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 0.담배란
n 1. 담배어원
n 2. 담배의 발견
n 3. 담배의 조선 전파
n 4. 담뱃대의 구조
n 4-1신분차이에 따른 담뱃대의 모습
n 4-2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n 4-3조선 여성들의 흡연
n 5. 개항이후의 담배
n 5-1연초전매제의 실시와 국가 독점
n 1. 담배어원
n 2. 담배의 발견
n 3. 담배의 조선 전파
n 4. 담뱃대의 구조
n 4-1신분차이에 따른 담뱃대의 모습
n 4-2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n 4-3조선 여성들의 흡연
n 5. 개항이후의 담배
n 5-1연초전매제의 실시와 국가 독점
본문내용
적으로 나타난 기록들을 종합하면 1608~1616년에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는 <조선전매사>, <대동기년>, <이조실록> 및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의 기록을 인용한 것인데 후세 사람들이 이를 무작정 인용에 인용을 거듭한 결과 이제는 군내의 모든 연초학 교재나 담배 관련 책에 “담배는 광해군 10년, 일본으로부터 전래되었다”고 완전히 굳어졌다.
(담 배가 조선에 전파된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기록)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1618년이었다"
-공식문서 <조선왕조실록> 인조16년(1638)- "이 풀(담배)은 1616년과 1617년 사이에 바다를 건너와 피우는 사람이 있었으나 성행하지는 않았다. 그뒤 1621년과 1622년 이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었고, 씨를 뿌리고 수확하여 사람들끼리 서로 교역하기에 이르렀다."
-조선시대 유학자 백규창- "남초는 본래 섬오랑캐의 요사스러운 풀인데, 임진왜란 때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왔으며 그 이전에는 없던 풀이다"
-24절기의 농사일을 적어놓은 <농가월령> 1619년- "2월과 5월에 담배씨를 뿌리고 이양한다"는 사실을 기록
(담 배가 조선에 전파된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기록)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1618년이었다"
-공식문서 <조선왕조실록> 인조16년(1638)- "이 풀(담배)은 1616년과 1617년 사이에 바다를 건너와 피우는 사람이 있었으나 성행하지는 않았다. 그뒤 1621년과 1622년 이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었고, 씨를 뿌리고 수확하여 사람들끼리 서로 교역하기에 이르렀다."
-조선시대 유학자 백규창- "남초는 본래 섬오랑캐의 요사스러운 풀인데, 임진왜란 때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왔으며 그 이전에는 없던 풀이다"
-24절기의 농사일을 적어놓은 <농가월령> 1619년- "2월과 5월에 담배씨를 뿌리고 이양한다"는 사실을 기록
추천자료
담배의 역사 -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과 노래, 담배전래와 담배문화, 담배의...
[일상생활사] 담배의 역사 -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과 문화, 담배의 상업적 ...
[일상생활사] 담배에 대한 이해 - 담배의 어원과 원산지 및 전파과정, 조선의 담배 문화와 일...
[일상생활사]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래될 때, 담배문...
[일상생활사] 담배의 어원, 담배의 이동 과정, 의약품으로의 담배, 조선시대 때 담배문화, 담...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 담배,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 담배문화, 하멜...
[한국문화사] <담배의 이해> 담배의 개념, 담배의 어원,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조선시대...
[한국문화사] <담배> 담배의 역사 - 담배의 개념과 어원, 담배의 시작과 전래과정, 우리나라...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담배의 어원과 원산지 및 전래과정, 조선시대와 담배, 일제 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