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시대 주택의 특징
- 신분제도와 규모, 장식의 제한
- 송유억불정책
- 음양오행설과 풍수지리설
2. 계층별 특징
① 서민주택(지역별분류)
② 중류주택
③ 상류주택(한옥의 구조적 분류)
④ 내외법
3. 화장실
4. 부엌
5. 소쇄원
- 신분제도와 규모, 장식의 제한
- 송유억불정책
- 음양오행설과 풍수지리설
2. 계층별 특징
① 서민주택(지역별분류)
② 중류주택
③ 상류주택(한옥의 구조적 분류)
④ 내외법
3. 화장실
4. 부엌
5. 소쇄원
본문내용
담을 치기까지 하였다.
3. 화장실
생리위생공간은 배설행위와 세수
와 목욕을 행하는 공간이다. 배설
행위를 위해서는 측간을 만드는데
가난한 서민들은 한간의 측간을
남녀 공동으로 이용하지만 일반적
으로는 남자들만이 사용하는 외측
과 여자들만이 이용하는 내측을
행랑채와 안채 주변에 따로 짓는다. 그러나 야간에는 물론 때로 주간에도 안방 옆의 골방이나, 사랑채의 침방에 요강을 비치하고 여기에 소변을 본다. 세수간이나 목욕간은 따로 짓지 않는데, 일반적으로 안사람들은 부엌 앞마당이 세수간이 되고 주인은 사랑채 앞 기단에 세숫대야를 놓고 세수한다. 한편 안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부엌이나 광에서, 또 방에서도 큰 그릇에 더운물을 담아 목욕하거나 부엌 뒷마당에 굴뚝을 의지하여 헛간처럼 벽을 둘러치고 목욕을 하였다고 한다. 남자들은 개천에서 목욕을 하였고, 주인의 경우에는 방이나 광과 같은 공간에서 큰 그릇에 물을 담아 몸을 씻었다.
4. 부 엌
한국의 전통가옥에서의 부엌은
음식을 조리하고 저장하기도 하
며, 난방을 하는 공간을 말한다.
난방은 어김없이 온돌로 하였기
때문에 어떤 형태의 가옥이라고
하더라도 부엌은 안방과 붙여서
짓고 취사와 난방을 겸하도록 했다. 이러한 구조는 안방에 거주하는 안주인이 부엌으로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임에 틀림없다. 부엌은 흙바닥에 부뚜막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솥이 대,중,소로 설치되어 기본적인 밥과 국이 주리 되었다. 난방을 하지 않는 여름에는 부엌 밖에 화덕을 놓고 사용하였으며 부엌문 안쪽에 저장물통인 물수덕을 놓고 식수로 사용하였으며 배수는 안마당에 설치된 하수구를 이용하였다. 식품의 저장을 위해 채광과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장독대를 두었고, 광 곳간 고방 찬간 등이 설치되었으며, 호남지방에는 젓갈을 담아서 보관하는 젓곳간이라는 특수공간도 있었다. 가족의 식사는 장유유서 및 내외사상에 따라 가장 연장자인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하였고 남녀가 따로 하였으며, 시아버지는 사랑채에서 독상을 받았다. 이렇게 한 가정에서 따로따로 식사를 하기 때문에 작고 가벼운 좌식 식탁인 소반이 발달 하였다.
취사작업은 부엌을 중심으로 한 취사공간에서 이루어지지만 바느질과 빨래 등의 여성의 가사노동은 안채의 부엌 주변의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일반 서민은 안방과 건넌방에서 바느질을 하고 빨래는 우물가나 시냇물에서 이루어진다.
5. 소쇄원
소쇄원은 자연과 인공을 조
화시킨, 우리나라 선비의 고
고한 품성과 절의가 엿보이
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조선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정원
이다. 양산보(1503∼1557)는
은사인 정암 조광조(1482∼1
519)가 기묘사화로 능주로
유배되어 세상을 떠나게 되자
출세에의 뜻을 버리고 고향
으로 내려와 자연속에서 숨어 살기 위하여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뜻 별서정원인 소쇄원을 지었다. 정원은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있다. 4.060㎡의 면적에 기능과 공간의 특성에 따라 애양단구역, 오곡문구역, 제월당구역, 광풍각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원 내에는 대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들로 된 숲이 있다. 주위에는 흙과 돌로 쌓은 자연스러운 담이 있는데 ‘애양단’, ‘오곡문’, ‘소쇄처사양공지려’의 석판과 목판글씨가 담벽에 박혀있다.
주거와의 관계에서 볼 때에는 하나의 후원이며, 공간구성과 기능면에서 볼 때에는 입구에 전개된 전원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 그리고 내당인 제월당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으로
되어 있다.
전원은 대봉대와 상하지, 물레방아, 그리고 애양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원은 오곡문 곁의 담 아래에 뚫린 유입구로부터 오곡암 폭포 그리고 계류를 중심으로 여기에 광풍각을 곁들이고 있다.
