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형 수신기
2. R형 수신기
3. GP형 수신기
4. GR형 수신기
5. M형 수신기
6. 참고문헌
2. R형 수신기
3. GP형 수신기
4. GR형 수신기
5. M형 수신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4. GR형 수신기
- R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하게 된 것이다. 다만,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에서 가스농도 감시 장치는 설치를 하지 아니할 수가 있다.
5. M형 수신기
- 도로에 설치가 된 M형 발신기로부터 전달을 받는 신호를 공용 수신기를 통해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를 하는 것으로서 소방서에 설치가 된 수신기에 화재의 발생을 통보를 하는 화재속보설비의 기능을 겸비를 하는 것이다. 미국, 일본 등에 설치를 해서 사용을 하는 방식이나 국내에는 없다.
6. 참고문헌
1) 소방학개론(2012), 저자 : 정경문 외 9인, 동화기술
2) 소방시설의 이해(2013), 저자 : 김태완, 소방문화사
3) 소방방재학(2013), 저자 : 임중호, 이영재, 기문당
4. GR형 수신기
- R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하게 된 것이다. 다만,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에서 가스농도 감시 장치는 설치를 하지 아니할 수가 있다.
5. M형 수신기
- 도로에 설치가 된 M형 발신기로부터 전달을 받는 신호를 공용 수신기를 통해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를 하는 것으로서 소방서에 설치가 된 수신기에 화재의 발생을 통보를 하는 화재속보설비의 기능을 겸비를 하는 것이다. 미국, 일본 등에 설치를 해서 사용을 하는 방식이나 국내에는 없다.
6. 참고문헌
1) 소방학개론(2012), 저자 : 정경문 외 9인, 동화기술
2) 소방시설의 이해(2013), 저자 : 김태완, 소방문화사
3) 소방방재학(2013), 저자 : 임중호, 이영재, 기문당
소개글