) 경사면을 오르내린다. 처음에는 눈을 뜨고, 나중엔 눈을 감고 한다.
9) 계단을 오르내린다. 처음에는 눈을 뜨고, 나중엔 눈을 감고 한다.
경북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학 교실
추천자료
지주막하출혈 성인간호학 SA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만성신부전증 CRF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hemiparesis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학] 외과적수술과 회장루술을 시행한 김씨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사정 - 장루 사정 ...
[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적용사례 - 내과컨퍼런스 CAD와 HTN.ppt
A++자료!!성인간호학 폐암(lung ca.)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 내과 _ 결핵성 흉막염 case study
간호학 4학년 1학기 성인간호학 레포트
방통대 간호학과 성인간호학=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방통대 성인간호학] 암환자 영양평가 장루환자 퇴원 간호신체 계측
K대학교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간호 실습 케이스 성인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