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아의 언어능력 발달
1) 영아와 언어능력
2) 문화와 언어
3) 연령에 따른 언어발달
(1) 1~6개월 영아
(2) 7〜12개월 영아
(3) 13〜18개월 영아
(4) 19~24개월 영아
(5) 25〜30개월 영아
(6) 31〜36개월 영아
2.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1) 의사소통 능력
2) 뇌 발달과 언어 간의 상호작용
3) 영아의 언어발달 지원방안
참고문헌
1) 영아와 언어능력
2) 문화와 언어
3) 연령에 따른 언어발달
(1) 1~6개월 영아
(2) 7〜12개월 영아
(3) 13〜18개월 영아
(4) 19~24개월 영아
(5) 25〜30개월 영아
(6) 31〜36개월 영아
2.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1) 의사소통 능력
2) 뇌 발달과 언어 간의 상호작용
3) 영아의 언어발달 지원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3세에 말을 더 많이 하고 더 풍부한 어휘를 사용하며, IQ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
(6) 공동주의 전략
① 공동주의는 성인과 영아가 동시에 동일한 것에 초점을 맞출 때 일어난다.
② 영아가 사물이나 사람에 관심을 두고 있을 때 성인이 그 이름을 말하면 영아는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7) 4E 접근법
① 영아의 언어를 고치려 하지 말고, 주의 깊게 듣고 반응하면서 대화하도록 격려(Encourage)한다.
② 영아의 대화에서 의미와 문법을 확장(Expand)한다.
③ 소리, 단어, 문장을 더 정교화(Elaborate)한다.
④ 더 길게 확장(Extend)한다.
(8) 의미 있게 반응하는 말
① 영아가 ‘비행기’에 대해 말할 때 성인이 비행기의 모양, 색에 대해 의미 있게 반응해 주면 비행기라는 주제에 대해 무언가를 더 말하게 된다.
② 성인과 영아가 언어를 통해 대화할 때 주제를 바꾸는 것보다 같은 주제일 경우 영아는 이야기를 더 잘한다.
(9) 영아 대상어
영아 대상어의 특징은 단순화된 언어로 주로 단어를 강조해서 말한다. 반응적인 말을 사용하고, 짧은 문장과 간단한 어휘를 사용하며, 목소리의 고저와 억양을 과장하고 영아를 향해 의사소통하며 단어와 말 사이에 좀 더 길게 쉬고 단어를 자주 반복한다.
(10) 개방형 질문과 신중한 행동통제
① 행동통제는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② 행동통제는 활동을 집단으로 하거나 안전한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사용한다.
③ 성인이 금지하는 말(예: “안 돼” “하지 마”)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④ 성인이 영아의 말을 반복해 주고, 부연설명 및 확장시키는 활발한 듣기전략을 사용한다.
(11) 눈으로 듣기
① 영아는 다른사람이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말을 집중해 들어주는 것을 좋아한다.
② 대화는 듣기와 말하기를 교대로 하는 것을 영아가 알기 때문에 양육자가 말하는 것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며 양육자를 의도적으로 본다.
③ 말하는 동안 상대의 눈을 보는 것을 결례라고 생각하는 문화권에 있는 영아와 가족 구성원이더라도 그들도 상대방이 귀를 기울여 주의 깊게 들어주는 것을 더 선호한다.
(12) 사회적 게임을 사용
영아에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이야기책을 매일 읽어준다. 책을 읽어주는 동안 영아와 상호작용하며 영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와준다. 영아와 노래하고 손리듬놀이(손유희) 또는 까꿍놀이와 같은 사회적 게임을 한다.
요 약
1. 영아의 언어를 이해하고 몸짓, 얼굴표정, 소리, 단어를 사용해서 의사소통하는 영아의 능력을 인식한다. 언어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사용되고 영아의 관 계, 사회적 맥락, 환경의 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영아는 인간관계를 원하고, 의사소통은 영아가 사회화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이다. 영아는 생후 3년 동안 구어의 소리 만드는 것을 배운다. 영아는 다양한 방법으로 영 아의 의사소통 발달한다. 초기 뇌 발달과 언어경험 사이의 상호작용은 언어를 배우는 사람의 능력에 확실히 영향을 끼친다.
