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 사
Ⅱ. 본 론
1. 묻지마 범죄의 발단
2. 묻지마 범죄의 유형
3. 이론적 접근
4. 범죄억제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묻지마 범죄의 발단
2. 묻지마 범죄의 유형
3. 이론적 접근
4. 범죄억제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롯된 것이 아닌 우리 사회가 양산한 사회구조적 피해자라는 인식이 중요하다. 사람은 적절한 인간관계를 맺지 못하면 정신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곤란하며 점차 혼자만의 독특한 사고체계에 빠져들게 된다. 이들에게 사회는 공포의 대상이거나 적어도 자신을 속박하고 이용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의 통로를 스스로 차단하여 타인의 행동이나 말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는 사회적 외톨이를 비난의 눈길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애정과 관심의 손길로 포용하여야 한다. 그들 또한 우리 사회의 사회화 피해자이다. 사회적 외톨이 혹은 사회화의 피해자들로 만든 것도 우리사회 이고 이들을 다시 받아들이는 것도 사회 구성원들이 하여야 할 일이다.
Ⅲ. 결론
묻지마 범죄가 자주 발생됨에 따라 사회가 공포와 불안에 시달리는 시점에서 전염병이 번지듯 도처에서 비슷한 형태의 잔악행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실제가 아니더라도 대중매체를 통해서도 이런 살인행위를 접하게 되는데 그 경도가 아주 높은 수준이다.
묻지마 범죄가 동기를 예측 할수 없는 범죄지만 예방이 불가능 한 범죄는 아니다.
범죄억제 방안을 장기적 관점에서 시행하여 잠행가치를 차단 할수 만 있다면 묻지마 범죄는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인 묻지마 범죄의 핵심은 분노의 전가이다. 인간은 스트레스를 받는데, 극단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분노가 농축되어 해소할 적당한 대상을 찾지 못할 때 불특정 다수에게 물리적 폭력을 표출하는 것이다.
삶을 유지하다보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므로 이를 적절하게 해소할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그러나 사회와 단절된 사람들을 이해하기엔 나 하나 먹고 살기 바쁜 세상에서 우리에게 과한과제일지 모른다.
나는 얼마나 소외계층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부터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수신확인, 차별이 내게로 왔다.'라는 책을 읽고, 내 스스로 이 사회의 소외계층에 대한 근접경험이 부족하며,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없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에서 다룬 소외계층엔 범죄자에 대한 내용이 없긴 하지만 사회적 차별을 받고 소통이 단절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서 나부터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묻지마 범죄 예방, 그리고 사회의 소외계층과의 소통을 위해선 사회에 속한 사람들의 인식전환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은 대학으로 가는 목적이 아닌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전인교육에 충실해야 하며, 모든 사회구성원은 다른 사람을 존중할 줄 알고 애정을 가져야 한다.
Ⅳ. 참고문헌
한완상·한균자(2000) 인간과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김진혁(2012) 한국범죄심리연구-묻지마 범죄의 유형 및 대응방안 제8권 제3호(통권 제18호).
허경미(2012)「현대사회와 범죄학」, 박영사.
국민일보, 2013년 9월 26일자.
동아일보, 2012년 10월 11·18일자.
조선일보, 2012년 9월 29일자.
중앙일보, 2012년 8월 24일자.
Ⅲ. 결론
묻지마 범죄가 자주 발생됨에 따라 사회가 공포와 불안에 시달리는 시점에서 전염병이 번지듯 도처에서 비슷한 형태의 잔악행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실제가 아니더라도 대중매체를 통해서도 이런 살인행위를 접하게 되는데 그 경도가 아주 높은 수준이다.
묻지마 범죄가 동기를 예측 할수 없는 범죄지만 예방이 불가능 한 범죄는 아니다.
범죄억제 방안을 장기적 관점에서 시행하여 잠행가치를 차단 할수 만 있다면 묻지마 범죄는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인 묻지마 범죄의 핵심은 분노의 전가이다. 인간은 스트레스를 받는데, 극단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분노가 농축되어 해소할 적당한 대상을 찾지 못할 때 불특정 다수에게 물리적 폭력을 표출하는 것이다.
삶을 유지하다보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므로 이를 적절하게 해소할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그러나 사회와 단절된 사람들을 이해하기엔 나 하나 먹고 살기 바쁜 세상에서 우리에게 과한과제일지 모른다.
나는 얼마나 소외계층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부터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수신확인, 차별이 내게로 왔다.'라는 책을 읽고, 내 스스로 이 사회의 소외계층에 대한 근접경험이 부족하며,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없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에서 다룬 소외계층엔 범죄자에 대한 내용이 없긴 하지만 사회적 차별을 받고 소통이 단절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서 나부터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묻지마 범죄 예방, 그리고 사회의 소외계층과의 소통을 위해선 사회에 속한 사람들의 인식전환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은 대학으로 가는 목적이 아닌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전인교육에 충실해야 하며, 모든 사회구성원은 다른 사람을 존중할 줄 알고 애정을 가져야 한다.
Ⅳ. 참고문헌
한완상·한균자(2000) 인간과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김진혁(2012) 한국범죄심리연구-묻지마 범죄의 유형 및 대응방안 제8권 제3호(통권 제18호).
허경미(2012)「현대사회와 범죄학」, 박영사.
국민일보, 2013년 9월 26일자.
동아일보, 2012년 10월 11·18일자.
조선일보, 2012년 9월 29일자.
중앙일보, 2012년 8월 24일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