3. 화장실
생리위생공간은 배설행위와 세수
와 목욕을 행하는 공간이다. 배설
행위를 위해서는 측간을 만드는데
가난한 서민들은 한간의 측간을
남녀 공동으로 이용하지만 일반적
으로는 남자들만이 사용하는 외측
과 여자들만이 이용하는 내측을
행랑채와 안채 주변에 따로 짓는다. 그러나 야간에는 물론 때로 주간에도 안방 옆의 골방이나, 사랑채의 침방에 요강을 비치하고 여기에 소변을 본다. 세수간이나 목욕간은 따로 짓지 않는데, 일반적으로 안사람들은 부엌 앞마당이 세수간이 되고 주인은 사랑채 앞 기단에 세숫대야를 놓고 세수한다. 한편 안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부엌이나 광에서, 또 방에서도 큰 그릇에 더운물을 담아 목욕하거나 부엌 뒷마당에 굴뚝을 의지하여 헛간처럼 벽을 둘러치고 목욕을 하였다고 한다. 남자들은 개천에서 목욕을 하였고, 주인의 경우에는 방이나 광과 같은 공간에서 큰 그릇에 물을 담아 몸을 씻었다.
4. 부 엌
한국의 전통가옥에서의 부엌은
음식을 조리하고 저장하기도 하
며, 난방을 하는 공간을 말한다.
난방은 어김없이 온돌로 하였기
때문에 어떤 형태의 가옥이라고
하더라도 부엌은 안방과 붙여서
짓고 취사와 난방을 겸하도록 했다. 이러한 구조는 안방에 거주하는 안주인이 부엌으로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임에 틀림없다. 부엌은 흙바닥에 부뚜막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솥이 대,중,소로 설치되어 기본적인 밥과 국이 주리 되었다. 난방을 하지 않는 여름에는 부엌 밖에 화덕을 놓고 사용하였으며 부엌문 안쪽에 저장물통인 물수덕을 놓고 식수로 사용하였으며 배수는 안마당에 설치된 하수구를 이용하였다. 식품의 저장을 위해 채광과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장독대를 두었고, 광 곳간 고방 찬간 등이 설치되었으며, 호남지방에는 젓갈을 담아서 보관하는 젓곳간이라는 특수공간도 있었다. 가족의 식사는 장유유서 및 내외사상에 따라 가장 연장자인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하였고 남녀가 따로 하였으며, 시아버지는 사랑채에서 독상을 받았다. 이렇게 한 가정에서 따로따로 식사를 하기 때문에 작고 가벼운 좌식 식탁인 소반이 발달 하였다.
취사작업은 부엌을 중심으로 한 취사공간에서 이루어지지만 바느질과 빨래 등의 여성의 가사노동은 안채의 부엌 주변의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일반 서민은 안방과 건넌방에서 바느질을 하고 빨래는 우물가나 시냇물에서 이루어진다.
5. 소쇄원
소쇄원은 자연과 인공을 조
화시킨, 우리나라 선비의 고
고한 품성과 절의가 엿보이
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조선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정원
이다. 양산보(1503∼1557)는
은사인 정암 조광조(1482∼1
519)가 기묘사화로 능주로
유배되어 세상을 떠나게 되자
출세에의 뜻을 버리고 고향
으로 내려와 자연속에서 숨어 살기 위하여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뜻 별서정원인 소쇄원을 지었다. 정원은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있다. 4.060㎡의 면적에 기능과 공간의 특성에 따라 애양단구역, 오곡문구역, 제월당구역, 광풍각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원 내에는 대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들로 된 숲이 있다. 주위에는 흙과 돌로 쌓은 자연스러운 담이 있는데 ‘애양단’, ‘오곡문’, ‘소쇄처사양공지려’의 석판과 목판글씨가 담벽에 박혀있다.
주거와의 관계에서 볼 때에는 하나의 후원이며, 공간구성과 기능면에서 볼 때에는 입구에 전개된 전원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 그리고 내당인 제월당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으로
되어 있다.
전원은 대봉대와 상하지, 물레방아, 그리고 애양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원은 오곡문 곁의 담 아래에 뚫린 유입구로부터 오곡암 폭포 그리고 계류를 중심으로 여기에 광풍각을 곁들이고 있다.
추천자료
[여성상][우리나라 여성상][한국 여성상][조선시대][문학][여성운동]우리나라 여성상(여성상,...
일본에서배우는고령화시대국토-주택정책
[법원][조선시대의 법원][법원의 권한][법원의 종류][헌법재판][법원의 재판][재판][조선시대...
불상의 시대별특징(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조선해어화사][춘향뎐][춘향전][기생][조선시대]조선해어화사와 춘향뎐(춘향전)을 통해 본 ...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고...
[조선시대 과학기술] 기상학을 통해 살펴본 조선 후기 근대 과학 기술 (조선시대의 기상학, ...
[한국문화사] 조선시대 의복사 - 옷, 의복, 조선시대 의복의 특징과 배경, 남성의 의복, 여성...
[한국문화사] 조선시대의 의복 - 옷, 의복,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복식금제), 남자의 의복,...
[한국문화사] 조선 시대 의복의 역사 - 의복, 옷의 기원, 조선시대 여성의 옷, 조선시대 남성...
[한국문화사] <조선시대 의복> 조선시대 의복의 특징과 남자 의복 및 여자 의복, 조선시대 수...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사회복지행정] 한국의 사회복지 행정에 관하여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중 한 시대를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