3. 영아의 언어발달 지원방안으로 (1)감정이입할 수 있는 관계 형성 (2) 상호작용적 인 언어 파트너 (3)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에 반응 (4) 서술하는 말 (5) 풍부한 언어 사용과 많은 상호작용 (6) 공동주의 전략 (7) 4E 접근법 (8) 의미 있게 반응하는 말 (9) 영아 대상어 (10) 개방형 질문과 신중한 행동통제 (11) 눈으로 듣기 (12) 사회적 게임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현영렬, 류종훈 외 저, 유아발달론, 청목출판사 2014
전남련, 김기선 외 저, 영아발달, 양서원 2014
손혜숙, 박지희 저, 영아발달, 정민사 2014
한유미 저, 영아발달, 창지사 2014
(6) 공동주의 전략
① 공동주의는 성인과 영아가 동시에 동일한 것에 초점을 맞출 때 일어난다.
② 영아가 사물이나 사람에 관심을 두고 있을 때 성인이 그 이름을 말하면 영아는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7) 4E 접근법
① 영아의 언어를 고치려 하지 말고, 주의 깊게 듣고 반응하면서 대화하도록 격려(Encourage)한다.
② 영아의 대화에서 의미와 문법을 확장(Expand)한다.
③ 소리, 단어, 문장을 더 정교화(Elaborate)한다.
④ 더 길게 확장(Extend)한다.
(8) 의미 있게 반응하는 말
① 영아가 ‘비행기’에 대해 말할 때 성인이 비행기의 모양, 색에 대해 의미 있게 반응해 주면 비행기라는 주제에 대해 무언가를 더 말하게 된다.
② 성인과 영아가 언어를 통해 대화할 때 주제를 바꾸는 것보다 같은 주제일 경우 영아는 이야기를 더 잘한다.
(9) 영아 대상어
영아 대상어의 특징은 단순화된 언어로 주로 단어를 강조해서 말한다. 반응적인 말을 사용하고, 짧은 문장과 간단한 어휘를 사용하며, 목소리의 고저와 억양을 과장하고 영아를 향해 의사소통하며 단어와 말 사이에 좀 더 길게 쉬고 단어를 자주 반복한다.
(10) 개방형 질문과 신중한 행동통제
① 행동통제는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② 행동통제는 활동을 집단으로 하거나 안전한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사용한다.
③ 성인이 금지하는 말(예: “안 돼” “하지 마”)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④ 성인이 영아의 말을 반복해 주고, 부연설명 및 확장시키는 활발한 듣기전략을 사용한다.
(11) 눈으로 듣기
① 영아는 다른사람이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말을 집중해 들어주는 것을 좋아한다.
② 대화는 듣기와 말하기를 교대로 하는 것을 영아가 알기 때문에 양육자가 말하는 것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며 양육자를 의도적으로 본다.
③ 말하는 동안 상대의 눈을 보는 것을 결례라고 생각하는 문화권에 있는 영아와 가족 구성원이더라도 그들도 상대방이 귀를 기울여 주의 깊게 들어주는 것을 더 선호한다.
(12) 사회적 게임을 사용
영아에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이야기책을 매일 읽어준다. 책을 읽어주는 동안 영아와 상호작용하며 영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와준다. 영아와 노래하고 손리듬놀이(손유희) 또는 까꿍놀이와 같은 사회적 게임을 한다.
요 약
1. 영아의 언어를 이해하고 몸짓, 얼굴표정, 소리, 단어를 사용해서 의사소통하는 영아의 능력을 인식한다. 언어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사용되고 영아의 관 계, 사회적 맥락, 환경의 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영아는 인간관계를 원하고, 의사소통은 영아가 사회화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이다. 영아는 생후 3년 동안 구어의 소리 만드는 것을 배운다. 영아는 다양한 방법으로 영 아의 의사소통 발달한다. 초기 뇌 발달과 언어경험 사이의 상호작용은 언어를 배우는 사람의 능력에 확실히 영향을 끼친다.
3. 영아의 언어발달 지원방안으로 (1)감정이입할 수 있는 관계 형성 (2) 상호작용적 인 언어 파트너 (3)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에 반응 (4) 서술하는 말 (5) 풍부한 언어 사용과 많은 상호작용 (6) 공동주의 전략 (7) 4E 접근법 (8) 의미 있게 반응하는 말 (9) 영아 대상어 (10) 개방형 질문과 신중한 행동통제 (11) 눈으로 듣기 (12) 사회적 게임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현영렬, 류종훈 외 저, 유아발달론, 청목출판사 2014
전남련, 김기선 외 저, 영아발달, 양서원 2014
손혜숙, 박지희 저, 영아발달, 정민사 2014
한유미 저, 영아발달, 창지사 2014
키워드
추천자료
2014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학습자가 지지하는 영아발달이론을 선정하여, 뒷받침 할 수 있는 경험적인 자료(또는 구체적 ...
2015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핵심체크
생각정원을 읽고 영아발달과의 관계 서술하시오(레포트)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