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아의 지능발달
1) 영아의 지각발달
(1) 지각발달
(2) 감각인식
2) 오감발달에 따른 두뇌발달
(1) 첫 돌까지의 대뇌 시냅스 발달을 돕는 오감자극
(2) 블룸(Bloom)의 지능발달
2. 영아의 연령별 인지발달
1) 영아의 연령에 따른 인지발달
(1) 1~6개월 영아
(2) 7~12개월 영아
(3) 13~18개월 영아
(4) 19~24개월 영아
(5) 25~30개월 영아
(6) 31~36개월 영아
3. 영아의 인지발달 지원방안
1)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상태유지
2) 영아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 제공
3) 게임으로 대상영속성의 발달 돕기
4) 문제해결력이 생기도록 시간주기
참고문헌
1) 영아의 지각발달
(1) 지각발달
(2) 감각인식
2) 오감발달에 따른 두뇌발달
(1) 첫 돌까지의 대뇌 시냅스 발달을 돕는 오감자극
(2) 블룸(Bloom)의 지능발달
2. 영아의 연령별 인지발달
1) 영아의 연령에 따른 인지발달
(1) 1~6개월 영아
(2) 7~12개월 영아
(3) 13~18개월 영아
(4) 19~24개월 영아
(5) 25~30개월 영아
(6) 31~36개월 영아
3. 영아의 인지발달 지원방안
1)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상태유지
2) 영아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 제공
3) 게임으로 대상영속성의 발달 돕기
4) 문제해결력이 생기도록 시간주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
영아는 색과 모양의 재인 측정으로 재인능력이 있으며 재인능력에서는 색과 모양간의 차이가 없다.
영아의 월령이 증가할수록 1, 2, 3이라는 수 개념을 발달을 한다.
3. 영아의 인지발달 지원방안
1)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상태유지
① 영아 주위의 어수선한 것을 정리하고 영아에게 조용히 말한다.
② 재미있게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영아의 반응에 적극적으로 응해준다.
③ 영아와 사물을 함께 보고 영아의 활동에 관심을 표현한다.
④ 영아가 편안한 자세로 집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2) 영아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 제공
① 자연물을 이용한 다양한 감각적 자료를 제공한다.
②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관심과 격려를 표현한다.
③ 호기심이 일어나도록 한다.
④ 성취동기를 지원한다.
3) 게임으로 대상영속성의 발달 돕기
① 예측 가능한 일상생활을 유지하여 영아의 기억력을 발달시킨다.
② 영아가 찾을 수 있는 곳에 놀이감을 둔다.
③ 까꿍놀이와 같은 게임이나 접힌 부분에 감춰진 그림이 있는 책을 읽어준다.
④ 영아의 놀이를 조금 더 정교하고 복잡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말해주고 영아로 하여금 생각하게 자료를 제공한다.
4) 문제해결력이 생기도록 시간주기
① 영아가 해결방법을 찾도록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기다려준다.
② 공간의 사용 이해증진을 위해 컵 쌓기, 고리 끼우기, 작은 말, 기어가기 위한 터널과 같은 놀이감과 자료를 제공한다.
③ 도구의 사용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해 마커, 가정용품 모형 등을 제공한다.
④ 모양, 크기와 양, 수의 비교 및 일대일 대응을 알려주기 위해서 놀이감을 제공한다.
⑤ 영아와 아침 또는 어제 무엇을 하였는지 이야기나누기를 한다.
⑥ 오늘, 지금, 나중, 전과 후와 같은 시간개념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눈다.
요 약
1. 1개월 된 영아는 주변을 탐색하거나 목소리에 대해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주 어린 영아들도 어느 정도 지각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0~2세 영아는 사물을 오감으로 파악한다. 감각발달과 피부마사지를 통한 촉각자극 등이 곧 두뇌발달로 이어진다. 두뇌를 발달시키는 데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소근육 운동 등이 중요하다.
2. 영아는 12개월이 되면 완전히 숨겨진 물체를 찾을 수 있으며 더 이상 대상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대상영속성 개념이 형성된다. 영아는 월령이 증가 할수록 예측능력이 향상되는 발달적 경향을 보인다. 원인과 결과, 도구의 사용, 공간의 사용과 같이 세상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인지적인 발견을 통해 인지발달을 한다.
3. 영아의 인지발달 지원방안으로 (1)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상태유지 (2) 영아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제공 (3) 게임으로 대상영속성의 발달을 돕기 (4) 문제해결력이 생기도록 시간주기 등이 있다.
참고문헌
현영렬, 류종훈 외 저, 유아발달론, 청목출판사 2014
전남련, 김기선 외 저, 영아발달, 양서원 2014
손혜숙, 박지희 저, 영아발달, 정민사 2014
한유미 저, 영아발달, 창지사 2014
영아는 색과 모양의 재인 측정으로 재인능력이 있으며 재인능력에서는 색과 모양간의 차이가 없다.
영아의 월령이 증가할수록 1, 2, 3이라는 수 개념을 발달을 한다.
3. 영아의 인지발달 지원방안
1)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상태유지
① 영아 주위의 어수선한 것을 정리하고 영아에게 조용히 말한다.
② 재미있게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영아의 반응에 적극적으로 응해준다.
③ 영아와 사물을 함께 보고 영아의 활동에 관심을 표현한다.
④ 영아가 편안한 자세로 집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2) 영아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 제공
① 자연물을 이용한 다양한 감각적 자료를 제공한다.
②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관심과 격려를 표현한다.
③ 호기심이 일어나도록 한다.
④ 성취동기를 지원한다.
3) 게임으로 대상영속성의 발달 돕기
① 예측 가능한 일상생활을 유지하여 영아의 기억력을 발달시킨다.
② 영아가 찾을 수 있는 곳에 놀이감을 둔다.
③ 까꿍놀이와 같은 게임이나 접힌 부분에 감춰진 그림이 있는 책을 읽어준다.
④ 영아의 놀이를 조금 더 정교하고 복잡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말해주고 영아로 하여금 생각하게 자료를 제공한다.
4) 문제해결력이 생기도록 시간주기
① 영아가 해결방법을 찾도록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기다려준다.
② 공간의 사용 이해증진을 위해 컵 쌓기, 고리 끼우기, 작은 말, 기어가기 위한 터널과 같은 놀이감과 자료를 제공한다.
③ 도구의 사용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해 마커, 가정용품 모형 등을 제공한다.
④ 모양, 크기와 양, 수의 비교 및 일대일 대응을 알려주기 위해서 놀이감을 제공한다.
⑤ 영아와 아침 또는 어제 무엇을 하였는지 이야기나누기를 한다.
⑥ 오늘, 지금, 나중, 전과 후와 같은 시간개념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눈다.
요 약
1. 1개월 된 영아는 주변을 탐색하거나 목소리에 대해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주 어린 영아들도 어느 정도 지각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0~2세 영아는 사물을 오감으로 파악한다. 감각발달과 피부마사지를 통한 촉각자극 등이 곧 두뇌발달로 이어진다. 두뇌를 발달시키는 데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소근육 운동 등이 중요하다.
2. 영아는 12개월이 되면 완전히 숨겨진 물체를 찾을 수 있으며 더 이상 대상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대상영속성 개념이 형성된다. 영아는 월령이 증가 할수록 예측능력이 향상되는 발달적 경향을 보인다. 원인과 결과, 도구의 사용, 공간의 사용과 같이 세상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인지적인 발견을 통해 인지발달을 한다.
3. 영아의 인지발달 지원방안으로 (1) 영아가 집중할 수 있는 상태유지 (2) 영아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놀이제공 (3) 게임으로 대상영속성의 발달을 돕기 (4) 문제해결력이 생기도록 시간주기 등이 있다.
참고문헌
현영렬, 류종훈 외 저, 유아발달론, 청목출판사 2014
전남련, 김기선 외 저, 영아발달, 양서원 2014
손혜숙, 박지희 저, 영아발달, 정민사 2014
한유미 저, 영아발달, 창지사 2014
키워드
추천자료
2014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학습자가 지지하는 영아발달이론을 선정하여, 뒷받침 할 수 있는 경험적인 자료(또는 구체적 ...
2015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핵심체크
생각정원을 읽고 영아발달과의 관계 서술하시오(레포트)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